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생이 허기질 때 바다로 가라 - 내 밥상 위의 자산어보
한창훈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일반적으로 우리는 바다라고 하면 낭만적인 기분을 먼저 떠올리게 된다. 눈이 부실 정도로 푸르른 빛, 하늘과 맞닿은 곳, 반짝이는 햇살, 부드러운 백사장 등 늘 떠올리는 건 이런 이미지이고, 더 나아가 생각을 하면 연인들이 사랑을 속살거리는 곳이 추가된다. 하지만, 그건 바다에 놀러 갔을 때 받을 수 있는 이미지에 불과하다. 나 역시 어릴 때 부모님을 따라 바닷가에 놀러 가기도 하고, 때로는 바다 낚시를 즐기기도 했던 기억이 난다. 하지만 그외의 바다의 모습은 모른다. 내가 아는 것은 아주 일부에 지나지 않고, 퍼센트로 따져도 0.1%도 안될지도 모른다.
때로 TV 프로그램에서 바닷가 사람들의 삶을 보여주는 다큐멘터리를 보며 참 고단한 삶을 사는구나, 하는 정도의 감상을 느끼고, 바다 생물과 관련된 자연 다큐멘터리를 보면서 인간은 바다에서 무한한 것을 얻으면서도 감사할 줄 모른다는 감상을 느낀다. 이렇듯 가깝게 느껴지면서도 우리가 잘 알지 못하는 바다. 그것도 섬마을에서 생활이란 너무나도 낯선 이야기를 들고 한창훈 작가가 찾아 왔다.
표지의 띠지를 보면 생계형 낚시꾼이란 표현이 나온다. 문득, 아 어업에 종사하는구나, 하는 생각이 문득 들지도 모르겠으나, 그의 본업은 작가이다. 그렇다면 왜 생계형이란 말을 썼을까. 본문에도 나오지만 여기에서의 생계형 낚시란 레져형 낚시의 반댓말이다. 즉, 어부는 아니지만 재미로 낚시를 하는 의미는 아니란 것이다. 수많은 돈을 들여 낚시 장비를 갖추고 낚시를 하는 낚시꾼들의 모습은 TV에서 종종 만날 수 있다. 그들은 남들보다 더 큰 고기를 낚기 위해, 그리고 그것을 기록하기 위해 낚시를 하고 살생을 한다. 즉, 그것은 그들의 취미이자, 즐거움에 지니지 않는다. 하지만 여기에 나오는 생계형 낚시는 하루 반찬을 마련하기 위한, 정말 먹기 위한 낚시이다. 그게 일반 낚시꾼들과 가장 크게 다른 점이라 할 수 있다.
본문에는 총 30가지의 바다 생물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조개류도 있고 물고기도 있고 해조류도 있고 그외의 생물도 있다. 원래 고향이 거문도라는 작가는 몇 년 전 다시 거문도로 돌아가 생계형 낚시꾼으로 살아 가며 직접 낚고, 손질하고 요리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하지만 단지 해산물 손질과 요리에 관한 이야기는 아니다. 때로는 어린 시절의 추억을, 때로는 함께 지내는 사람들과 있었던 일들을, 자신이 경험해 온 이야기들을 함께 풀어 놓고 있다. 어린 시절 첫사랑의 추억 이야기이며, 섬에 시집와 섬에서 살다 섬에서 죽는 섬 여인네들의 이야기며, 해당 해산물과 관련된 이야기를 구수하게 풀어 놓는다. 작가의 표현에 때로는 웃음이 터지기도 하고, 때로는 안타까운 감정도 느낀다.
특히 내가 웃음을 터뜨릴 수 밖에 없었던 에피소드는 작가의 할머니께서 말씀하신 "귀신은 읎다" 에피소드라 할 수 있겠다. 삼치편에 나오는 이야기인데, 나 역시 작가의 이야기를 읽으며 돌아가신 할아버지 귀신이 삼치떼를 몰아 가시는 모습을 상상하며 웃음을 터뜨렸다. 이렇듯 각각의 해산물 이야기에는 그 해산물과 관련한 다양한 일화들이 펼쳐진다.
책을 읽다 보니 문득 짠내가 물신 풍겨온다. 비릿한 바닷 바람 냄새가 맡아진다. 그리고 바닷가에 사는 사람들, 섬에 사는 사람들의 고단함이 느껴진다. 하지만, 그 고단함을 보상해주는 건 역시 바다가 가진 풍요로움이 아닐까. 농촌에서는 보릿고개에 힘겨워 해도 바다는 일년내내 사시사철 항상 무언가를 제공해 준다. 그게 깊고 푸른 바다가 인간에게 선사해 주는 가장 큰 선물이 아닐까.
실학자 손암 정약전 선생의 자산어보에 나온 문장을 인용하며 시작되는 본문을 따라 읽어 가다 보면 바다로 향하고 싶은 마음이 불쑥불쑥 솟아 오른다. 비록 앞으로도 바닷가에서 섬에서 살 수는 없을지라도 이제는 그저 낭만의 장소가 아닌 싱싱한 활어회를 먹기 위해 가는 곳이 아닌, 누군가의 삶의 터전이란 것을 가슴에 새기고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