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부메의 여름 백귀야행(교고쿠도) 시리즈
쿄고쿠 나츠히코 지음 / 손안의책 / 2004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교고쿠도 시리즈를 좋아한다고 하면서도 시리즈 첫번째 책인『우부메의 여름』은 이제서야 읽게 되었다. 몇년전 영화로 봤을 때는 교고쿠 나츠히코의 작품이란 것도, 교고쿠 나츠히코란 작가도 몰랐었다. 그후 항설백물어나 망량의 상자는 애니메이션으로 봤고, 책은『광골의 꿈』으로 처음 접했다. (항설백물어가 먼저였나?) 하여간에 책보다는 다른 장르로 먼저 접했던 셈인데, 책을 읽고 나니 역시 책이 제일 좋다라는 생각이 든다. 사실 우부메의 여름 영화 내용은 간단하게만 기억이 난달까. 아마도 러닝타임이란 게 있으니 많이 축약되었을 거란 생각을 한다. 그래서 영화를 봤음에도 불구하고 처음 접하는 작품처럼 신선했다.

1950년대의 일본 도쿄. 유서깊은 산부인과 의원인 구온지 의원의 사위가 밀실에서 사라지고, 그 딸은 20개월째 임신중이다. 흉흉한 소문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구온지 의원의 또다른 딸인 료코가 이 사건을 에노키즈의 탐정사무소에 의뢰하게 된다. 세키구치는 에노키즈와 함께 구온지 의원을 찾지만, 에노키즈는 이 사건은 경찰에 넘기면 된다는 수수께끼같은 말만 하고 사라진다. 료코에게 기묘한 감정을 느끼는 세키구치는 고집을 부려 스스로 수사하겠다고 마음먹는다. 그러나 조사를 할수록 더욱 수수께끼 같은 상황과 마주치게 되는 세키구치는 결국 자신이 스스로 봉인해두었던 과거와도 마주치게 되는데... 과연 구온지 의원에서 벌어진 기이한 사건의 진실은 어디에 있는 것일까?

우부메의 여름은 구온지家라는 특수한 가문이 가진 엄청난 비밀을 그 중심으로 하는 소설이다. 산부인과를 운영하기전 그들이 해왔던 일과 구온지 가문 대대로 내려오는 비극이 현재의 참극을 만들어 내게 된다. 가계의 특수한 유전이 만들어낸 비극이랄까. 어쩌면 그 상황에 무지했기에 비극을 끊어낼 수 없었던 것일지도 모른다. 저주가 걸린 집안이라는 특수한 상황은 태어나는 아이에 대한 두려움을 가져 왔을 것이고 그것은 과거의 망령처럼 이 집안을 따라 다녔다. 또한 소녀에게 가해진 끔찍한 일들은 소녀가 응당 믿고 의지해야할 어른에 대한 불신과 두려움으로 이어졌고, 그것이 소녀를 크게 바꾸어 놓은 계기가 되었다. 또한 데릴 사위로 들어온 마키오 역시 그 참극의 방아쇠를 당긴 인물이었다. 십몇년 전의 사소한 실수가 그토록 큰 영향을 미치게 될 줄은 그도 몰랐을 것이다. 게다가 전쟁에 참가했다 큰 부상을 당한 후 그가 겪었을 좌절감은 그의 사고방식을 위험할 정도로 바꿔 놓았다. 교코와의 결혼 생활이 엉망이었던 것도 그것에 연유한다.

