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쇼몽 문예출판사 세계문학 (문예 세계문학선) 61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지음, 김영식 옮김 / 문예출판사 / 200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작품 17편이 실려 있는 단편소설집 라쇼몽은 고전이나 다른 작가의 작품에서 제재를 따온 것을 비롯, 작가의 아픔과 고뇌가 보여 주는 사소설, 미스터리한 판타지, 기독교나 불교같은 종교를 모티브로 한 소설, 에고이즘, 사실주의 문학까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걸작 단편들을 모아 놓았다.

표제작 <라쇼몽>은 헤이안 시대의 사회배경을 소재로 그려진 이른바 역사물이다. 시체가 버려지고 밤이 되면 동물들이 주위를 배회하는 라쇼몽에서 주인에게 버림받은 하인은 자신의 앞으로의 삶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선과 악, 어느 것을 선택해야할지 모르는 그가 그곳에서 발견한 것은 시체의 머리털을 뽑고 있는 한 노파였다. ]

죽은 여인은 뱀을 말려 무사들에게 팔고, 죽어서는 노파에게 머리털을 뽑히고, 하인은 노파의 옷가지를 빼앗는다. 악과 선의 고리가 맞물려 어느 것이 진정 악인지 선인지 이젠 판가름할 수 없다. 결국 모든 세상은 악과 선의 고리가 아귀를 맞춰 돌아가는 것에서 비롯되는 게 아닐까.

<코>는 어떤 존경받는 스님의 이야기이다. 다른 사람들 코와는 다르게 엄청나게 큰 코로 고민하는 스님이 코를 줄이는 시술에 성공하지만, 결국 그 모습도 비웃음을 사고 만다. 결국 자신의 원래 코를 되찾은 스님은 그제서야 안심을 한다.

겉으로는 존경받는 스님이 자신의 겉모습에 연연하는 모습은 우습기조차 하다. 결국 이 스님은 수행이 모자랐던 게 아닐까. 겉모습보다는 내실에 충실하고자 하는 마음은 큰 코를 되찾는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두 통의 편지>는 도플갱어라는 것을 소재로 쓰여진 단편이다. 아내의 부정을 부정하고 싶은 남편의 발버둥이 결국 도플갱어란 것을 만들어 낸 것이 아닌가 한다. 아내를 끝까지 믿도 싶은 남편의 모습이 너무나도 처연한 작품이었다.

<지옥변>은 이 단편집에 수록된 작품중 가장 길이가 긴 작품이다. 요시히데라는 화공을 중심으로 여러 인물들이 그려내는 대립과 갈등, 그리고 요시히데라는 인간의 내면의 갈등이 지옥을 소재로한 그림을 그려가는 과정에 고스란히 담겨있다.

인간 요시히데와 원숭이 요시히데는 요시히데 내부의 갈등과 대립을 보여준다. 예술가로서의 긍지를 가진 요시히데는 딸을 희생하면서까지 그림을 완성해낸다. 반면 원숭이 요시히데는 아버지 요시히데의 마음을 표현하고 있다. 아버지로서 딸을 사랑하고 아끼는 요시히데의 마음은 딸이 불타 죽을때 그 불길 속으로 뛰어든 원숭이 요시히데로 표현되고 있다.

그리고 외적 갈등 요소인 대신과의 갈등은 아버지가 아닌 남자로 딸을 사랑하고 있는 마음을 반증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결국 그 갈등은 자신의 딸을 죽음으로 몰아 넣게 된다.

인간 요시히데와 원숭이 요시히데의 극명할 정도로의 차이점은 요시히데 내부의 갈등이 얼마나 컸는지를 보여 주는 것이라 생각한다. 

<귤>은 굉장히 짧지만 굉장히 따뜻한 단편소설이며, 단편소설의 묘미를 한껏 보여주는 작품이다. 어두컴컴한 터널을 지난후 누이가 동생들에게 기차의 창밖으로 귤을 던져주는 장면은 어둠이 지나간뒤 비쳐드는 희망의 빛일지도 모르겠다. 

<늪지>는 예술을 위해 살다 죽은 한 가련한 화가를 동정하는 예술가로서의 작가 자신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생명을 희생하면서 세상으로부터 얻어낸 유일한 댓가. 아쿠카가와 류노스케 역시 소설가로서 작품 활동을 하면서 이러한 고뇌를 느낀 게 아닐까.

<의혹>은 지진으로 집의 잔해에 깔린 아내를 죽인 한남자가 '나'에게 자신이 겪었야 했던 고통과 번민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지진후 발생한 화재에 고통스럽게 죽을 아내를 위해 아내를 죽였다고 믿어왔으나, 결국 그것은 아내을 미워하던 마음에서 생겨난 것이라고 고백하는 초로의 남자.  그 죽음은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이었을까.  그에 대해서 실천윤리학자인 '나'는 아무런 대답도 하지 못한다.

