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기아 - 세계는 지금처럼 부유한 적도 없었지만 지금처럼 가난한 적도 없었다
크리스티앙 트루베 지음, 김성희 옮김 / 알마 / 2009년 10월
평점 :
절판


  당신은 기아에 대해 얼마나 많이 알고 있는가.
누군가가 나에게 묻는다면, 부끄럽지만 난 몇 마디 대답밖에 할 수 없다.
내가 살고 있는 이 곳에는 이미 기아라는 말과는 상관없는 곳이 되어 버렸고, 나 역시 어린 시절부터 풍족하게 먹고 자란 세대이기 때문이다.

기아(飢餓)의 사전적 의미는 굶주림이다.
누구나에게 물어도 기아의 의미는 알고 있다. 그러나 사전적 의미가 아닌 기아의 실태와 대처 방안에 대해서 묻는다면 자신있게 대답할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나 역시 기아라고 하면 아프리카의 몇몇 나라의 어린 아이들 모습이 제일 먼저 떠오른다.
소말리아, 에티오피아의 어린 아이들.
팔다리는 기형적으로 말랐고, 배만 불룩한 아이들의 모습이 먼저 떠오른다.

아프리카는 대부분 후진국이고, 1차 산업으로 연명하는 나라이기에 자연 재해만으로도 커다란 타격을 받는다. 그러나, 이 책 <새로운 기아>는 자연 재해에서 기인하는 기아 문제 외에도 민족이나 종교로 인한 분쟁, 고도 자본주의 사회의 발달로 인한 부의 불균형 등등 인간으로 인한 기아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기아의 발생 원인, 기아의 현주소, 그리고 기아 퇴치를 위한 여러 가지 활동들에 관한 이야기로 꽉 차있는 이 책은 솔직히 말해서 읽기 쉬운 책은 아니다. 빼곡하게 적혀 있는 수치는 눈을 빙빙 돌게 한다.
그러나 수치로 환산하지 않고 다만 기아 문제가 심각하다라고 서술했다면 썩 와닿을 것 같진 않았기에, 수치에 대한 부분은 반드시 들어가야 했을 거란 생각은 든다.

세계 각국의 기아 실태를 서술한 장을 보면 기아의 원인이 굉장히 다양하다는 것을 알수 있다. 비단 환경문제 뿐만이 아니라, 민족간의 분쟁, 종교 분쟁, 그리고 무분별한 개발로 인한 삶의 방식의 급격한 변화와 도시 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발생하는 기아까지 기존에 우리가 알고 있던 것 이상으로 심각한 모습을 보여준다.

기아는 어른보다 어린이에게 커다란 영향을 준다.
어른이야 한두끼 굶어도 목숨에는 지장이 없지만, 한창 자라야할 영유아의 경우 기아 사망율이 높다. 세상의 미래를 책임질 아이들이 굶어 죽어간다는 현실. 이 책을 읽는 내내 그 사실이 가슴을 짓눌렀다. 하루 2만 5천명이 기아로 사망하고, 그중 어린이가 1만 8천명이란 글을 보았을 때, 솔직히 충격적이었다.

인간이 생존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필요로 하는 것은 영양소이다. 그리고 그 영양소는 음식으로 공급된다. 옷을 못입는다고 집이 없다고 당장 목숨에 영향이 있지는 않겠지만, 충분한 영양을 섭취하지 못하게 되면 그건 바로 목숨과 직결된다. 굶주림으로 사망한다는 것. 얼마나 고통스러운 일이겠는가.

세상의 부익부 빈익빈(富益富 貧益貧)현상은 점점 심해져만 간다. 세계 인구의 단 몇퍼센트가 세상의 부를 소유하는 이런 세상. 이런 세상에서 기아는 생기지 않으려야 생기지 않을 수 없다고 생각한다.

세상의 한쪽에서는 고도 비만 환자가 인구의 절반을 넘어서고, 세상의 한쪽에서는 영양실조, 그리고 기아로 죽음을 기다리는 생명들이 존재한다.
앞으로 자본주의 사회는 더욱더 발달할 것이고, 부의 불균형 문제는 갈수록 심화되어 갈 것이다. 인구는 급속도로 증가하고 도시 인구도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삶의 터전을 빼앗긴 사람들이 도시로 유입되면서 늘어나는 기아 문제 역시 간과할 수 없는 현실이다.

세상은 누구를 위해 존재하고 있는 것일까.
가진 자만을 위한 세상에서 가진 것 없이 가난한 이들은 자신의 삶의 터전까지 잃어버리고 있다. 사실 지구의 식량의 생산량은 지구에 존재하는 60억 인구를 다 먹일 수 있을 정도라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아 문제는 근절되지 않는다.

기아 대책에 있어 식량 지원만이 능사는 아니다. 보다 근본적인 기아 대책을 세우지 않는다면, 기아 문제는 점점 확산되어 갈 것이다. 기아 문제는 심각한데 비해 그 성과는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기아에 대한 더 큰 관심과 기아 문제를 근절할 수 있는 대책이 나오기 전까지 세상에는 기아로 고통받는 사람이 줄어 들지 않을 것이다.

몇몇 단체들의 힘겨운 노력으로 기아 문제가 조금씩 세상에 드러나고, 세상 사람들의 관심을 끌기는 하지만 아직 그걸로는 부족한 느낌이다. 이 책을 통해서 우리는 현존하는 기아 문제와 실태, 그리고 개선 방안에 대해 곰곰히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를 얻게 되리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