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가지 복합적인 이유에서 나는, 이름하여 수필집이라는 것을 내지 않겠다고 결심한 바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수필집을 엮게 된 것은 책세상 출판사와 나와의 어떤 관계 때문이다. 좀더 정확히 말하자면 그것은 책세상에 대한 나의 채무감(번역 불이행에서 비롯된)을 덜어버려야겠다는 -그것도 단시일 내에, 그리고 시간과 수고를 새로이 들일 필요 없이- 나의 얌체 같은 속셈 때문에 이루어진 일이다." 수필집을 내게 된 이유를 밝히는 부분. 솔직을 넘어 내팽개치는 듯한 어투. 그래도 거부감이 들지 않는 건 시인에 대한 근본적인 호감 때문이겠다.
내 책꽂이를 보니 최승자 시인의 시집이 세 권 있다. 문지에서 나온 초기 시집이다. <이 시대의 사랑>, <즐거운 일기>, <기억의 집>. 표지에는 시인의 캐리커처가 그려져 있다. 그러고 보니 이책을 읽기 전까지는 시인의 사진을 본 적이 없다. 왜인지는 모르겠으나 어떻게 생겼나 궁금하게 여긴 기억도 없다. 수필집 책날개에 흑백으로 박힌 사진을 보니 오히려 낯설다. 그 아래에 적힌 약력 또한 낯설다. 문지 시인선에 적힌 건 데뷔, 번역한 책, 시집 정도였는데 이 수필집에는 그 이외 직장경력이 있어서다. 특히 "1985년부터 1987년 2월까지 대한건설협회에서 <건설협회 40년사> 편찬작업을 했던 직업 경력" 부분. 시인이 그런 일을 하지 못할 건 없지만서도 어쩐지 어울리지 않는다. 어울리지 않아서 오히려 직장인으로 일할 수 있었을까.
이 책의 제목이기도 한 "한 게으른 시인의 이야기"라는 글은 일부가 뚝 떼어져 시집<기억의 집> 뒷표지에 실려있다. 문지시인선의 특징이기도 한 뒷표지 시인의 말. 최승자 시인의 시집 뒷표지도 시만큼이나 좋았더랬다. 어떻게 해서 쓰게 되었나 하면 이렇단다. "실은, 편집자의 요청은 체험적 시론을 써달라는 것이었다. 그리고 나 자신이 최소한 십 년 이상은 시를 썼으니, 보잘것 없으나마 그래도 분명 나름대로의 시론을 갖고 있기는 갖고 있을 것이다. 그런데 그것을 글로 짜고 꿰매기가 힘들고 귀찮을 것 같아서, 너무도 게으른 시인인 나는 그냥 퍼질러 앉아서 수다만 떨어버린 것이다. 물론 이 구제불능의 게으름은 나의 비관주의 혹은 패배주의와 상당히 깊은 관계를 갖고 있겠지만."
그리고 한 구절만 더. "한 게으른 시인의 이야기" 꼭지에서 나온 것이다. "어쩌면 내 시를 읽는 독자들 중에서, "무슨 시가 이래? 맛있는 살코기는 하나도 달려있지 않고 먹을 수도 없는 뼉다귀만 남았잖아?'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을 것 같은 생각이 든다. 영양분이 담뿍 들어있는 맛있는 살코기를 제공하지 못하는 시인. 살점 하나 붙어있지 않고 먹을 수도 없는 불모의 딱딱한 뼈다귀만을 내놓은 시인." 생각해 보라. 최승자 시인의 시에서 말랑말랑하고 부드러운 살코기가 씹힌다면 어떨 것 같은가. 그건 최승자 시의 맛이 아니다. 딱딱한 뼈다귀만으로 되어있어 먹다가 이빨과 부딪쳐 통증을 느끼기도 해야 하리라. 그리고 "혹시나 그 뼈다귀를 푹푹 고면 맛있는 국물이라도 우러나온다면. 제발 그럴 수라도 있다면" 이라 말하는 시인의 바람대로 충분히 그러하다고 말하고 싶다. 바라건대<물 위에 씌어진>이 마지막 시집이 아니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