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지몽 탐정 갈릴레오 시리즈 2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양억관 옮김 / 재인 / 200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히가시노 게이고라는 작가와 어울리지 않는 것. 그리고 통칭 갈릴레오라 불리는 물리학자 유가와와 어울리지 않는 것. 그것은 바로 오컬트란 것일 것이다. 유가와 교수도 그렇지만 히가시노 게이고 역시 공학도 출신이기 때문에 그의 소설은 신비주의적인 것과 거리가 상당히 있다. 물론 미스터리 소설이라고 해서 그런 신비주의적인 설정이 들어가지 말란 법은 없지만, 히가시노 게이고의 소설은 그런 것을 철저하게 분석하고 그 진상을 드러내게 한다. 그리고 그런 결말은 보통 인간의 무서울정도로 집요한 악의에서 나온 것이란 것으로 귀결된다.

이 책의 제목 예지몽 역시 신비주의적인 어감을 띤 단어다. 그러니 다른 작가가 쓴 책이라면 뭔가 상당히 신비로운 무언가가 나올 것을 기대하겠지만, 히가시노 게이고의 책인만큼 그 이며에 숨겨진 진실을 어떻게 파헤치느냐에 관심이 더 가게 되는 것도 사실이다. 오히려 신비로운 이야기인만큼 나중에 그 진상이 밝혀졌을 때 더욱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되는 점도 있고, 신비로움이 사그라들어 아쉬운 면이 생길수도 있기는 하지만, 일단 유가와가 등장한다고 할 때 기대되는 것은 역시 수수께끼를 어떻게 풀어나가느냐일 것이다.

총 다섯편의 단편소설로 이루어진 이 책은 예지몽, 사령, 폴터가이스트, 도깨비불, 또다시 예지몽이라는 재미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첫번째 단편인 <꿈에서 본 소녀>는 십칠년전 모리사키 레이미란 소녀를 만나게 될 것이란 예지몽을 꾼 사카기란 남자의 이야기이다. 십칠년전이라면 레이미는 태어나지도 않았을 때인데, 사카기는 어떻게 정확히 모리사키 레이미란 이름을 알고 있었을까. 사건을 시간을 거슬러 올라감으로써 그 진상이 밝혀진다. 도대체 사카기의 어린 시절에는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영을 보다>는 호소다니라는 남자가 창문을 통해 애인 기요미의 모습을 보았을 때, 기요미가 살해당했다고 한다. 절묘한 시간의 일치이다. 그렇다면 기요미의 모습은 자신이 죽어가고 있다는 생령일까, 아니면 죽은 영혼인 사령이었을까.

<떠드는 영혼>은 심령현상으로 잘 알려진 폴터가이스트 현상을 소재로 하고 있다. 일을 하러나갔다가 실종된 남편. 그리고 그가 마지막으로 들렀을 거라 추측되는 집에서 발생하는 기묘한 현상. 이 두 가지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

<그녀의 알리바이>는 한 남자의 교살사건을 다루고 있다. 그는 누군가에 의해 살해당한 것이 분명하다. 그렇다면 제일 의심가는 건 그 남자의 아내. 그녀의 알리바이에 숨겨진 진상과 그의 딸이 보았다는 도깨비 불의 정체는 과연 무엇일까.

<예지몽>은 가장 씁쓸했던 단편이다. 완전히 망가져버린 한 가정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바람을 피는 남편. 그리고 남편의 상대는 그가 이혼절차를 빨리 밟게 하기 위해 자살 연극을 벌이다 죽고 만다. 하지만 문제는 그것이 아니었다. 그것을 꿈에서 봤다고 하는 소녀가 나타난 것이다. 여자의 자살은 이미 예고되어 있었던 것인가?
이 단편의 재미는 마지막 한문장에 있다. 뒷통수를 치시는군. 그래도 유쾌했달까.

유가와는 구사나기와 함께 이 사건의 수수께끼를 과학적인 접근방식으로 하나씩 풀어나간다. 단편이기 때문에 복잡한 트릭은 없는 대신 사건의 뒤에 감춰진 진실 혹은 인간들의 악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렇다. 세상에 진짜 신비한 것은 거의 없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그렇다고 없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 없다. 마지막 단편의 결말부를 보면서 혹시 이거 나중에 쓸 다잉 아이의 포석이 아닌가 싶어 웃음이 나오기도 했다. 다잉 아이는 갈릴레오 시리즈는 아니지만 오컬트적인 요소를 많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오히려 그것때문에 히가시노 게이고답지 않다는 평이 나오기도 했지만...

어쨌거나 히가시노 게이고의 책을 읽으면 참 여러가지 세상을 보고 있는 듯한 느낌을 준다. 그리고 세상에는 정말 별별 사람이 다 있구나 하는 생각, 그리고 별 것 아닌 것같은 것으로도 사람들은 범죄를 일으킨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래서 범죄가 끊이지 않는 것인지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