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갈라파고스
커트 보네거트 지음, 박웅희 옮김 / 아이필드 / 2003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커트 보네거트의 책은 이번이 두 번째이다.
첫번째로 읽었던 건 고양이 요람이었는데, 그것은 고양이 요람(실뜨기)를 하듯 재미로 만들어진 지구를 멸망시켜 버리는 무기에 관한 이야기였다. 과학 기술에의 지나친 의존, 그리고 인류를 몰살시킬 위력을 가진 무기를 만드는 데에 있어서의 조금의 죄책감도 보이지 않았던 박사, 그는 다만 그 연구를 즐겁게 생각했을 뿐이었다. 하지만 내가 머리가 나쁜 건지, 아니면 커트 보네거트의 블랙 유머에 대한 인지가 부족한 것인지는 몰라도 책을 읽는 내내 고개가 갸웃거려졌다.
사실 갈라파고스도 마찬가지였다. 읽으면서도 어디서 웃어야 할지에 대해 무척이나 난감했던 것이다. 블랙 유머의 지존이라고까지 여겨지는 커트 보네거트. 하지만 난 줄거리 파악에도 급급했다. 뭐, 하긴 커트 보네거트의 소설은 워낙 이리 튀고 저리 튀는 면이 많은데다가, 갑자기 다른 이야기가 끼어들기 일쑤라 정신없는 건 여전하다. (그래 봤자 아직 두 권째이지만...)
갈라파고스는 갈라파고스 섬 투어를 위해 에콰도르에 모여든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그들 중에는 사기꾼도 있고, 퇴직 교사도 있으며, 돈으로 세상을 움직이는 사람, 과학 기술의 천재 등 특색있는 인물들이 등장한다. 그리고 화자는 유령이자 100만년동안 인류의 발달 과정을 지켜본 인물이기도 하다. 소설의 배경은 1900년대 말이지만, 모든 것은 유령의 과거 회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SF 소설에 왠 유령이라고 할 사람도 있겠지만, 그다지 SF 소설이란 느낌은 안든다)
줄거리를 간략하게 살펴 보면, 과학 기술의 발달과 전쟁 등으로 인류가 멸망하고 살아 남은 몇몇 사람이 신인류의 조상이 된다는 설정이다. 인간의 손길이 닿지 않아 독특한 생태를 유지하고 있는 갈라파고스 군도의 생명들처럼 이들도 인류 멸망 후 100만년이 지나 새로운 인류가 탄생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다지 많은 변화는 보이지 않는다.
사실 인류의 탄생에서 현대 인류로 발전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지났지만, 초기 발달에서 어느 정도까지의 수준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이 많이 걸렸을 뿐 현생 인류는 급속하게 발달했다. 특히 인류가 자신의 머리를 이용해 다양한 기술을 발달 시키면서부터는 그야말로 초고속 엘리베이터를 탄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그것이 인류를 파멸로 몰아 가는 밑거름이 되었을줄 누가 상상이나 했겠는가. 지금도 인류는 만물의 영장이니 뭐니 하면서 자만에 빠져있다. 하지만, 인류의 미래에 과연 희망은 있는 것일까.
삐딱한 시선으로 바라본 커트 보네거트식 신인류 탄생 비화, 갈라파고스.
고양이 요람보다는 읽기 수월했지만, 여전히 그가 말하고자 하는 것의 본질에 다다르기엔 아직 부족한 점이 많았다. 그래서 아쉬움이 남았던 책이고, 나중에 다시 한 번 더 읽어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