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천국에서의 골프 - 세상을 바꾼 위대한 천재 18명의 인생 수업
밥 미첼 지음, 김성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5월
평점 :
절판
골프라.....
난 골프라고 하면 이런 생각을 먼저 떠올린다.
싸모님~~ 나이스샷!!(짝짝짝)
싸장님~~ 퍼펙트~~ (짝짝짝)
부자들의 사치스런 스포츠.
그리고 환경파괴의 주범이자 고도 자본주의 사회의 비뚤어진 한 단면이라고.
운동을 하려면 환경도 지키고 돈도 안드는 것도 많은데, 왜 굳이 저런 걸 해야만 하나, 자신의 부를 그렇게나 과시하고 싶은가 이런 생각들.
특히나 뉴스에서 해외 원정 골프 관광에서 추태를 부리는 한국인 모씨등의 기사를 보면 혀부터 끌끌끌차게 된다.
그런 내가 왜 '골프'란 단어가 들어간 책을 골랐냐고?
사실 처음엔 망설였지만, 책에 관한 설명을 보니 골프를 소재로 하고 있긴 하지만 골프를 빌어 이야기하는 인생 이야기란 걸 알았기 때문이다.
책의 주인공인 엘리엇 굿맨은 사회적으로 어느 정도 성공의 반열에 오른 인물이다. 사랑하는 가족이 있고, 대학 교수라는 어디에 내놓아도 번듯한 직장을 가진 중년 남성이다. 그런 그가 어느 날 심장마비로 쓰러지게 된다. 그는 병원에서 하느님을 만나게 되고 자신은 아직 갈 때가 안되었다고 기회를 달라고 한다. 하느님과의 대화가 끝나고 그는 하느님이 제시한 골프 경기를 치르게 된다는 것이 이 책의 주된 내용이다.
골프 코스에 들어서서 총 18홀의 경기를 하면서 그는 위인들을 비롯해 유명인사들과 게임을 치르게 된다. 총 18홀이니 총 18명의 사람과 경기를 치른다. 어라라? 원래 18홀까지 한사람과 경기를 하는게 아냐? 라는 생각이 들 수도 있겠지만, 그게 하느님이 정해준 룰인 것을...
엘리엇은 처음에는 이런 경기 방식에 위화감을 느끼지만 경기를 해나가고, 여러 명의 죽은 자들을 만나면서 하느님이 그에게 이야기하려 했던 것이 무엇인지 조금씩 깨닫게 된다. 여기에 등장하는 사람들은 레오나르도 다빈치, W.C. 필즈, 모세, 존 레논, 프로이트, 애드거 앨런 포, 소크라테스, 잔 다르크, 디드릭슨, 마릴린 먼로, 피카소, 링컨, 베토벤, 세익스피어, 루스 베이브, 콜럼부스, 간디, 호건과 총 18홀의 게임을 치뤘고, 마지막 서든 데스에서 골프장에서 일하는 한 노인(도그라고한다)과 마지막 승부를 겨루게 된다.
각각의 인물들과 만나 경기를 치르며 인생에서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배우고, 그들의 삶을 통해 인생의 묘미가 무엇인지 하나하나 깨닫게 되는 엘리엇. 이 책은 죽은 자들과 겨루는 골프 경기도 재미있지만, 더욱 흥미로웠던 건 역시나 죽은 자들과의 대화였다. 각 인물의 특성이 잘 드러나는 대화 방식은 정말 재미있었고, 그들과 대화를 해나가면서 현재의 자신을 돌아보고 반성하며, 좀더 많은 인생의 진리를 깨달아 가는 엘리엇을 보면서 나 역시 이런 저런 생각을 하게 되었달까.
이제껏 살아 오면서 앞만 보고 달려온 엘리엇. 그는 자신의 목숨을 건 골프 경기 하나를 통해서 이제껏 살아 오면서 배운 것들보다 더 많은 것을 배우게 되었다.
나는 나에게 진실이고 의미 있는 것만 받아들였어. 실패하면 의문을 품고, 고민을 했고, 교훈을 얻었지. 다빈치에게서는 결단력을, 필즈에게서 무아의 경지를, 모세에게서 정의를, 레논에게서 즐거움을, 프로이트에게서 집중력을, 포에게는 동정심을, 소크라테스에게는 자각을, 잔 다르크에게서 노력을, 작은 베이브에게서 겸손을, 먼로에게서 자만의 위험을, 피카소에게서 자립심을, 링컨에게서 성실을, 베토벤에게서 열정을, 세익스피어에게서 인간성을, 베이브 루스에게서 재능의 다양성을, 콜럼버스에게서 모험심을, 간디에게서 마음의 평정을, 벤 호건에게서 과감성을, 하느님에게서는 살아 있는 마음을.... (308~309P)
이렇게 엘리엇들이 배운 덕목들을 보면서 왠지 위인 전기 여러 권을 한 번에 읽은 느낌을 받았다고나 할까. 어린 시절 위인전을 읽으면 꼭 하나나 둘의 덕목을 강조하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하지만, 이 책은 다양한 사람들을 등장시키고, 그들과 대화를 하는 엘리엇의 모습을 보여주면서 삶에 있어서 다양한 가치를 다시 한번 생각케 만들었다.
인생이란 늘 순탄하지만은 않다.
늘 행복한 순간만 있는 것은 아니다.
이 책을 읽으며 엘리엇과 엘리엇이 치른 골프 경기를 보면서 인간의 인생에서 부딪힐 수 있는 수많은 난관과 장애를 간접 경험했다. 그리고 그 난관과 장애를 넘어 달디단 열매를 얻었을때의 기쁨도 함께 누렸다.
인생이란 커다란 지도를 골프 코스위에 놓고 18홀의 경기, 그리고 서든 데스의 경기까지 치르면서 자신의 인생을 돌아 보고, 앞으로의 인생을 어떻게 살아가야할지 다시금 깊게 생각해 본 엘리엇의 경험은 어디에 비할 수 없이 가치있는 것이었다고 생각한다. 물론, 깨달았다는 사실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그러한 것을 앞으로의 인생에서 실천해나가는 것이 더 중요하겠지만, 이러한 것도 깨닫지 못하고 삶에 짓눌리고 짜부러져 살아가는 우리네 인생을 생각하면 깨달음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얻는 것도 무척이나 부러운 일이다. 하지만 엘리엇이 우리를 부러워 할 것이 하나 있다. 우리는 죽음의 문턱이 아니라 그의 이야기를 접하면서 우리네 인생에 있어서 중요한 가치와 진리를 배우게 되었으니까.
시종일관 유쾌한 분위기로 즐겁게 쑥쑥 읽히는 천국에서의 골프.
위인 혹은 유명인을 이렇게 한자리에서 만나고, 그들의 이야기를 듣는 것은 무척이나 즐거운 일이었다. 그리고 영화 브루스 올마이티에 나오는 하느님을 연상케 하는 하느님과 엘리엇의 대화도 무척이나 흥미로운 점의 하나였다. 자칫 어렵고 무거워질 이야기를 재치있게 풀어 놓은 이 책은 팍팍한 삶을 살고 있는 우리 자신을 돌아보고, 앞으로 살아갈 인생에서 어떤 것에 가치를 두고 살아갈지를 다시금 생각케 만들어 준 책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