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지유신을 설계한 최후의 사무라이들 - 그들은 왜 칼 대신 책을 들었나 서가명강 시리즈 14
박훈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메이지유신을 설계한 최후의 사무라이들>은 서가명강 시리즈 열네 번째 책이에요.

저자는 우리에게 메이지유신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를 알려주고 있어요.

일본인들은 근현대 일본이 어디서 왔고 어디로 가야 하는가를 생각할 때 메이지유신을 떠올린다고 해요.

메이지유신은 그 자체로도 혁명사의 흥미로운 사례인데, 엄밀히 말하자면 '혁명'은 아니라는 것.

일본인들은 지금까지도 일본 혁명 또는 메이지 혁명이라 하지 않고 유신이라고 표현하고 있어요.

왜 그럴까요?

혁명은 원래 역성혁명의 준말로 왕조를 교체한다는 뜻이라고 해요. 우리나라의 역사를 보면 고려 왕씨에서 조선 이씨로 천명이 옮겨갈 때 이것을 혁명이라고 한다는 거죠.

그런데 일본은 역사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6세기 이후로는 한 번도 왕조가 바뀐 적이 없어요. 이는 세계사에서도 드문 일이라고 해요. 일본 사람들은 그걸 굉장히 자랑스럽게 여기는데, 그리 자랑할 일은 아닌 것 같아요. 메이지유신 역시 막부는 쓰러졌어도 무너진 것은 도쿠가와씨지 천황 가문이 아니에요. 무너지기는커녕 유신으로 천황에게 대권이 다시 돌아왔어요. 이러니 혁명이란 말을 쓸 수 없다고 저자는 설명하고 있어요. 일개 인간을 천황으로 모시는 일본은 여전히 과거에 머물러 있는 게 아닌가 싶어요. 

현재 아베 정권이 잠시 물러나고 스가 정권이 들어선 것도 일본이 가진 한계점으로 보여요.

사실 저자가 처음에 우려했듯이 우리나라 사람들은 일본에 대해 알려고 하지 않아요. 무관심과 무시.

그러나 우리가 일본을 상대하고 경쟁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대를 철저하게 알아야 하며, 또한 전략적이어야 해요. 일본은 여전히 강대국의 힘을 가진 나라이기 때문에 국가적 차원에서 무시할 수 없어요. 그래서 저자는 일본을 알아가는 첫걸음으로 근대 일본의 메이지유신부터 시작하자고 이야기하고 있어요. 일본은 메이지유신이 깔아놓은 레일 위에서 근대를 달려왔고 현재도 그 레일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는 게 저자의 생각이에요. 

이 책은 근대 일본의 메이지유신을 설계한 최후의 사무라이들을 주목하고 있어요. 메이지유신의 스승인 요시다 쇼인, 일본을 세탁하겠다던 사카모토 료마, 라스트 사무라이 사이고 다카모리, 근대 일본의 철혈재상 오쿠보 도시미치까지 그들을 분석해보면 일본의 현재를 좀더 수월하게 이해할 수 있어요.

민족주의자들은 요시다 쇼인을 끄집어내며 강렬한 일본정신을 찬양하고, 국제주의자들은 사카모토 료마를 상기하며 그의 오픈 마인드를 강조하고 있어요. 요시다를 즐겨 소환하는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 아베 신조 전 총리라고 하네요. 

현재 일본 사회가 국제적인 마인드를 중시하고 아시아와의 협력을 중시할 때는 사카모토 료마가 곧잘 소환된다고 해요.  소프트뱅크의 회장인 손정의가 존경한 인물이 사카모토 료마예요. 손정의는 17세에 미국 유학을 갈 때의 심정을 청년 료마의 탈번(脫藩, 자기 봉건국가인 번을 이탈하여 망명하는 것)에 비유했고, "세상에 태어난 것은 무엇인가를 이루기 위해서다"라는 료마의 말이 자신의 인생 모토라고 하기도 했대요. 우리에게는 낯선 료마가 일본에서는 대중 스타라고 해요. 처음부터 유명했던 건 아니고 일본의 국민작가 시바 료타로의 역사소설 『 료마가 간다』가 대히트를 치고, NHK 드라마로 방영되면서 그 인기가 절정에 달했다네요. 현재 일본에서 그의 이름을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지명도가 높은 인물이래요. 저자는 일본 시민들이 쇼인보다는 료마를 더 주목해주길 희망한다고 이야기해요.

메이지유신은 지금도 일본인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역사 기억투쟁의 주전장 중 하나라는 것.

그러니 우리는 현대 일본의 유래와 현재 일본인들의 사고방식을 깊게 이해하려면 메이지유신에 대한 식견을 갖고 있어야 한다는 거예요.

역사왜곡에만 혈안이 되어 자국민의 역사 교육에는 소홀한 일본을 반면교사로 여겨 우리는 역사를 제대로 알아야 해요. 특히 일본 역사와 친해지기.

이 책을 읽고나니 메이지유신은 일본의 한계와 약점이라는 걸 알게 되었어요. 현대 민주주의 사회에서 천황을 맹신하며 사회 전체를 체계적으로 권위주의에 가둔 일본의 본질을 확인한 것 같아요. 건강한 사회가 되려면 역사를 아는 똑똑한 시민들이 많아져야겠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