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슬람 정육점 ㅣ 문지 푸른 문학
손홍규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0년 6월
평점 :
이슬람 정육점. 책 제목만으로는 대체 어떤 내용인지 짐작하기도 어렵다. 하지만 뒷표지의 책 소개 글을 읽어 보니 한 소년의 성장을 다룬 성장 소설인듯 하다. 성장 소설을 좋아해서 이제껏 여러 권의 성장 소설을 읽어 왔는데, 이 책은 어떤 이야기를 담고 있을까. 이런저런 기대를 하며 난 책을 펼쳤다.
서울시 한남동에 위치한 모스크 주변의 빈민촌. 그곳에는 다양한 상처를 껴안고 살아가는 사람들이 살고 있다. 고아 출신의 소년 '나'는 한국전쟁 참전 용사인 터키인 하산 아저씨에게 입양된다. 부모가 누군지도 모르고, 이런저런 고아원을 떠돌던 '나'. 그곳에서 나는 사람들의 가식과 차별을 경험했고, 원래 세상은 그런거지라는 시니컬한 감정을 가진 아이로 성장한다.
주인공 '나'는 부모가 누군지, 어디서 태어났는지, 진짜 이름이 뭔지, 아무것도 모른다. 주변 상황을 눈치를 챘을 나이에는 이미 고아원에 있었으니까. 온몸이 상처투성이지만, 그런 상처가 왜 생겨났는지에 대해서도 잘 모른다. 그저 몸도 마음도 상처투성이, 흉터투성이였다. 하산 아저씨는 한국전쟁에 참전한 터키인으로 참혹한 전쟁을 겪으며 사람의 살점을 먹고 생존하게 된 트라우마를 가지고 있고, 지금은 모스크 주변의 동네에서 돼지고기를 파는 정육점을 운영하고 있다. 그리스인 야모스 아저씨는 그리스 내전당시 자신의 친척인줄 모르고 가족을 몰살시킨 커다란 상처를 안고 있고, 충남 식당 아줌마는 남편의 학대로 인해 아이마저 버리고 떠나와야 했던 아픈 과거를 가지고 있다. 말더듬는 유정은 가난과 가정 붕괴란 아픔을, 맹랑한 녀석은 동화속 세상에서 벗어나지 못하다가 결국은 생에 있어 모든 즐거움을 포기한 듯한 "죽을 건데, 뭘"이란 말을 반복한다. 주정뱅이 열쇠장이는 늘 분홍 코끼리 이야기를 하고, 대머리 아저씨는 전쟁의 상처로 인해 자신과는 전혀 상관 없는 일을 자신의 기억인양 자신의 머릿속 빈자리를 채운다. 싸전 김씨의 셋째딸은 지긋지긋한 동네를 벗어 나고 싶어 하지만, 왠일인지 늘 자신이 사는 마을로 끌려오게 되거나 되돌아 오게 된다.
등장 인물을 살펴보다 보면 조금 이상한 점이 눈에 띈다. 바로 무슬림인 하산 아저씨가 돼지고기를 파는 정육점을 운영한다는 사실이다. 무슬림에게는 금지된 돼지고기. 게다가 코란을 전부 외우고, 매일매일 기도도 빠뜨리지 않고, 무슬림들의 휴일인 금요일에 쉬고, 금식기간도 지키면서 모스크에는 발길조차 하지 않는다. 이러한 것은 전쟁의 참혹함이 남긴 상처가 여전히 치유되지 못함을 보여준다. 물론 빈민촌이다 보니 그곳에 사는 사람들의 경우 쇠고기는 언감생심 꿈도 못꿀 것이니 돼지고기를 파는 걸 수도 있겠지만, 이는 종교적인 교의와 관련한 것이기 때문에 딱히 그런 이유라고만은 단정 지을 수 없을 것 같다.
