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맨은 벨을 두번 울린다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69
제임스 M. 케인 지음, 이만식 옮김 / 민음사 / 200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타블로이드 살인사건의 시인, 하드보일 문학, 이방인에 영감을 준 인물, 포스트맨은
벨을 두 번 울린다의 작가 제임스 M.케인에게 붙은 수식어다

내용은 간단하다
시골 미인대회출신의 코라는 고리타분한 그리스인 남편닉과 주유소이면서 음식도 파는 휴게소를 운영한다

이 곳 저 곳 떠돌며 사고를 일으키는 부랑아 프랭크는 닉의 식당에서 일하게 되고, 코리와 불륜에 빠져 두 번의 시도 끝에 닉을 살해한다

법망을 피해 둘은 보험금과 새로운 삶의 기회를 얻지만, 프랭크는 코라가
어머니의 장례식에 간 사이 바람을 피운다.

코라는 임신사실을 알리고, 둘은 결혼식을 올린다. 몸이 안 좋다는 코라를 위해 서둘다가 교통사고로 코라는 죽고 프랭크는 사형선고를 받는다.

추악하고 무서운 비밀을 공유한 이들은 서로 같이 있을 수 없다. 언제 상대가 나를 죽일지 몰라라는 두려움과 배신에 대한 공포때문이다.
프랭크는 코라를 사랑한다. 그러나 자신의 떠나고자하는 무의식이 그녀를 살해한게 아닐까 스스로를 의심한다. 자신을 믿지 못한다.
프랭크를 사랑하는 코라도 한 침대에 누워서도 프랭크를 의심한다. 가장 음침하고 침울한 과거를 공유한 공범자들은 사랑앞에서도 마음을 놓기 힘들다.
해피엔딩이 될 수 없는 일

무미건조한 문체와 사실의 나열이 본질적 내용에만 빠져 들게 한다.
순식간에 읽었지만 오랫동안 사람이란 사랑이란 무엇인지 생각케 한다

간결하고 꾸밈없는 일반 사람들의 말투로 쓰여진 소설의 힘이 느껴진다.
막장같은 코리와 프랭크의 삶도, 마지막 사형되기 전 프랭크의 독백도 애잔함을 느끼게 한다. 타블로이드 신문 기사처럼 썼지만, 이 소설에 담긴 작가의 힘은 이 막장 드라마의 주인공들에게, 타블로이드판 범죄자와는 달리 연민을 느끼게 한다.
불행한, 실패한, 부랑아로 태어난, 언제나 불안한 , 평안이 두려운, 자기 자신을 믿지 못하고 세상을 시험하는 이들.
(당신이 제대로 하면 그렇지 않아. 당신은 똑똑해. 프랭크, 난 절대로 당신을 조금도 속이지 않았어. 당신이 방법을 생각해 내 봐. 방법은 아주 많아. 걱정 마. 궁지에서 빠져나오려고 지독한 고양이로 변해야 했던 여자는 내가 처음이 아니잖아.)

( 코라는 그리스어로 아가씨, 처녀 혹은 데메테르의 딸인 페르세포네를 의미하거나 혹은 페르세포네와 하데스의 딸을 의미하기도 한다. 마음 속 깊숙히 묻어두었다 생각하지만 결국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현대인의 욕망을 빗댄 건 아닐까. 하데스의 아내이거나 딸인 코라 )

로렌스가 우편배달부가 오는 소리를 듣지 않으려고 가끔 뒷마당에 나가있다는 것, 그런데 자신이 들었는지 확인하려고 우편배달부가 언제나 두 번 벨을 울린다고 불평한다. 이 이야기를듣고 케인이 우편배달부가 가 버리기 전에 언제나 두 번벨을 울리거나 두 번 노크하는 영국과 아일랜드의 옛 전통을 기억해 낸다. 케인이 이것을 제목으로 제안하자, 프랭크 체임버스의 운명을 묘사하는 데 적합한 은유라는 점을로렌스가 인정하고 크노프 출판사도 동의한다.
3만 5000자의 짧은 소설인 『포스트맨』은 별로 똑똑하지않은 부랑자의 목소리라는 일인칭 서술 형식과 타블로이드판 신문의 1면 기사 같은 긴박하고 명료한 문체를 통해 선정적이며 도피적인 낭만적 정서를 독자의 마음속에 오래도록 남아 있게 만든다. - P176

코라와 거기 있다. 그녀와 함께 큰 강 위에 있는것 같다. 맥코넬 신부가 생각해 낸 건 아니지만, 또 다른생이 진짜 있을 것 같다. 그녀와 함께 있을 때 난 그걸 믿는다. 생각하기 시작하면 전부 날아가 버린다.
집행유예는 없다.
여기 사람들이 온다. 맥코넬 신부는 기도가 도움이 될거라고 말한다. 당신이 여기까지 읽었다면 날 위해, 그리고 코라를 위해 기도해 주길. 거기가 어디이든 우리가 함께 있기를, - P17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