모든 일들은 따로따로 일어난 일이 아니었다. 모든 사건은 아주 오래 전에 시작된 비극으로 시작했으며, 그 비극을 끊어내지 못하고 질질 끌어온 자들 모두에게 그 책임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료코가 했던 일은 분명 비도덕적인 일임에 분명하지만 그녀가 그렇게 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은 그녀 자신의 의지가 아니었다. 그렇다고 모든 책임을 그녀의 다른 인격에 책임을 전가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스로를 지키기 위해 그렇게 해야만 했던 료코의 행동 뒤에는 가장 가까운 사람들로부터 받게 된 아픔과 절망이 있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교코 역시 남편에 대한 애증으로 인해 그렇게 변해 버려 너무나도 안타까운 인물이었다. 얼마나 간절히 바랐으면 그런 상태에 이르렀을까를 생각하면 가슴이 먹먹해져 온다. 이런 진실을 꿰뚫고 있던 교고쿠도가 처음에는 미온적인 태도를 취할 수 없었던 것이 충분히 이해된다. 어차피 언젠가는 모든 비밀이 햇빛속에서 드러나게 되었을지라도, 이런 비극으로 끝나게 되길 원하지는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고서점 주인이자 신관인 추젠지 아키히코(통칭 교고쿠도), 소설가 세키구치 다츠미, 탐정 에노키즈, 형사 기바 슈타로는 교고쿠도 시리즈를 이끌어가는 중심적인 인물이다. 그외에도 형사 아오키라든가 검시관이라든가 하는 사람도 종종 등장하지만 일단은 이 사람들이 중심이 되어 수수께끼같은 사건을 해결해 나가는 것이 교고쿠도 시리즈이다. 따지고 들자면 결정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인물은 교고쿠도이지만.
 
이들은 상당히 강한 개성의 소유자들인데도 불구하고 서로의 단점을 보완하는 존재들이라 할 수 있다. 작품은 세키구치 다츠미의 입장에서 서술되는데, 세키구치는 이들 중 가장 평범한 사람이라 할 수 있다. 어쩌면 독자와 같은 입장일 것이다. 그래서 그런지 교고쿠도의 장광설은 세키구치를 위한 것이란 (혹은 독자들을 위한 것이라는) 생각이 강하게 든다. 에노키즈의 경우 자신이 듣고 싶어하는 것만 듣는 사람인데다, 다른 사람의 기억을 읽어내는 능력이 있다 보니 교고쿠도가 굳이 자세한 설명을 하지 않아도 모든 진상을 꿰뚫어 볼 줄 알기 때문이다. 기바의 경우 지극히 현실적인 인물이고 자기 나름의 이론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 세키구치가 들을 장광설이 필요 없는 경우로 보인다. 그래서 교고쿠도의 이야기를 듣다 보면 머리가 어질어질해지는 경우도 종종 생긴다. 그렇지만 교고쿠도가 그렇게 설명을 해주지 않으면 세키구치의 의문이 해소가 되지 않으므로(그건 나도 마찬가지) 장광설이 나올 수 밖에 없다. 교고쿠도의 이야기를 듣고 있으면 내가 모르는 세상을 들여다 보는 그런 느낌이 들기도 한다. 그건 아마도 세키구치도 마찬가지겠지만, 이야기를 듣다 보면 그의 이야기에 푹 빠져 들게 된다. 그게 교고쿠도의 첫번째 매력이다.

그렇다면 내가 느끼는 교고쿠도의 두번째 매력이란 사람을 생각하는 마음이다. 교고쿠도는 세상일에 대해 무심한 듯한 태도를 취하고 있지만, 학창 시절 세키구치를 울증의 늪에서 건져 올린 사연만 봐도 그게 아니란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세키구치가 친구이기 때문일지도 모르지만, 친구가 되기 전 먼저 다가온 쪽이 교고쿠도란 것을 생각해 본다면 교고쿠도는 마음이 따스한 사람이라는 걸 느끼게 된다. 말로는 세키구치를 무시하는 듯 해도 자세한 설명을 해준다거나 속으로 세키구치의 마음이 다칠까 걱정하는 것을 보면 잘 알 수 있달까. 이러한 부분은 이 작품이 교고쿠도 시리즈 1권이기 때문에 자세히 드러난다.

이렇듯 인간적인 매력과 풍부한 지식, 제령사로서의 출중한 능력을 골고루 갖춘 교고쿠도와 세속의 소용돌이에 자주 휩쓸리는 평범한 사람 세키구치, 다른 별에서 오지 않았을까 하는 착각을 들게 할 정도로 별난 에노키즈, 무뚝뚝하지만 우직한 형사 기바의 이야기에 기묘하고 기이한 수수께끼를 풀어가는 미스터리의 절묘한 조화는 작가의 데뷔작이라 믿기지 않을 정도로 흡입력이 뛰어난 작품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