또한 고개가 갸웃거려지는 점은 도대체 어느 시대를 배경으로 쓴 소설인가 하는 것이다. 처음엔 온몸이 흉터투성이인 '나'는 전쟁 고아가 아니었나 싶었지만, 충남 식당 아줌마가 전쟁이 일어났을 당시 어린아이였다고 하는 말을 봐서는 '나'는 전쟁 고아는 아닌듯 하다. 게다가 '나'의 정확한 나이도 알 수 없다. 하지만 하산 아저씨와 똑같은 흉터 - 총상으로 인한 - 가 있다는 문장이 나오면서 도대체 시대가 어느 시대야?라고 하는 의문이 자꾸만 생겨난다. 한남동 모스크가 1976년에 세워졌으니 아무래도 '나'는 전쟁고아는 아닌듯 싶다. 뭐, 하산 아저씨도 야스모 아저씨도 이미 할아버지 나이대에 들어가니 한국전쟁후 몇십년의 세월이 흘렀다고 보면 될 것 같다. 즉, 전쟁의 상처는 아무리 시간이 지나도 아물지 않는, 바로 엊그제의 일처럼 남아 있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 바로 이런 부분에서 드러나는 게 아닌가 싶기도 하다.
빈곤한 삶. 수십년 전 전쟁의 상흔.
그러나 이 책은 우울하지만은 않다. 묵직한 소재를 끌어 왔지만, 시니컬한 '나'의 말은 수시로 웃음을 던져 준다. 왠지 이 녀석을 맹랑한 녀석이라고 부르고 싶어질 만큼. 하지만 그런 시니컬한 말, 그리고 박장대소를 터뜨리게 하는 이야기들의 이면에는 아픔과 상처가 겹겹이 봉인되어 있다.
그리고 하산 아저씨의 이야기, 충남 식당 아줌마의 이야기 속에는 고단한 삶에서 얻어진 삶의 진리가 숨어 있다. 하산 아저씨는 말수가 많지는 않지만, 가슴 속으로 깊숙히 파고드는 이야기를 한다. 이런게 진정한 삶의 철학이 아닌가 싶을 정도다. 또한 충남 식당 아줌마의 언뜻 보기엔 거칠지만, 그속에는 따스함이 묻어 난다. 특히 금일 휴업이라 써붙여 놓고도, 식당을 찾는 사람들에게 따스한 밥을 대접하기도 하는 모습에서 우리네 엄마들의 모습을 보았다고나 할까.
외국인이라고 차별당하거나 무시당하고, 가난해서 무시당하지만, 이들의 삶이 팍팍하지만은 않다. 돈이 많은 사람이 늘 행복하지만은 않듯이, 가난하다고 해서 늘 불행한 것만은 아니다. 낡아빠진 트럭에 몸을 싣고 시골로 가서 돼지를 잡아 즐거운 한때를 보내는 사람들의 얼굴에 지어진 미소가 머릿속에 그려진다.
하지만, 그후 라마단 기간을 거치면서 하산 아저씨의 건강은 급속도로 악화된다. 자신의 수명이 다할떄가 되어서야 자신을 '아버지'라 부르라는 하산 아저씨. 그런 모습에 코끝이 찡해져 왔다.
대부분의 이런 경우, 신파로 흐르기 일쑤지만, 이 책에서는 그저 먹먹한 감동만이 밀려들어 왔다.
"제 말 들으셨어요? 사랑해요...... 사랑한다구요."
나는 내 몸속으로 의붓아버지의 피가 흘러 들어온 걸 느꼈다. 뜨거웠다. 인간의 모든 기억들이 이처럼 단순하고 정직하게 이어진다는 걸. 나는 그때 처음 알았다. 나는 훗날 내 자식들에게 나의 피가 아닌 의붓아버지의 피를 물려주리라. 병실 구석에 섰던 이맘이 다가와 나를 껴안았다. 그날 나는 이 세계를 입양하기로 마음먹었다. (236P)
세상에 대해 "원래 세상은 그런거야"란 시니컬한 생각만을 가지고 있던 상처투성이의 소년. 그 소년은 이제 그 상처를 극복하고 감싸안게 되었다. 그리고 세상을 감싸 안을만큼 넒고 뜨거운 가슴을 가지게 되었다. 그리고 소년은 그 뜨거운 가슴을 자신의 아이에게도 전해주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