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언덕길의 아폴론 1
코다마 유키 글.그림, 이정원 옮김 / 애니북스 / 2010년 1월
평점 :
품절
일본의 60년대라고 하면 난 먼저 전공투가 떠오른다. 하루키의 소설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부분 역시 그 시대에 느낀 상실감과 그것의 극복이란 것이었으니. 따라서 60년대라고 하면 그러한 어두운 역사적 사실부터 떠올리게 된다.
하지만, 언덕길의 아폴론은 1960년대를 배경으로 하면서도, 고교생들을 주인공으로 재즈를 소재로 삼고 있다. 물론 도쿄에서 먼 지방이란 것도, 등장 인물이 고교생이란 것도 한몫하겠지만, 이 만화 자체의 분위기는 밝고 경쾌했다.
주인공 카오루는 아버지의 일 문제로 유난히 전학을 많이 다녔다. 사실상 전학이란 것은 꽤나 충격적인 일이다. 나야 초등학교 때 전학을 한 번 한게 다이지만, 그게 두고 두고 마음에 남아 있을 정도였다. 친구들과의 헤어짐, 새로운 환경에서의 적응이란 건 어린 내게 큰 충격이었다. 카오루 역시 마찬가지. 전학이란 게 하면 할수록 익숙해지는 건 절대 아니었다. 늘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야 한다는 것은 사춘기 소년에게는 큰 짐이 되었으리라. 게다가 친척집에 얹혀 살면서 좋아하는 피아노도 마음대로 칠 수 없었다는 것은 소년의 유일한 탈출구가 근본적인 것부터 막혀 있다는 의미도 될 테니까.
모범생 스타일의 도련님이란 이미지때문에 쉬이 급우들 속에 섞여 들어가지 못하는 카오루가 유일하게 학교에서 숨을 쉴수 있는 공간은 옥상이었다. 그곳에서 만난 센타로는 카오루와 한 반 급우이자 불량군. 묘하게 시작된 우정, 그리고 센타로의 소꿉친구이자 카오루를 잘 돌봐주는 학급위원 리츠코까지. 이제껏 학교는 숨이 막히는 그런 곳이라 생각했던 카오루에게 학교는 새로운 만남과 동시에 설렘도 가져다 주었다.
학교란 사실 지겨운 곳이긴 하다. 하지만 어떤 친구를 만나느냐에 따라 학교는 무척 즐거운 곳이 되기도 한다. 카오루에게 필요한 것은 그러한 것들이 아니었을까.
카오루의 인생에 불쑥 끼어든 건 이 두 사람만이 아니었다. 이제껏 클래식 음악만 연주해왔던 카오루에게 재즈란 음악이 들어왔다. 이것도 어찌보면 센타로와 리츠코의 영향이겠지만. 딱딱하고 정형화된 클래식 음악에서 벗어나 자유분방하고 시끌벅적한 재즈와의 만남은 카오루에게 음악의 즐거움을 다시 찾게 해주는 계기가 된다.
비가 오는 옥상에서의 레이스 장면도, 맑은 강물에서 멱감는 일...
여름날의 풍경이 그대로 녹아든 장면 장면들.
그리고 센타로의 드럼, 아저씨의 콘트라베이스, 준이치의 트럼펫, 그리고 카오루의 피아노 음색이 어우러지는 그 장면은 너무나도 유쾌했다. 문득 나도 저들 사이에서 고개를 까딱이며, 발을 구르며 장단을 맞추고 싶다는 그런 생각이 불쑥 들어 혼자 얼굴을 붉혀 버렸다.
고교 시절의 첫사랑, 우정, 그리고 재즈란 장르의 음악.
이 모든 것이 하나로 어우러져 경쾌한 한편의 만화를 만들어 냈다.
고교 시절 이후, 재즈는 거의 듣지 않았지만, 왠지 이들을 만나고 나니 해묵은 재즈 음반 하나를 꺼내 듣고 싶다는 생각이 문득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