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 길고양이 - 제8회 푸른문학상 동화집 미래의 고전 21
김현욱 외 지음 / 푸른책들 / 201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처음에 이 책을 구입할 때는 장편 소설이라고 생각하고 구매를 했는데, 받아 보니 총 7편의 단편 소설이 실린 소설집이었다. 살짝 당황스럽기는 했으나 제대로 살펴보지 않은 사람의 죄(?)도 있고, 형식이 어쨌거나 난 책 내용이 좋기만 하면 아무 상관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중 하나인지라 첫단편부터 조심스레 읽어나가기 시작했다.

첫번째 작품인 <겨드랑이 속 날개>는 슬픔을 화로 표출하던 한 아이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욱삼이네 엄마는 집을 나갔고, 아빠는 폐암 투병중이다. 병원비도 모자라 힘겨운 생활을 하던 욱삼이네는 시골 할머니댁으로 이사를 오게 되고 욱삼이는 분교로 전학하게 된다. 그전에 있던 학교에서는 아이들과도 잘 지내지 못했고, 선생님마저도 믿지 못할 존재였지만, 욱삼이는 이 학교로 전학을 오면서 예전 학교와는 전혀 다른 분위기에 당황하게 된다. 마음에 큰 상처를 입은 사람들이 그 상처에 대처하는 방법은 각각 다르다. 욱삼이의 경우 엄마의 가출과 아버지의 병, 그리고 주위 사람들의 무관심에 화를 내는 것으로 대처해 왔다. 미리 자신의 주변에 방어막을 설치하고 아무도 그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무장하고 있는 것이다. 이 작품은 이런 욱삼이가 자신의 마음을 열고 주변을 받아들이는 과정이 무척이나 따스한 작품이었다.

<일곱 발, 열아홉 발>은 '감히 내 집 앞에'를 주장하는 어른들과 '이건 반드시 내 앞에'를 주장하는 아이들의 대비가 무척 흥미로운 이야기이다. 공동주택인 아파트에서 쓰레기통을 옮기는 문제로 분란이 일어난다. 내 집앞에는 더러운 것을 못놓겠다는 어른들때문에 아이들까지 상처를 받는다. 그런 아이들은 학원차가 자신의 집앞에 서야 한다고 주장한다. 우리 인간들은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존재들이다. 그런데 너나 할 것 없이 나쁜 것은 다른 사람 집 앞에 좋은 것은 내 집 앞에를 외치면서 살아간다. 그럴 때는 우리란 개념이 없어지고 나라는 개념만이 남는다. 이런 어른들을 바라보는 아이들의 시각이 무척이나 재미있다.

표제작인 <도서관 길고양이>는 좋은 것을 시키고 싶은 부모와 시키는 대로 하기 싫은 아이의 이야기이다. 사실 어릴 적에 나도 그랬다. 부모님이 하라고 권하는 것은 청개구리처럼 안하려고 버티고 애를 썼다. 물론 자기 자식 잘 되기를 바라는 부모님의 마음이란 걸 지금은 알지만, 그때는 그게 참 싫었다. 좋은 일이라고 무조건 아이가 잘 받아 들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다미 엄마가 다미에게 책을 읽으라고 권하는 것은 분명히 좋은 의도였을 것이다. 하지만 아직 책 읽는 재미가 무엇인지 모르는 다미에게 억지로 책 읽기를 권하는 것은 분명 반항심만 낳는다. 이런 다미가 스스로 책을 읽는 재미를 알아가는 과정이 약간의 추리 기법과 더해져 더욱 흥미롭게 묘사된다.

<대장이 되고 싶어>는 아이들의 놀이와 관련된 이야기이다. 이 작품을 읽다 보니 어린 시절 나의 모험기도 떠올랐다. 여기에 나오는 종유나 지유처럼 육교를 건너고 트럭뒤에 숨고, 신호등 불빛에 얼음을 하는 그런 모험은 아니었고, 시골 할머니 댁에 놀러갔을 때 내 또래 사촌들을 모아서 산으로 들로 쏘다녔던 모험이었다. 제일 어린 사촌 여동생이 따라 오려고 하면 넌 어려서 안돼!, 라고 하기도 했던 일, 내가 대장이 되었던 일 등이 떠올라 웃음이 피식피식 나왔다. 

