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철학 진작 배울걸 그랬네 - 인문학적 통찰의 힘을 길러주는 일주일 간의 서양철학사 여행
장즈하오 지음, 오혜원 옮김 / 베이직북스 / 2018년 10월
평점 :
품절
이 책의 저자 장즈하오는 대만의 중정대학 철학연구소에서 철학 교육의 대중화에 힘쓰고 있다. 철학교육 일반화에 힘쓰는 자답게 철학의 본질과 철학사, 그리고 주요철학자들의 학설과 철학의 갈래들은 너무도 명쾌하게 설명하고 있다. 우선 “일주일 철학여행”(Philosophy in One Week)이란 문구로 한번 철학의 바다에 빠져보라고 독자를 유혹한다. 책 제목이 정감 있다. <철학 진작 배울 걸 그랬네>!
‘월요일: 입문’부터 철학이 무엇인지, 본질적인 문제를 다룬다. 철학 탐구의 주제와 탐구 방법, 그리고 서양 철학의 3대 기본 문제까지 알려줌으로써 철학자들과 그들의 주장을 중심으로 전개하는 보통의 철학책과는 사뭇 차별성을 보인다. ‘화요일: 기원과 발전’에서는 철학의 역사적 흐름을 잘 파악하게 해 준다. ‘수요일’에는 주요 철학자들과 그들의 이론이다. 주요 철학자들은 학창시절 대부분 들어본 이름이다. 그래서 더 친근감이 느껴졌다고 할까? 이 책은 각 철학자의 주장을 군더더기 없이 명확하게 소개한다. ‘목요일’에는 철학의 갈래들을 알려준다. 특히 종교철학에서 신의 존재에 대한 논쟁과 자유의지에 대한 주장들이 나의 흥미를 끌었다. 언어철학에서 언어를 ‘사용하는 것’과 ‘언급하는 것’의 차이, 언어의 중의성과 모호성, 참조(reference)와 느낌(sense), 외연(extention)과 내연(intension)에 대한 설명이 흥미로웠다. ‘금요일: 철학으로 세계 바라보기’에서 제시한 11가지 일상생활의 문제들을 살펴보면서 철학에 대한 다음과 같은 정의가 마음에 와 닿는다. 철학은 삶의 다양한 문제에 만족할 만한 해답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 분석을 통해 무엇이 문제이고 어떻게 사고해야 하는지 이해하도록 돕는 학문이다.
이 책의 가장 큰 미덕은 학문적인 철학이 아니라 실제 생활 속에서 발생하는 수많은 문제들을 논리적으로 생각하고 해결을 모색하는 실천적 철학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삶의 문제를 좀 더 냉철하게 분석하는 법을 조금은 경험할 수 있었다. 페이지 양쪽 여백에 철학자들의 명언도 수록하고, 단어의 개념을 자세히 설명하기도 한다. 철학자들의 그림이나 사진도 마음에 든다. 모든 챕터 마지막 페이지에 있는 ‘3분 리뷰’는 지금까지 읽은 내용들을 정리하고 더 깊이 생각하게 만드는 길라잡이가 된다. 한 주간 이 책을 통해 철학에 푹 빠졌다. 어느새 나도 지혜를 사랑하는 자가 된 것일까? 제대로 철학을 배운 느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