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남준 - 동서양을 호령한 예술의 칭기즈칸 클래식 클라우드 18
남정호 지음 / arte(아르테)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대체 현대 예술이란 뭘까
소변을 갈겨대는 거
대변을 깡통에 담는 것
자신의 피를 얼려 조각하는 것
헝클어진 침대를 전시하는 것

도대체 이게 뭐지?
이 정신사나움은?
그렇다.
자유.
위선으로부터의 탈출
모든 금기에서 벗어나 꿈꾸기
인류에게 새로운 꿈을 꾸게 하고
고정된 틀에서 벗어나 날게 하는 것.
그것이 예술의 역할 ,
현대예술은 그런 혁신을 추구하다 오히려 주객전도가 되는 경향도 있지만 .
현대예술의 선두에 서서 온 몸으로 새로움과 금기를 깨며, 브라운관으로 미래를 보여준 예술가가 바로 백남준이 아닐까. 어설픈 흉내내기가 아닌 본인만의 철학과 본인만의 창의성으로 천재가 된 예술가 )



한국예술가 중 가장 유명한 사람은? 하면 처음으로 떠오르는 인물이 백남준은 아닐 것이다.

예전에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예술가 100인가를 뽑은 기사를 봤는데 그 중에 유일하게 한국인 백남준의 이름이 있었던 기억이 난다. 한국이란 나라보다 외국에서 더 인정받는 예술가가 아닐까. (백남준의 인지도가 떨어져서가 아니라 정통 예술을 먼저 떠올리는 고정관념때문이 아닐까한다. 나만 그런가 ㅎㅎ)
그런 백남준의 생애와 삶을 그의 발자취를 따라가며 회상하고 작품을 설명하는 형식의 책이다.

일단 가격이 사악한데 책이 얇아서 슬펐다. 그렇지만 그가 살았던 지역이나 작품의 사진과 설명등이 좋았다. 부유한 어린 시절과 맞물려, 조국에 대한 사랑과 친일의 가족사 사이에서 가졌을 죄의식이 그를 너무나 세계적이며 국경이나 경계가 없는 그의 작품 곳곳에 한국인에 대한 정체성을 작품에 담게 했는지도 모른다. 엄청난 독서가로서 퍼포먼스에 철학이나 현실의 정치 사회에 대한 비판과 자신의 생각을 담아냈다. 특히 음악속에서 성에 대한 터부를 없애려 노력했고, 사회적 금기를 깨는 다양한 작품으로 음악을 시각화하는 작품을 발표한다.

20세기의 레오나르도 다빈치, 동서양을 호령한 예술의 징기즈칸?

감성의 예술세계에 이성의 과학기술을 담은 그는 진정한 20세기의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아닐까. 문과감성이 이과적 기술력으로 탄생해 더 신선한 건 아닐까. 각종 전선들과 그 당시의 신기술에, 손 등에 자석을 붙이거나, 브라운관을 구리선으로 감아 화면을 이그러지게 하는 등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예술을 과학이란 캔버스로 전선이란 물감으로 표현하며, 여기서 그치지 않고 뇌졸중으로 거동이 힘듦에도 레이저란 새로운 도구로 또 다른 예술을 만들어낸다.

연주하지 않는 연주를 했던 존 케이지와, 죽은 토끼를 끌어안고 있던 보이스 등 최고의 전위예술가와 같이 협업하며 뉴욕을 누비고 다녔을 백남준의 모습이 책을 읽는 내내 머릿속을 떠나지 않는다.

뒤샹이 레드메이드를 예술이라 명명하며 더 이상 깨질 예술의 금기는 없을거라 했지만, 백남준은 비디오와 위성으로 모두를 하나로 만들며 새로운 예술장르를 열였으며, 그의 말대로 예술은 지워질 때까지 보는 것이며, 그 때 즐거워야 하는 거지 내일이면 시시해지는 것이라는 걸 몸소 실천한 작가이지만 그의 작품은 언제봐도 시시하지 않다.



내가 처음으로 본 백남준의 작품은 다다익선이다. 1003개의 화면마다 우리나라의 상징들과 세계곳곳의 상징, 무어와의 협업작품등이 담겨있다. 백남준이 살던 시대를 생각하면 정말 엄청난 혁신이자 대단한 예술작품이다. 그 시대에는 놀랍고 새로워 외면받거나 비난받던 작품들이, 결국 새로운 시대를 여는 작품으로 인정받는 건 작가들의 기발함과 천재성에 노력까지 더해졌기 때문이리라. 넥타이를 자르고 피아노를 부수고, 머리카락에 먹을 바르고 날달걀을 벽에 던지며 매번 새롭고 매일 매일 달라지고 변하는 오늘을 담으려 한 백남준은 비디오와 레이저란 새로운 재료뿐만 아니라 도전의 정신도 다음 세대를 위해 남겨주었다. 가장 세계적이면서도 가장 한국적이었던 한 남자이며 예술가인 백남준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이과와 문과, 여담이지만 예전 어느 책에서 본 건데, 일본이 아이들에게 영어와 독일어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해서 가르치면서, 문학이나 인문쪽이 발달한 영국과 기술쪽이 발달한 독일의 특성에 따라 나눈 것이 지금의 문이과가 되었다는 설이 있다.)

책 속 밑줄 그은 문장들 ~

백남준은 참여와소통을 전제로 하지 않는 예술은 독재 혹은 창작자 혼자만의 예술이라고 간주했다. 관람객들 저마다가 자신의 방식으로 작품을 이해하고, 받아들이고, 즐김으로써 예술이 다양성을 획득하는 것, 이것이야말로 백남준이 추구하는 예술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액션페이팅을 음악에 도입해 ‘액션뮤직‘이라는 새로운 예술 세계를 만들어냈다. 연주자가 작곡가가 만든 악보의 지시에 따라 정확하게 악기를 연주하는 것을 ‘구음악‘이라고 한다면, 팔과 다리와 머리 등 신체를 써서 즉흥적인 소리를 내는 것을 ‘신음악‘이라고 백남준은 정의했다. 예컨대 피아노 건반을 팔 전체로 치거나 바이올린을 책상위로 내리쳐 부수어버리면서 즉흥적으로 나오는 소음 등이 액션뮤직에 속했다. 한마디로 액션뮤직은 주어진 악보를 그대로 연주하는기존의 방식과는 완전히 다른, 우연성이 개입한 예술이었다.

1986년에 위성 중계한 〈바이 바이 키플링〉은 「동양과 서양의 노래」라는 시에서 "오, 동양은 동양, 서양은 서양, 이 둘은 결코 만나 지 못하리"라고 말한 영국의 소설가이자 시인인 조지프 러디어드키플링의 말에 정면으로 반박하듯, 동서양이 위성을 통해 하나 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백남준 의지의 표상이었다.

하지만 다빈치와 백남준 모두 예술과 과학에 능통했으며 이를 통섭해나갔다. 끊임없이 새로운 세상을 열어젖혔던 창조력또한 닮았다. 백남준은 자신의 기발한 작품을 통해 다른 이들에게영감을 불어넣었을 뿐만 아니라 전에 없던 예술이 출현하도록 터를닦았다. 비디오아트가 그랬고 그 뒤를 이은 위성아트 그리고 인생의 마지막 단계에서 만들어낸 레이저 아트도 새로운 예술을 향한 위대한 도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