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있기 좋은 날 - 제136회 아쿠타가와 상 수상작
아오야마 나나에 지음, 정유리 옮김 / 이레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람들에게는 늦든 빠르든 그 순간이 찾아 온다. 그건 바로 '독립'이라는 순간이다. 태어나서부터 부모님의 보살핌을 받으면서 성장하다가 언젠가는 그 곁을 떠나 혼자가 된다. 하지만 그건 가슴 설레고 떨리는 순간이기도 하지만 긴장과 불안을 동반하기도 한다.

스무살의 치즈는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도쿄로 왔다. 역이 보이는 자그마한 단독주택에 사는 깅코씨의 집에 얹혀살게 된 치즈는 프리터로 생활하고 있다. 치즈가 어머니의 곁을 떠나 독립하게된 것은 어머니가 중국으로 가게 되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치즈가 어머니로부터 독립하고 싶었기 때문이기도 하리라.

낯선 집, 낯선 사람, 낯선 일. 
큰소리치며 엄마곁을 떠났지만 치즈는 막상 자신이 새로 접하는 모든 것에 대해 낯설다. 하지만 조금씩 깅코씨와도 친해지고, 남자친구도 새로 사귀고, 새로운 아르바이트에도 잘 적응해나가는 것처럼 보여도 뭔가 균형이 맞지 않는다는 것은 스스로도 알고 있다. 

가벼운 도벽 증상이 있는 치즈. 그녀는 깅코씨, 새로운 남자친구 후지타, 깅코씨의 남자친구 호스케씨등의 작은 물건을 훔치고 그것을 신발통안에 넣고 가끔 열어 보는 순간을 즐긴다. 마치 그 속에 그들과의 모든 추억이 고스란히 담겨있는 것처럼. 어린 아이가 자신의 체취가 묻은 담요나 인형에 집착하는 것처럼. 그런 것은 치즈는 어머니 곁에서 몸은 독립한 것은 맞지만 아직 마음은 독립하지 못했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그에 비해 벌써 일흔이 넘은 할머니인 깅코씨는 스스로를 잘 가꾸고, 자수를 놓고, 댄스도 배우고, 호스케씨와의 사랑도 잘 이루어져 간다. 오히려 스무살의 치즈보다 더 활기찬 생활을 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우리가 생각해 오던 이십대와 칠십대의 이미지를 떠올리면 두 사람의 생활이 뒤바뀐게 아닌가 싶을 정도다. 스물살이라면 꿈 많고 행복한 시절. 뭐든 다 이룰수 있는 나이. 그리고 아직 길고 긴 세월이 있는 나이이고, 일흔 하나라면 살 날이 얼마 남지 않은 나이, 완고한 나이, 그리고 세상에 대한 재미를 못느끼는 나이라고. 그러나 현재의 삶에 더 만족하고 더 행복해하는 건 오히려 깅코씨이다. 

물론 세월의 연륜이 묻어나오기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그것만으로는 설명이 부족하다. 어쩌면 아직 치즈는 어리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그러하기에 더 불안하고, 더 전전긍긍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그래서 더 외롭다고 느끼는 것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 외로움이란 건 누군가 대신할 수 있는 것도 아니요, 누군가에게 위로받는다고 해결되는 것도 아니다. 치즈는 깅코씨와 함께 하면서 그런 것을 자연히 깨달아가게 된 것은 아닐까. 

치즈와 깅코씨의 대화, 그리고 깅코씨의 연륜이 담긴 촌철살인의 말 한마디가 가슴에 잔잔히 퍼져 나간다. 고교시절까지를 세상의 안쪽, 대학시절을 그 중간단계, 그후 시절을 세상밖이라 생각했던 나도, 세상에는 안팎이 있다고 생각했던 치즈도 모두 틀렸다. 세상은 하나라는 깅코씨의 말이 큰 여운을 남긴다.  

현대의 가정과 가족, 사회상을 잘 담고 있으면서도 어렵지 않게, 조용하게 그 이야기를 담아내는 혼자 있기 좋은 날은 짧은 분량에도 불구하고 많은 생각할 꺼리와 여운을 남겼다. 모든 것은 처음이 어려운 법. 특별하다고 할 수도 있고, 특별하지 않을 수도 있는 그 과정. 치즈는 그 첫발을 떼기가 두려웠지만, 그건 누구나 겪어야 하는 과정이다. 치즈의 그 용기있는 한걸음에 용기를 얻어 또다른 한발을 내딛는 독자들도 많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