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 14 | 15 | 1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소소책방 책방일지 - 동네 작은 헌책방 책방지기의 책과 책방을 위한 송가頌歌
조경국 지음 / 소소책방(소소문고) / 2015년 6월
평점 :
절판


진주의 헌책방지기 조경국님이 펴낸, 온전히 책만을 위한 잡지.

봄, 여름, 가을, 겨울호로 1년에 4회 정도 낼 계획이라고 합니다.

헌책과 관련된 잡지라고는 생각하지 못하고 표지도 마음에 드는데다 묘한 이끌림으로 책을 구입했는데, 사고보니 딱 내 스타일이네? 책 사이즈도 부담없이 가지고 다니며 읽을만한 작은책 사이즈라 더 마음에 듭니다.

책 안에 책이 있는 잡지. 책을 받고 펼치는 순간 탄성을 질렀는데요. <이제 이 조선톱에도 녹이 슬었네> 책 표지를 발견했을 때였습니다.

그래, 이제 나이 먹고 게을러져서 그 좋아하던 헌책방 투어는 더이상 못하지만 이렇게도 할 수 있는 거구나. 그러고 보니 나 이런 책을 기다렸구나. 시공간을 넘나들어 원할때면 언제든 헌책방 한 켠에 서서 오래된 보물을 찾아내겠다는 결의에 차있던 젊은 나를 발견하는 시간들!!!!

뿌리깊은 나무의 '민중자서전' 20권은 참 귀한 책입니다. 입말을 그대로 살려 풀어 쓴 것도 그렇고 이름없는 민중들의 삶을 고스란히 담았기에 가치가 있습니다.


(나도 당시 뿌리깊은 나무의 책들을 좋아해서 구입했던 것중 하나가 <이 계동마님이 먹은 여든살>이고, 지금도 소장하고 있는데....내  할머니의 삶을 구술받아서 소장하고 싶은 욕구도 그때 생겼습니다. 그리고 소개된 사진집 <윤미네 집>. 초판을 구하지 못해 2010년 복간된 책을 구입했는데, 그 책 소개를 보니 새삼 잘 샀다는 생각이....)

책방지기가 되었지만 여전히 다른 헌책방에 가면 소풍 가서 보물찾기 하는 아이 심정이랄까요. 사진책을 구해오면 일기를 쓰고 가지치기 해서 또 구해볼 책이 없나 이곳저곳 자료를 모으고 다시 책방을 기웃거렸던 생각이 납니다.


(내 마음같은 사람들이 세상 곳곳에 있다는 사실에 괜시리 행복해지고...그러면서 김수남의 <굿>을 중고로 팔았던 일이 후회되기도...)

그리고 이 부분에도 공감 백배.

제가 보기에 아이들이 책을 가까이 할 수 있도록 만드는 가장 좋은 방법은 도서관이나 책방에 부모님과 함께 가는 겁니다. 절대 아이들에게 '강권'하지 마십시오. 아이들이 스스로 읽을 책을 고르도록 두는 것이 좋습니다. 

책에 애착을 느끼는 대부분 장서가는 '수집증'을 앓습니다. 경중의 차이는 있겠지만 자신의 공간에 책이 점점 쌓이고, 헌책방 출입을 끊지 못하고, 시리즈에서 빠진 책은 어떻게든 채워 넣어야 하고, 오랫동안 찾아 헤매던 절판된 책을 다른 이의 서가에서 발견했을 때 강한 질투를 느끼고, 당장 사지도 못할 책을 온라인 서점 장바구니에 담아두고, 집안이 지저분해진다는 가족의 불평 따윈 한 귀로 듣고 한 귀로 흘릴 정도라면 확진받을 만 합니다.


