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7월 24일 거리
요시다 슈이치 지음, 김난주 옮김 / 재인 / 2005년 9월
평점 :
절판
항간에는 무슨 무슨 컴플렉스란 용어가 참 많다. 신분 상승을 꿈꾸는 여자들을 빗대는 신데렐라 컴플렉스, 무슨 일이든 알아서 척척척 해내는 모습의 여성인 수퍼 우먼 컴플렉스 등등. 그런 식으로 생각해 보자면 7월 24일 거리의 주인공인 혼다 사유리는 착한 여자 컴플렉스 혹은 좋은 사람 컴플렉스를 가지고 있는 여성이라 할 수 있다.
자신이 살고 있는 도시를 포르투칼의 리스본에 빗대어 공상하며 즐기는 혼다 사유리는 수수한 외모에 평범한 직장을 다니는 직장 여성이다. 그녀에게는 홀아버지와 모델도 울고 갈 만큼 외모가 준수한 남동생 코지가 있다. 사유리는 코지를 보면서 동경의 대상뿐만 아니라, 이상적인 남성형으로 볼 정도로 동생에 대한 사랑이 지극한 여자다.
하지만, 사유리는 상상만 할 뿐 실질적으로 행동으로 옮기는 행동력은 제로에, 이혼 위기의 상사 부부의 이야기를 늘 들어주는 입장에 있다. 즉, 남에겐 좋은 사람이라는 평은 받지만 매력적인 여성이란 이야기는 듣지 못한다.
책 본문 전에 나오는 총 10개의 소제목은 그런 사유리의 행동 패턴이나 사고 방식, 그리고 그녀가 경험해 왔던 것들을 나열해 놓은 듯하다. 고교 시절 고백을 해왔던 남학생이 눈에 띄지도 않았던 남학생이었단 사실에 자신도 역시 그러한 수준인가 싶어 절망하고, 첫남자와의 관계는 우연히 시작되어 우연히 끝나버렸다. 이렇다 할 사랑도 해보지 못한채 늘 상상의 세계에 사는 그녀는 동창회 소식에 그 옛날 짝사랑하던 선배가 온다는 소식을 듣게 된다.
이상하게도 우리는 이루지 못했던 사랑에 대해 동경을 늘 가지게 된다. 실제로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가 보다는 그 사람과 함께 보내는 시간은 이러이러 할 것이다란 상상으로 그 생각은 무지개빛으로 빛나게 되기 때문이다. 사유리 역시 그동안 사토시를 보면서 부풀려 왔던 상상들을 사토시와 재회함으로써 다시 떠올리게 된다.
한편으로는 동생의 여자 친구와 만난 후 충격을 받게 되는 사유리. 사유리 입장에서는 좀 더 멋지고 근사한 여자를 만났으면 하는 바람을 가지고 있지만, 코지의 여자 친구 메구미는 평범하다 못해 코지가 도대체 어디서 이런 여자를 만났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자신이 불꽃같은 사랑, 멋진 사랑을 못했던 만큼, 자신이 동경하는 이상형을 만날 수 없었던 만큼 동생인 코지에게 거는 기대는 남달랐을 거라 생각한다. 어쩌면 메구미에게서 자신의 모습을 그대로 보았기에 그 충격에 더 그랬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든다.
사람의 일생에 있어 실수나 실패를 하지 않는 사람은 없다. 그것은 사랑이란 것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일 것이라 생각한다. 완벽한 사랑은 공상속에서나 존재하는 것이지 현실에서는 거의 이루기 어려운 것이라 생각한다. 사유리가 꿈꿨던 사랑은 공상속의 사랑일 뿐이었다. 사유리는 사토시와 만나면서 불안함을 느낀다. 항상 고교 시절의 사토시와 사귀던 아키코의 그림자가 그 둘 사이에 드리워져 있기 때문이다. 그 그림자를 떨쳐 내지 못하는 이상, 그리고 이 사랑이 비록 실패로 끝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부정하지 못하는 이상 사유리는 사랑이란 걸 영원히 할 수 없을 지도 모른다. 하지만 실수란 것을 두려워 하지 않고 한 발을 내디딘 사유리. 비록 앞날은 여전히 불투명해 보이지만 인생이란 그런게 아니겠는가. 진정한 용기를 가진 자만이 미인을 얻는다는 말이 있듯이 실수나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당당하게 사랑앞에 나설 용기를 가진 자만이 사랑을 얻을 수 있을 지도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