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공포 문학 단편선 2 - 두 번째 방문 밀리언셀러 클럽 - 한국편 10
이종호 외 8인 지음 / 황금가지 / 200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공포문학 단편선 2권은 1권에 비해 편수는 한 편이 적지만 분량은 더 많다. 1권은 짤막짤막한 단편이 몇 편 실려 있었고, 대부분 스플래터였다면, 2권은 좀더 다양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2권은 현대의 여러 가지 사회 문제와 밀접하게 관련된 공포물이 다수를 차지한다. 물론 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없는 어떤 초자연적인 공포와 관련된 작품도 몇 작품 있지만, 결국 그것도 안을 자세히 들여다 보면 인간 내면 심리에서 기인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첫번째 작품인 <벽>의 경우 층간소음을 소재로 삼고 있다. 요즘은 단독 주택보다는 다세대 주택이나 아파트같은 공동 생활 공간에서 사는 가구가 늘다 보니, 층간 소음 문제가 사회 문제로까지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이 단편에서는 층간 소음과 관련해 초자연적 현상까지 끌여 들여 그 공포의 폭을 확대시켰다는 점이 눈에 띈다.

<캠코더>는 병원을 배경으로하고 있는 단편으로, 늘 죽음의 공포가 지배하는 병원의 음울한 분위기를 담아 낸다. 사람의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캠코더에만 보이는 어떤 존재, 그것은 저승사자인가, 아니면 인간의 죽음에 대한 공포가 만들어낸 환상인가.

<길 위의 여자>는 공포 영화에서 자주 등장할 법한 이야기이다. 우연히 히치하이킹으로 차를 얻어 타게 된 남자가 납치 감금되어 무서운 일을 겪는다. 어떤 기이한 생명체의 장난감으로 농락을 당하고 죽음의 위기에까지 몰리는 남자. 그에게 남은 선택은 어떤 것이 있을까.

<드림머신>의 경우 연인이나 친구인 두사람이 서로의 꿈을 공유하는 기계에 대한 이야기이다. 꿈이란 단어가 들어가 있는 만큼, 이 이야기는 현실성보다 허구성이 짙은 작품이다.

<통증>은 아내의 실종 후 신체적 변화를 겪는 한 남자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어느 날 자신의입속에 새로운 치아들이 돋아 나고, 손가락이 더 생겨나는 등 기묘한 일들이 생겨 난다. 결국 자신이 죽인 아내의 몸이 남편의 몸에서 되살아난다는 줄거리인데, 과연 이것은 과연 이 남자의 죄책감에서 비롯된 것일까. 아니면 아내의 원한 때문인 것일까. 그러나 더이상의 언급은 없으며, 전적으로 독자에게 판단을 맡기고 있다.

<레드 크리스마스>는 빈부 격차에 따른 갈등을 소재로 그려진 단편이다. 요즘 한국 사회는 분양 받는 아파트냐 임대 아파트냐에 따라 일종의 계급이 나뉘어진다. 바로 그런 문제를 소재로 삼고 있는데, 가해자들이 피해자에게 주는 고통은 처절했고, 결국 피해자가 가해자들에게 벌을 내리는 방식은 처참했다. 부의 유무만으로 인격이 판단되고 대접받는 이 세상. 그러나, 근본적인 대책이 없는 한 이런 일은 지속되리라.

<압박>은 왠지 어디서 읽었다거나 본 느낌이 강한 소설이었다. 전신마비의 남자의 집의 벽이 점차 안으로 밀려 들어와 그 공포로 남자가 서서히 죽어간다는 내용인데, 대충 스토리는 짐작이 가능할 정도로 심플하다. 하지만, 스플래터가 아닌 심리적 공포를 그리고 있다는데 점수를 조금 주고 싶다. 
이 벽이 움직이는 현상은 인간의 공포를 자극하는 실험극인데, 왜 이런 실험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아무런 이유가 언급되지 않았다는게 좀 실망스러웠다.

<벽곰팡이>는 아메리칸 드림을 안고 미국으로 간 한국인들이 백인들에게 받는 인종차별문제를 그리고 있다. 소재는 좋았으나 마무리가 약한 것이 좀 아쉬웠다.

<폭설>은 눈보라가 몰아치는 산속의 한 산장에서 벌어진 참극을 다루고 있다. 서로 죽고 죽이는 그 참극은 과연 그 산장에서 죽은 원귀의 소행일까, 인간들의 어두운 그늘에서 나온 집단 학살일까. 

1편에 비해서는 다양한 소재가 사용되었다는 점과 스플래터만이 아닌 인간의 마음속 깊은 곳에 감춰진 욕망과 어두움이 만들어 낸 공포, 그리고 현대 사회의 문제등을 다루었다는 점은 높은 점수를 줄만하다.

그러나, 여전히 단편 속에 나오는 주인공중 남자들은 가부장적 남성상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젊은 작가들이 다수인데도), 불필요하게 욕설을 남용하는 건 여전히 마음에 들지 않는다. 하지만 호러 소설의 불모지인 한국에서 이렇듯 다양한 소재의 소설들이 나왔다는 점에서는 박수를 주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