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본 것 - 나는 유해 게시물 삭제자입니다
하나 베르부츠 지음, 유수아 옮김 / 북하우스 / 202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래서, 케일리 씨, 당신이 본 게 어떤 거였나요?" (6p)


1인칭 시점, 주인공 '나'의 독백으로 시작하고 있어요.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당신이 무엇을 봤는지를 묻는 질문이 무례하다고 느껴지진 않아요. 하지만 정말 당신이 본 게 일반적으로 상상할 수 없는 뭔가라면 그건 무례를 넘어 질문 자체가 폭력이라고 생각해요.

《우리가 본 것》은 2021년 네덜란드를 대표하는 작가의 작품으로 선정된, 하나 베르부츠 작가의 소설이에요. 첫 장면부터 시작되는 질문, 그 질문을 받고 있는 사람이 바로 주인공 케일리인데, 자연스럽게 그녀가 들려주는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니 많은 것들이 보였어요.

케일리의 이름을 알게 된 건 요즘 거의 매일 전화를 해대는 스티틱 씨 때문이에요. 케일리가 성이 아니라 이름이라는 걸 모르는 이전 동료들에게서 연락처와 정보를 얻은 게 틀림없어요. 스티틱 씨의 이메일에 답장을 보낸 적도 없고 전화를 받은 적도 없는데 계속 소송에 동참하라고 강권하더니 이제는 편지까지 보냈으니 말이에요. 스티틱 씨의 정체는 변호사고, 소송을 통해 얻게 될 이익인 금전적 배상으로 케일리를 설득하려고 해요. 이전 동료들이 왜 소송을 하려는지 이해하지만 케일리는 동참할 마음이 전혀 없기 때문에, 반대로 스티틱 씨에게 소송 제안을 거절하는 이유를 밝히려고 하는 거예요. 아무한테도 말한 적 없는 이야기, 그러니까 이 소설은 케일리가 왜 헥사를 떠나게 되었는지를 솔직하게 털어놓는 이야기인 거예요. 구체적인 내용을 여기에서 언급하는 건 부적절한 것 같아요. 마치 되돌이표처럼 케일리를 향해 주변 사람들이 쏟아냈던 그 질문이 얼마나 폭력적인가를 완전히 이해했기 때문이에요. 그녀가 헥사에 들어가서 한 일은 거대 미디어 플랫폼 회사가 의뢰한 콘텐츠 평가, 즉 검열 작업이었어요. 검토하는 모든 게시물과 이미지, 영상들은 이미 플랫폼과 자회사의 사용자들이나 봇에 의해 '유해'하다고 보고된 것들이며, 케일리가 속한 팀에서 잘못된 카테고리를 원인을 선택하면 '부정확'으로 판정되는 시스템으로, 팀원들이 평가한 작업물들은 다시 주제 전문가들이 임의로 선별해서 정확도를 매겼어요. 하루에 500개 이상의 '위반 게시물'을 처리하지 못하거나 정확도가 90퍼센트 밑으로 내려가면 심각한 경고를 받았고, 열악한 환경에서 일했어요. 단순히 열악하기만 한 게 아니라 정신 건강을 해칠 정도로 위험했다고 볼 수 있는데, 케일리는 자신이 피해자가 아니라고 말하고 있어요. 도대체 케일리는 왜 이러한 생각을 하고 있는 걸까요. 케일리의 시선으로 바라보면 우리는 알 수 있는 것들이, 정작 그녀에겐 보이지 않는 거예요. 분명 그녀는 봤지만 자신이 얼마나 충격을 받았는지를 인정하지 않고 있어요. 점점 객관적인 판단과 이성적인 사고가 마비되고 있다는 걸 본인만 모르고 있는 거예요. 바로 그 점이 가장 무섭게 다가왔어요. 저자는 이 소설이 허구이며 등장인물과 그들의 경험은 창작의 산물인데 내용이 현실과 유사한 점은 우연이 아니라고, 전 세계 상업용 콘텐츠 감수자들의 근무 환경을 조사하고 각종 자료를 토대로 한 결과였다는 걸 밝히고 있어요. 결국 케일리는 존재하지 않지만 현실 어딘가에 케일리와 같은 사람들이 존재하며, 그 사람이 '우리' 모두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깨닫게 해줬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