다음 권도 구입할 예정이고, 책을 좋아하는 지인에게도 추천할 생각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6주년 당신의 기록 읽으며 깜짝 놀랐습니다. 지난 16년을 돌아보는 재미난 통계였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윤미네 집 - 윤미 태어나서 시집가던 날까지
전몽각 지음 / 포토넷 / 201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중한 줄 모르고 버리듯 살며 우리가 잃어버린 것들이 그의 사진속에 있거든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간 수컷은 필요 없어 지식여행자 5
요네하라 마리 지음, 김윤수 옮김 / 마음산책 / 2008년 8월
평점 :
품절


저자 요네하라 마리와 출장갔다가 길에서 주워온 잡종견 겐, 역시 통역업무차 갔다가 발견한 고양이 무리와 도리, 그녀의 주위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다. 그러니 취향에 따라 다분히 호불호가 갈릴 책이지만, 나는 다 읽고나서는 요네하라 마리가 사는 동네에 이사하고 싶은 기분! 요네하라 마리와 그 주변 인물들 같은 이웃이 있었으면 좋겠다. 가까운 이웃으로 살면서 가끔 그의 고양이들과 개를 보러 갔으면. 그녀에게 내 고양이들을 보여주고 차를 마시며 나이에 상관없이 언어장벽에 상관없이 이야기 나누고 싶은 꿈.  

요네하라 마리는 러시아어 전문 동시통역사이기도 하지만 작가이기도 하다. 전혀 거슬리지 않는 매끄러운 번역때문인지 원저자의 이야기 전달능력 때문인지 이 책 한권만으로는 잘 모르겠는데 요네하라 마리의 담백한 글의 분위기도 마음에 든다. (제대로 확인할 방법은 아직 읽지 않은 요네하라 마리의 <미녀냐 추녀냐>, <대단한 책>을 읽어보면 알겠다.)

고양이를 좋아하는 사람들 이상으로 고양이를 혐오하는 사람들이 많은 세상인걸 알지만 요네하라 마리의 주변 인물들은 일본이라는 환경탓인지 고양이를 비롯한 동물들에 무척 호의적이다. 반려동물들과 자유롭게 살고싶은 사람들에게는 파라다이스같은...

'멀리 있는 개보다는 가까이 있는 잡종개를 구원하는 것이 먼저'라는 동료 통역사 마리코 씨, 여행중에 마리의 집 고양이들을 돌봐주고 도리가 유괴(?)당했을 때 재치있게 적극 도와준 이웃의 미네기시 부인, 수시로 동물병원 이름을 바꾸지만 동물들에게 진심을 다하는 아라가와 수의사 샘, 에너지 대책회의장이 있는 호텔 정원에서 버려진 아기고양이 두마리를 걱정해주던 미국인, 러시아인 게스트의 다정한 마음, 그리고 규정위반임에도 아기 고양이들을 보호해준 호텔 직원, 요네하라 마리가 키우기로 결심한 아기 고양이들을 데리고 도쿄로 돌아오도록 배려해준 회의 참석자들, 조각가 다에코 가족과 그녀의 반려동물들, 러시아 애묘인협회 회장 니나. 택시기사님. 모두 한번쯤 만나보고 싶은 사람들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요네하라 마리는 2006년 난소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그가 세상에 없는 지금, 그의 고양이들은 누가 돌보고 어떻게 살고있을지 궁금해졌다. 물론 주위의 좋은 이웃들이 잘들 돌봐주고 있겠지만.

하나더. 책 읽으면서 곁에서 종종 졸고있는 구름이가 대견하고 자랑스러웠다는 거. 샤인, 별, 햇빛, 까망, 아나, 봄, 여름, 가을이가 예고없이 출몰해서 가족이 되었지만 울 구름이는 한번도 싫은 내색을 한적 없다. 무리와 도리가 새 가족이 올 때마다 가출해서는 집으로 돌아오지 않고 남의 집 지붕위에서 밥도 안먹고 시위해서 요네하라 마리를 애먹였던 것과는 달리.  

피터 게더스의 <파리에 간 고양이> 등 노튼 3부작과 더불어 애묘인들에게는 가슴이 따뜻해지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 14 | 15 | 1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