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들을 위한 여름 - 종교의 신과 과학의 신이 펼친 20세기 최대의 법정 대결 걸작 논픽션 8
에드워드 J. 라슨 지음, 한유정 옮김 / 글항아리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국은 정말 특이한 나라다.
달에 가고 로켓을 쏘아올리고 미지의 우주인을 만나기 위해 인류의 메세지를 담은 레코드판을 실은 보이저호를 띄워보냈지만 여전히 창조론과 진화론이 싸우는 나라.
이 책은 1925년 존스콥스사건을 재구성한 책이다. ( 존스콥스는 생물학교사도 아니며, 그가 근무하는 테네시주는 버틀러법에 의해 진화론을 가르치는 것이 불법이었다 .이른바 원숭이재판으로도 불린다)그 시절의 재판과정과 그 과정에서의 논쟁들이 실감나게 서술되어 있다. 대부분의 세금을 내는 주민들이 창조론을 믿는데, 그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립학교가 그에 위반되는 진화론을 가르친다는 건 옳지 않다는 논지도 나온다.
최첨단 과학의 눈부신 발전이 이루어지는 곳에서 아직도 꽤 많은 부모들은 아이가 진화론을 배우는 것이 불편하다.
종교적 믿음은 의심하지 않는 것일까 무조건적인 믿음만이 신에 대한 진정한 경배인걸까.
제목은 왜 유일신이 아닌 신들인걸까. 수많은 시간을 거쳐간 신들은 결국 다른 모습이지만 같은 것을 요구하는 보편적인 존재일뿐인걸까. 결국 같은 모순을 가진 존재? 믿음이 없는 내겐 그저 길지만 흥미로운 책이지만, 믿음이 있는 이들에겐 불경함이 느껴질 수도. 원리주의자들의 말들이 그닥 현명하게 들리지 않으니 말이다.
존스콥스는 100달러의 벌금형을 선고받았다


(작가의 말 ~우리가 문명이라 부르는 것의 기원은 종교가 아니라 회의론입니다. 현대세계는 의문과 탐구, 고대세계는 두려움과 믿음의 산물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