<미생의 믿음>은 중국 고전에서 따온 글이다. 오지 않는 무언가를 기다리는 자신의 모습을 미생을 통해 말하고 있다. 오지 않을 무언가는 인생의 행복이며 희망이었을까?
'그러나 여자는 아직 오지 않았다'라는 문장이 자그마치 7번이나 나온다. 그리고 '나'역시 오지 않을 것을 영원히 기다리고만 있다.

<가을>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첫 현대물이다. 노부코 - 슌기치 - 테루코로 이어지는 세 사람의 관계는 사랑과 그에 필수적으로 따르는 질투라는 인간 심연을 적나라하게 보여 준다. 그러면서도 가을이란 제목과 소설속의 가을이란 배경은 애수를 극대화 시키고 있다.

<묘한 이야기>는 두 통의 편지와 비슷한 느낌이다. 남편이 해외에 있는 동안 밀회를 시도하려는 여자의 정신적 고통을 그려내고 있다. 아내 치에코에게 나타난 빨간 모자는 얼굴은 없고 모자의 색깔만 강렬하게 남아 있다. 빨간 모자는 갈망을 얼굴이 없는 사람의 모습은 자신의 부정을 감추고 싶었던, 그리고 아내의 부정을 모른채 하고 싶었던 두 남녀의 마음이 아니었을까.

<버려진 아이>는 어머니의 발광으로 외가에 맡겨져 성장해야 했던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자신을 염두에 두고 쓰여진 작품인듯 하다.
태어나자마자 절에 버려저 성장한 유노스케를 생모라는 사람이 데리러 온다. 그곳에서 어머니의 사랑으로 잘 자라난 유노스케는 그 여자가 자신의 친어머니가 아니란 사실은 잘 알고 있지만, 그래서 더욱 감사하고 애틋한 마음을 가지게 되었다는 이야기로, 작가 자신의 어린 시절과 비슷한 이름은 작가 자신을 보여주는 듯 하다.

<남경의 그리스도>는 기독교물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종교 자체보다는 사람의 신심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그날 창녀가 만났던 것은 질나쁜 기자였는지, 정말 그리스도의 현신이었는지는 아무도 모른다. 다만, 창녀의 믿음이 더욱더 중요한 게 아닐까?

요즘 종교계를 보면 한심할 정도이다. 겉보기엔 그럴싸해 보이지만, 내 눈에 전부 사이비로 보이는 것은 그들 마음에 진실한 마음이 없어 보여서가 아닐까?

<덤불속>은 미스터리한 이야기 구조가 걸작이다. 한 사건에 대해 여러 사람들의 진술로 구성된 이 소설은 사실은 하나이지만, 보는 사람에 따라 그 사실이 얼마나 왜곡되어 가는지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덤불속은 그 진실이 은폐되기 쉬운 장소일 것이다.

<오도미의 정조>는 메이지 시대를 배경으로한 '개화물'이다. 오도미와 신공의 주거니 받거니 하는
이야기가 굉장히 흥미로웠다.

<인사>는 야스기치가 등장하는 작품으로 작가 자신의 고백을 담은 사소설이며, 일명 '야스기치물'이라고 한다. 기차에서 마주친 남녀의 미묘한 엇갈림은 연애가 싹트기 시작하는 순간의 설렘과 같은 심정을 엿볼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기차가 평지를 지나 철교로 들어가면서 이미 그 기억은 추억이 되고 말았다. 짧으면서도 긴 여운을 주는 단편이었다.

<흙 한 덩어리>는 현대물로 농촌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시어머니 오스미와 며느리 오다미의 갈등속에서 싹트는 오스미의 마음은 작가의 영원한 테마 에고이즘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굉장히 사실적인 인물의 심리 묘사가 특히 돋보이는 작품이었다.

<세개의 창>은 1927년 작품으로 아쿠타가와 류노스케가 자살한 년도에 쓰여진 작품이다. 그래서 그런지 세 사람의 죽음이란 소재와 전함의 최후는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심리를 대변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애 책에 소개된 총 17편의 단편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작품중 극히 일부이기는 하지만,  소재도 다양하고, 모티브도 다양하며, 글의 분위기도 다양하다.
<라쇼몽>은 서른 다섯이란 짧은 생을 자살로 마감한 천재작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단편의 정수를 만끽할 수 있는 책이었다.

<기억에 남는 한마디>
인간의 마음에는 서로 모순된 두 가지 감정이 있다. 물론, 누구라도 타인의 불행을 동정한다. 그러나 그 사람이 불행을 어떻게라도 극복하게 되면, 이번에는 그것을 바라보던 쪽에서 왠지 섭섭한 마음이 된다. 조금 과장하여 말하자면, 다시 한 번 그 사람을 같은 불행에 빠뜨리고 싶다는 마음조차 생긴다. 그리고 어느 사이에, 소극적이기는 하나, 어떤 적의를 그 사람에게 품게 된다. ㅡ 코 中 ㅡ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