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는 잘해요 죄 3부작
이기호 지음 / 현대문학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과는 잘해요>는 내가 처음으로 접하는 이기호 작가의 소설이다.
독특한 제목과 책 표지는 내 눈길을 끌기에 충분했다.
도대체 책 제목과 겉표지에서 보이는 저 이미지는 어떤 것을 의미할까하고 무척이나 궁금해하면서 오랜 시간을 기다린 끝에 내 손에 들어온 <사과는 잘해요>

소설을 읽는 내내 한숨이 쉬어졌다.
문장이 어렵다거나 읽기 어렵다거나 한 이유는 아니었다.
오히려 문장은 짤막짤막하고 어휘는 적절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그 속에 담긴 의미는 결코 가볍지 않았다.

소설의 주인공은 화자인 나와 시봉이라는 청년이다.
이 두사람은 복지원에서 함께 지냈다.
시봉은 부모님의 사망으로, 나는 아버지에게 버림을 받았다.

나와 시봉은 복지원에서 주는 약을 먹고, 양말을 포장하며, 복지사 두명에게 구타를 당하면서 산다.
맞는 이유에 대해서는 시봉도 나도 모른다.
복지사들은 왜 맞는지, 너희의 죄가 무엇이냐고 묻는다.
나와 시봉은 그때부터 자신들의 죄를 찾아내고, 그것을 사과하고, 끊임없이 맞는다.

약과 구타.
그것은 두 복자사의 차림새와도 일치한다.
하얀 의사가운을 입은 복지사와 군화를 신은 복지사.
그들은 약물로 정신을 구속하고, 구타라는 물리적인 방법으로 그들의 몸을 구속한다.
그리고 시봉과 나는 그것에 서서히 길들여지게 된다.
반항을 해볼 생각도 못한채.
그러면서 나와 시봉은 어느새 그들과 동화하는 이미지를 쌓게 된다.
나와 시봉은 복지원의 기둥이란 생각을 하게 되는 것이다.

시봉과 나는 복지원에서 나와 타인의 사과를 대신해주는 일을 하게 된다.
그들은 다른 사람들을 관찰하며, 그들의 죄를 찾고, 죄를 고백하라고 말한다.
물론 시봉과 나가 그것을 잘못이라고 인식하지는 못한다.
약물과 폭력에 길들여져 어느 것이 선인지, 악인지 더이상 구별하지 못하는 상태까지 가게 된 것이다.
이 둘은 죄를 지으면 사과를 해야 한다, 혹은 사과를 하기 위해서는 죄를 만들어 내야 한다고까지 생각하게 되어 버린다.

시봉과 나는 약물과 폭력으로 인해 정신적인 미성숙을 가진 존재일 뿐더러, 자신의 행위가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지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다. 그들은 무조건 죄와 사과라는 공통 분모만이 머릿속에 박혀 있기 때문이다.
약과 폭력에 길드려진 그들은 결국 다시 약을 구하기 위해 복지원으로 향하고, 다시 약을 입에 넣었을때 안도감을 느낀다.

하지만, 이들의 앞에 수감되었다가 집행유예로 풀려난 복지사 두 명이 나타나면서 상황은 급반전된다. 시봉과 나에게 복수를 하기위해 나타난 그들은 시봉과 나를 납치해서 죽은 원생들이 묻힌 산속으로 끌고 간다. 그곳에서 나는 시봉과 결별을 하게 된다.

나의 분신이며, 함께 폭력을 당해왔던 나와 시봉의 결별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사회에 나와서 사람들과 접촉하면서 나와 시봉은 정신적 미성숙이란 틀을 벗어던지고 한 사람의 인간으로서 자신을 바라보게 된다. 그것이 시봉과 나가 결별을 해야만 하는 이유가 아닐까. 시봉은 나의 분신이자 과거이다. 과거와의 결별을 쓰라리지만 미래를 향해 나아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기도 하다. 그것이 이러한 형태로 나타난 것은 아닐까.

그리고, 한 인간이라는 개체로서 성숙하기 위해 아버지에 대한 사실을 알게 되는 것도 필요했다. 아버지는 나에게 있어 나의 정신적 성장을 멈추게 한 상징적 인물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것들이 맞물려 나는 비로소 한 개체로서의 인간, 성숙한 인간에 한걸음 다가가게 된다.

또 하나, 시봉의 동생 시연은 사랑이라는 구원을 상징하는 인물이다. 나가 시연을 업고 병원을 나서는 것은 미래로의 한발짝을 떼어놓게 되었다는 의미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정신적 미성숙 상태였던 나가 갑자기 성숙한 인간으로서의 역할은 불가능하다.

나는 집으로 가는 길이 어디인지 알 수 없었다.

라는 마지막 페이지의 문장으로 미루어 보아, 나의 앞에 펼쳐진 미래가 어떤 모습인지. 아니 그 전에 나가 한 인간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없을지에 대해서는 분명한 언급을 피해 놓은 것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현대 사회는 무수히 많은 죄가 저질러지고 있다. 그것 중에는 범죄도 있을 것이지만, 오히려 사람의 양심에 위배되는 그런 죄가 더 많을지도 모르겠다. 그런 죄에 배치하는 개념이 사과가 아니었을까.
복지원이라는 작은 사회속에서 벌어지는 정신적 육체적 폭력은 크게 보면 우리 사회 전체를 비추고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정신적으로 미성숙한 현대인들과 눈에 보이지 않는 폭력을 가하는 현대 사회.
우리는 어느새 그런 것들에 익숙해져 길들여져 세상을 바로 보는 눈을 잃어버린 채 살고 있는지도 모른다.

가벼운 문체와 쉬이 읽히는 문장속에 담겨진 묵직한 메세지.
우리 현대인들은 집으로 가는 길이 어디인지 헤매고 있는 나의 모습을 닮아 있는지도 모르겠다.



 
<이기호 작가님의 친필 사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