도둑맞은 편지 바벨의 도서관 1
에드거 앨런 포 지음,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기획, 김상훈 옮김 / 바다출판사 / 2010년 12월
평점 :
품절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가 기획한 바벨의 도서관 시리즈를 보고 탄성을 내지를 사람은 나말고도 많을 것 같다. 그도 그럴 것이 뛰어난 고전 소설작가들의 작품을 모았다는 이유도 있지만,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가 그 작품들을 골랐다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메리트가 있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 첫번째 책은 에드거 앨런 포의 책이다.

첫번째 작품인 <도둑맞은 편지>는『모르그가의 살인사건』의 탐정 오귀스트 뒤팽이 등장하는 추리물이다. 도둑맞은 편지를 찾기 위해 파리경찰청의 경찰국장이 뒤팽과 '나'를 찾아온다. 경찰국장은 용의자의 집을 샅샅이 수색하지만 어디에서 편지를 발견하지 못한 것이다. 도대체 편지는 어디에 있는 것일까.

이 작품의 재미는 경찰과 용의자, 그리고 뒤팽의 머리 싸움이 무척 흥미로운 작품이다. 여기에서의 뒤팽은 안락의자탐정같다고 할까. 경찰의 이야기를 듣고 추리한 후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이다. 경찰국장은 용의자가 시인이라고 무시하고 깔봤지만, 결국 자신들의 논리로는 그를 상대할 수 없었다. 거만한 경찰과 경찰의 머리꼭대기에 있는 용의자, 그리고 의자에 앉아 이야기를 듣는 것만으로 모든 상황을 파악한 뒤팽의 이야기는 자신들의 논리로만 상대를 볼 때 시야가 좁아져 함정에 빠질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   
 
<병 속에서 나온 수기>는 여행을 하던 한 남자가 바다 폭풍을 만나 표류하게 되고, 그 상황에서 우연히 만나게 된 배에서 보고 들은 놀라운 이야기를 수기 형식으로 표현한 글이다. 세상에는 신기한 일이란 것은 없다고 믿던 사람이 자신의 논리로는 도저히 파악할 수 없는 세상을 만난다면 어떤 느낌이 들까. 이 작품은 자신의 눈 앞에서 벌어지지만 도저히 믿을 수 없는 상황에 대해 차츰 어떻게 받아들여가는지를 잘 보여준다. 마지막 한 줄이 압권.

<밸더머 사례의 진상>은 2년전에 읽었었는데, 여전히 오싹하다. 죽어가는 자에게 건 최면술은 언제까지 그 효력을 발휘하게 될까. 최면술이란 것은 무의식적인 부분과 연결되는 것이기 때문에 그것을 해제하는 순간까지 효력을 발휘하는 것일까. 이 작품을 읽으면 영화 <얼굴없는 미녀>의 마지막 장면이 떠올라 오싹해진다.

<군중 속의 사람>은 거리를 관찰하던 한 남자가 군중들을 보면서 여러가지 생각을 하다 한 수상한 남자를 뒤쫓게 되며 벌어지는 이야기이다. 이야기자체로는 단조로워보일 수 있으나 그가 창너머로 사람들을 관찰하면서 느끼는 점들은 상당한 관찰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때문에 흥미롭다. 옷차림이나 행동거지를 보고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파악한달까. 하지만 그가 뒤쫓던 남자의 이야기를 보면 문득 우울해진다. 그는 수많은 사람들 속에 섞여 있으면서도 혼자인 사람, 즉 아주 고독한 사람이며, 인간들 속에 늘 섞여 있는 악이기 대문이다. 사람든 군중속에서 더욱 고독함을 느끼고, 악인도 보통 인간과 섞여버리면 딱히 알아볼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 작품집 속에서 최고의 작품은 역시 <함정과 진자>이다. 이 소설은 읽을 때마다 난 시시각각 다가오는 죽음의 모습에 전율하게 된다. 종교재판을 통해 사형선고를 받고 지하감옥에 갇힌 사람이 느끼는 죽음의 공포. 그것은 단두대나 교수형처럼 순간적인 죽음을 내리는 것이 아니었다. 그것은 그들의 입장에서 보기에 자비로운 죽음일 뿐. 이 남자는 가장 끔찍한 방법으로 죽여 마땅한 사람인 것이다. 어두컴컴해서 한치앞도 보이지 않는 공간의 중간은 뻥 뚫려 있다. 다행히 그는 그곳으로 떨어지지 않지는 않았지만 그 뒤에 다가올 죽음의 모습은 한층 더 공포스러운 것이었다.

죽음이 눈앞에서 서서히 다가온다. 보통 사람같으면 미치지 않고서 버틸 재간이 있을까. 공포의 수위를 차츰 높여오는 전개방식에 지금도 등골이 오싹해진다.

에드거 앨런 포의 작품은 읽을 때마다 신선한 느낌을 받는다. 몇 년에 한 번씩 읽기 때문일지는 몰라도, 또한 역자가 달라지기 때문이란 이유도 있겠지만, 그것보다는 작품 자체가 독특한 느낌을 주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내가 가진 제일 오래된 책은 1991년에 나온 단편집인데, 그때부터 시작해서 지금까지 포의 작품을 읽고 실망을 느낀 적은 한 번도 없었다. 원래 한 작품을 두 번 이상은 잘 읽지 않는 나이지만, 포의 작품만은 몇 번을 읽어도 그때마다 느끼는 재미가 다르달까. 때론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좋았던 작품이 싫어지기도 하고, 싫었던 작품이 좋아지는 그런 작가도 있지만, 포의 경우 내겐 늘 신선한 자극과 재미를 주는 작가라고 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