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쿠와 우키요에, 그리고 에도 시절 - Art 020
마쓰오 바쇼 외 지음, 가츠시카 호쿠사이 외 그림, 김향 옮기고 엮음 / 다빈치 / 2006년 3월
평점 :
절판


몇 년전 인터넷에서 우연히 우키요에를 접하게 되었다. 무척 특이하다라고는 생각했지만, 그때는 바로 우키요에 대해 알아볼 생각을 못한 채 관심만 가지고 있던 상태였다. 그러다가 어느 날 책을 검색하다가 우키요에에 대한 책을 두 권 발견했는데, 그 중의 하나가 바로 이 책이다. 다른 한권은 우키요에와 에도 시대에 대한 내용으로 채워져 있어 일단은 우키요에와 우키요에가 발달하게 된 에도 시대에 대해 정보를 얻기 위해 그 책을 읽었다. 도판이 많기는 했지만, 크기가 작은 편이라 조금 아쉬웠지만, 이 책은 도판의 크기가 무척 큰지라 우키요에를 보는 것만으로도 무척이나 만족스러웠다.

난 하이쿠의 경우 일본의 단가 중의 한 장르란 것을 알고는 있었지만, 딱히 그 방면에 대한 지식은 전무했다고 봐도 된다. 다만 나쓰메 소세키의 나는 고양이로소이다 등에 잠깐씩 하이쿠를 어쩌고 저쩌고 하는 문장들이 등장해 무척 궁금했던 건 사실이다. 그렇기는 하지만 우리나라의 시조라든지 현대시들도 어려워하는 나에게 일본의 하이쿠란 건 어쩌면 좀 피하고 싶은 그런 것이었을지도 모르겠다. 일단 하이쿠 외에는 와카란 것을 알고 있다. 와카는 겐지이야기에 무척이나 많이 등장했는데, 자신들의 마음을 말로 전하기 보다는 글로써 그것도 비유와 은유가 가득한 글에 담아 상대에게 보내는 것에 대해 무척이나 낭만적이고 아름다운 것이라 생각하긴 했지만 해석이 없으면 무슨 내용인지 모를 지경이라 역시 난 이런 시를 닮은 것과는 인연이 없나 하는 그런 생각도 들었다.

일단 이 책의 구성을 보면 하이쿠와 우키요에에 대해 간략한 설명이 나온다. 그러나 간략하다곤 해도 하이쿠와 우키요에에 대한 기본 지식은 충분히 습득할 수 있을 만한 양이며, 설명도 너무 어렵지 않아서 개요 정도를 파악하기엔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전문가가 아닌 이상 그 이상의 정보는 혼란스럽기만 할 것이므로. 

그후 목차를 보면 봄, 여름, 가을, 겨울 편으로 나뉘어져 하이쿠와 그 하이쿠의 내용에 최대한 근접해 있는 우키요에가 실려 있다. 또한 하이쿠를 끊어 읽는 방법은 앞부분에 자세히 나와 있는데다가, 한자와 우리말 해석(그리고 일본어의 우리말 발음)까지 실려 있어 일본어를 모르더라도 하이쿠를 읽고 감상하는 데에는 전혀 무리가 없다. 나같은 경우엔 일본어를 공부하는 중이라 한자 옆에 후리가나가 달려있으면 더 좋았을 것 같다고 생각하긴 했다. 

그리고 역시 최고는 하이쿠 한 수와 더불어 우키요에가 함께 실려 있는 부분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사실 하이쿠만 봐서는 의미 파악이 모호할 수 있을 수도 있겠으나 우키요에가 있음으로 해서 하이쿠가 의미하는 바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고, 또 우키요에를 보면서 나름의 상상과 해석을 덧붙일 수 있는 점도 좋았다. 또한 하이쿠 옆에 따로 해석을 달지 않아 독자 나름대로의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게 만들어 준 점도 무척이나 좋았다. 



잇사의 시와 더불어 함께 소개된 그림은 구와가타 게이사이의 <앵하유연도(櫻下遊宴圖)> 이다. 벚나무 아래에서 꽃놀이를 즐기는 사람들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꽃그늘 아래에선 모든 긴장도 경계도 풀고 즐겁게 꽃놀이에 열중하는 사람들의 모습이 그대로 느껴지는 듯하다.



부손의 하이쿠와 야마모토 고이츠의 < 제비붓꽃에 오리 그림>이다. 여름이면 붓꽃. 그리고 오리가 살짝 뛰어 오른 모습이 경쾌하기 그지 없다. 



가을이라고 하면 역시 사슴과 단풍을 빼놓을 수 없다. 부채의 앞뒷면에 그려진 사슴과 단풍. 난 이것을 보면서 화투의 풍을 떠올렸다. 화투에 표현된 것도 4계절을 뜻하는 것이라니, 아마도 이런 우키요에서서 따온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그림은 사카이 호이츠의 <녹풍도(鹿楓圖)>이다.



겨울하면 역시 눈이다. 눈이 오는 길을 연인 두 사람이 우산을 받치고 걷고 있는 모습이 무척이나 다정스러워 보인다. 그림은 스즈키 하루노부의 <눈속에 우산을 함께 슨 연인들(雪中相合傘)>이다. 사진에는 없지만 이 페이지에는 바쇼의 하이쿠가 함께 실려 있는데, 너무나도 아름답다. 그건 책으로 직접 확인하시길...



이 작품은 역시 겨울을 상징하는 그림으로 가츠시카 호쿠사이의 <눈속의 늙은 호랑이>란 작품이다. 이 그림을 보았을 때 무섭다기 보다는 웃음이 먼저 풋하고 났는데, 우리나라의 민화에 나오는 호랑이처럼 무척이나 친근한 느낌이었다. 눈속을 겅중겅중 뛰는 호랑이의 모습, 눈이 오는 게 신이 나서 그런 걸까, 아니면 발이 시려서 그런 것일까.... 

이외에도 이 책에는 수많은 하이쿠와 더불어 우키요에가 실려있다. 특히 우키요에의 도판은 300점에 가까울 정도로 많다. 그 속에는 풍경화, 인물화를 비롯해 초충도, 화조도 등도 있고, 우키요에하면 떠오르는 우타가와 히로시게의 판화도 수를 셀 수 없이 많이 수록되어 있다.

간결하지만 각 계절의 정취를 담뿍 담고 있는 하이쿠와 일본 에도 시대의 모습을 그대로 옮겨 놓은 듯한 우키요에와 당시 사람들의 모습, 그리고 각 계절을 풍성하게 표현해놓은 우키요에를 보고 있으면 시간 가는 줄을 모른다. 또한 각각의 하이쿠와 어우러지는 우키요에를 보면서 각자 나름대로의 상상력을 덧입혀 보는 것도 또하나의 즐거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지극히 일본적인 하이쿠와 우키요에. 그것은 일본의 문화만이 가질 수 있는 아름다움이 가득한 보고라고 생각한다.

사진 출처 : 본문 中 (46P, 118P, 232~233P, 249P, 261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