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시전설 세피아
슈카와 미나토 지음, 이규원 옮김 / 노블마인 / 2007년 8월
평점 :
절판
올요미모노 추리소설 신인상을 수상한 작품인 올빼미 사내. 사실 올요미모노 상이란 것은 이 책을 읽으면서 처음으로 들어 본 상의 이름이다. 일본에는 정말이지 다양한 상이 존재하는군.. 이란 생각도 잠시. 나는 금세 책속으로 몰입해 들어갔다.
총 다섯편의 단편이 수록된 도시전설 세피아.
도시전설은 우리말로 하자면 도시괴담정도가 되려나? 문득 내가 어린아이였던 시절 유행했던 괴담들이 문득문득 떠올랐다. 지금 기억하는 것 중에 제일 오래된 기억은 역시 홍콩할매귀신 이야기랄까. 내가 초등학교 다닐 때였는데, 그때 싸구려 잡지에도 그런 이야기가 실렸던 기억이 난다. 아마도 괴담류를 취급했던 잡지였던 걸로 기억한다. 지금 생각하면 웃기지만, 당시에는 꽤나 무서워서 혼자 다니는 걸 되도록 피하려고 했던 기억이 난다.
그리고 세피아란 색감. 내가 사진을 찍으면서도 무척이나 좋아하는 색감이 바로 세피아다. 왠지 오래되어 바랜듯한 느낌이랄까. 흑백사진의 선명함보다는 부드러운 느낌을 줘서 무척 좋아하는 색감인데, 세피아란 낡은 것이란 이미지를 준다. 도시전설도 그런 것이겠지. 한때 유행하고 기억속에 남은 어떤 것. 그래서 이 두 단어가 잘 어울려 보이는지도 모르겠다.
첫번째 단편인 올빼미 사내는 스스로 도시전설이 되어버린 남자의 이야기이다. 도시전설을 만들어내고, 유포한 후 그것을 증명하기 위해 스스로 올빼미 사내가 되어 버린 남자. 그는 사람들이 그 괴담을 진실로 믿게 하기 위해 사람들을 죽이러 다닌다. 어찌보면 흘려 들어 버릴만한 것이 도시괴담이지만, 그것이 현실이 되면 공포가 된다. 1인칭 시점으로 편지글로 구성된 올빼미 사내. 그의 고백은 섬뜩하며 광기에 사로잡혀있다. 이 단편을 읽으면서 생각한 건데, 괴담이나 전설은 그자체로만 존재해야지 현실이 되면 진짜 공포가 된다는 것이다. 마지막의 반전이 압권. 그것을 본 후 난 한번더 이 단편을 읽어야겠다고 생각했다. 그것 하나로 이야기의 흐름 자체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어제의 공원은 섬뜩하면서도 슬펐던 느낌이 강했다. 매일매일 그 시간으로 돌아갈 수 밖에 없었던 과거의 어느 날. 운명은 이미 그렇게 되도록 되어 있었고, 그것은 되돌릴 수 없었다. 그것을 피하고자 하면 더욱더 큰 아픔과 슬픔이 기다릴 뿐. 이 단편 역시 마지막의 반전에서 소름이 끼칠 정도로 섬뜩함을 느꼈다. 그러면서도 깊은 슬픔이 느껴졌달까. 공포와 슬픔, 잘 어울리기 힘든 소재이지만 멋지게 어우러져있던 단편.
아이스맨은 마츠리란 공간과 갓파라는 다소 환상적인 소재가 등장하지만, 그 이면은 섬뜩할 정도였다. 원래 갓파는 우리나라 도깨비처럼 사람들에게 장난치길 좋아하지만, 해는 끼치지 않는다. 그런 갓파의 이미지, 마츠리의 시끌벅적한 풍경 속에서 동떨어진 섬뜩함이 이 단편의 주요 내용이랄까. 그 갓파의 정체와 주인공이 오랜 시간이 지난후 다시 만난 갓파의 정체. 그리고 주인공의 선택이 아주 섬뜩했다.
사자연은 죽은 자에 대한 집착이랄까. 그러한 것이 전반적인 내용이다. 원래 죽은 자에 대해서는 환상을 갖기 쉽다. 죽은 자는 산자들에 의해 미화되기 쉬운 존재이기 때문이다. 한 여성 화가가 한 여성과 인터뷰를 하는 형식이지만, 그녀의 고백이기도 하다. 그들의 과거에 얽힌 이야기. 그것은 커다란 비극을 낳았다. 이 단편 역시 반전에 주목.
마지막 수록작품인 월석은 인간의 마음속에 내재되어 있는 죄책감에 대한 이야기랄까. 사람들은 누구나 상대에 대해 미안한 마음이나 죄책감을 가지게 된다. 그것은 마음 속에 존재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현실적으로 눈앞에 나타난다면?
세련되었지만 섬뜩하며, 애틋한 슬픔과 아픔이 느껴지지만 엄청난 반전이 기다리고 있는 도시전설 세피아. 어느 것 하나 빼놓고 싶지 않을 만큼 모두 섬뜩함과 강렬한 반전이 기다리고 있었던 책으로 기억될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