<엘리베이터 괴물>은 또래와는 좀 다른 행동으로 왕따를 당하는 한 아이의 이야기이다. 그런 아이를 둔 부모 마음은 오죽하랴 싶지만, 자신을 이해해주기보다는 속상해하는 부모의 모습을 보는 아이는 더 오죽할까. 영민이가 엘리베이터를 두려워하는 이유에 대해 물어 보지도 않고, 그저 아이를 윽박지르는 엄마, 한숨 쉬는 아빠, 바보 취급하는 동생. 이런 상황은 아이를 더 움츠러들게 만든다. 그런 영민이를 바뀌게 한 것은 친구 준호였다. 준호 역시 영민이가 부담스럽지만, 영민이와 이야기를 나누면서 영민이의 고민을 들어주고 해결해 준다. 어쩌면 또래이기 때문에 더 잘 알아준 건 아닐까 하는 마음도 있지만, 그것보다는 열린 마음이 더 중요한 것이겠지 싶다. 

<슬픔을 대하는 자세>는 앞에 나온 <겨드랑이 속 날개>와 비슷한 사연을 가진 아이들이 나온다. 앞에 나온 욱삼이는 슬픔에 대해 화를 내는 것으로 그 슬픔을 삼키지만, <슬픔을 대하는 자세>의 정민이는 갑작스레 돌아가신 아버지를 원망하고 다른 가족들에게 마음을 닫아 버리는 것으로 그 슬픔을 달래고 있다. 하지만 정민이의 동생 정우는 엄마 일을 열심히 돕고, 전과 다름없이 살아 가려 하면서 그 슬픔을 달래고 있다. 사람들에겐 모두 자신만의 슬픔을 달래는 법이 있다. 하지만 그것에 대해 적극적으로 응대하느냐, 아니면 소극적으로 응대하느냐에 따라 미래는 크게 달라질 것이다. 정민이가 아버지를 원망하면 원망할 수록 더 슬퍼질 것은 뻔한 일이기 때문이다. 정민이는 동생 정우가 철없이 군다고 생각하지만 오히려 더 적극적으로 슬픔을 달래는 것은 정우라 볼 수 있다. 슬픔에는 경중이 없다. 다만 그것을 극복하는 방법이 다를 뿐.

마지막 작품인 <하늘에 세수하고 싶어>는 재혼 가정의 이야기이다. 아이에게 있어 부모가 재혼한다는 것은 큰 충격일 것이고, 받아들이고 싶지 않는 것 중의 하나일 것이다. 왜냐하면 자신이 선택할 수 있는 건 아무것도 없기 때문이다. 부모의 이혼도 재혼도 자신이 원한 것은 하나도 없기 때문이다. 민주 역시 그렇다. 좋아하는 미스박 아줌마와 사랑하는 아빠의 결혼 소식은 민주에게 큰 배신처럼 느껴졌을 것이다. 그래서 민주는 아줌마도 아줌마가 키우는 개돌이도 다 꼴보기 싫고, 자신만의 고양이를 키우고자 한다. 하지만 그 고양이는 민주에게서 달아나 개돌이에게 가버린다. 처음에는 고양이에게도 배신감을 느꼈지만, 민주는 개돌이가 고양이 백설이를 잘 돌봐주는 것을 보면서 사람과 사람사이의 관계에 있어서 어쩌면 혈연이 다가 아니란 것을 깨달았을지도 모르겠다.

총 7편의 단편은 모두 자신만의 색깔을 가지고 있다. 어른들의 이기심때문에 상처받는 아이들, 슬픔을 극복할 방법을 찾지 못해 방황하는 아이들, 부모의 재혼으로 어쩔 줄 몰라하는 아이, 부모의 강요나 이해 부족으로 대립하게 되는 아이 등 이 책에 나오는 아이들은 각자 나름의 아픔을 가지고 있으며, 때로는 자신들의 잘못이 아닌 어른들의 잘못으로 상처를 받기도 한다. 하지만 그것을 묵혀두고 쌓아두기 보다는 어떤 계기를 통해 자신만의 방법으로 해결해 가는 모습을 보면서 내 어린시절을 떠올려 보기도 하고, 지금 내가 가진 문제와 상처는 무엇인지도 곰곰히 생각해 보게 된다. 슬픔, 절망, 오해는 용서와 화해, 그리고 이해라는 다리로 행복과 희망으로 바뀐다. 소설 속에 등장하는 아이들이 용서와 화해, 이해로 마음의 성장을 이루는 모습은 많은 것을 시사한다. 단순히 소설의 구성적인 요소만을 바라보기 보다는 그 안에 있는 우리네 삶을 바라보면 훨씬 더 이 책을 재미있게 읽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집요정 2010-11-13 16: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런~ 음~~ 길고양이에 대해 말씀 드린다는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