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거꾸로 읽는 한국사 - 멸망으로 시작해서 건국으로 이어지는 5,000년 역사 이야기
조경철.조부용 지음 / 클랩북스 / 2025년 5월
평점 :
멸망으로 시작해서 건국으로 이어지는 5,000년 역사 이야기
한국사를 좋아하는 아들 덕분에 함께 한국사 책을 읽어나가는 즐거움을 더욱 느끼고 있는 요즘 한국사를 접근하는 다양한 방식의 도서 출간 소식에 설렘이 가득해진다. 얼마 전 읽었던 《가요로 읽는 한국사》에서는 시대에 따른 노래를 바라보는 시선이 달라지고 그 속에 담긴 의미 또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음을 확인하며 흥미롭게 읽었다. 그런 와중에 《거꾸로 읽는 한국사》또한 흥미롭게 다가왔다.
🏷️ 《거꾸로 읽는 한국사》는 무엇을 거꾸로 읽는 한국사일까요? 건국과 멸망이 순서대로 읽는 한국사라면 '멸망과 건국'은 거꾸로 읽는 한국사입니다. 한국사는 기원전 2333년 고조선부터 시작하여 2025년 오늘까지 이어져 왔습니다. 5,000년 역사 동안 건국과 멸망, 멸망과 건국이 끊임없이 반복되었습니다. p.5
멸망 이후에도 끝나지 않았던 그들의 이야기를 《거꾸로 읽는 한국사》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시간의 경계가 명확히 칼로 잘라낼 수 없는 것처럼 멸망에서 건국으로 이어지기까지도 마찬가지다. 멸망한 나라의 사람들이 일순간에 사라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멸망한 나라의 사람들은 다시 일어서고자 부흥운동을 하고 계속된 노력이 새로운 나라의 건국으로 이어지기도 하기 때문이다.
멸망을 하는 순간 다양한 선택을 하기 마련이다. 멸망시키려고 한 나라에 항복을 하고 그 나라의 속국으로 전락하거나, 혹은 끝까지 싸워 명예롭게 퇴장하기도 한다. 그런 면에서 고조선의 멸망이 자랑스럽다고 하는 저자의 이야기에 공감한다. 항복 대신 죽음을 택하며 고조선을 끝까지 지키고자 했던 우거왕의 마음은 그를 칭송받는 왕으로 기억될 수 있게 해주었다.
《거꾸로 읽는 한국사》에서 가장 흥미로웠던 점은 고려 전에 존재했던 고려들에 관한 이야기였다. 발해를 계승한 고려를 누가 지었을까 하는 질문에 우리는 당연한 듯 태조왕건이라고 이야기하겠지만, 고려는 태조왕건이 고려를 건국하기 이전부터 존재한 나라였다고 한다. 주몽이 세운 고구려가, 궁예가 세운 후고구려가, 왕건이 세운 고려가, 심지어 발해까지 전부다 나라 이름이 고려였다는 사실! 광개토대왕이 고구려를 고려로 나라 이름을 바꾸고, 궁예가 후고려를 세우고 이어서 왕건이 고려를 세웠다고 하는 사실을 뒷받침해 줄 유물들에 관한 이야기는 흥미롭게 다가왔다.
🏷️ 반면 단어의 순서만 바꾼 '멸망과 건국'이라는 표현은 다릅니다. 한 나라가 멸망한 뒤 세워진 그다음 나라를 자연스럽게 떠올리게 해 훨씬 폭넓게 역사를 바라볼 수 있도록 도와주죠. 이렇게 우리 역사를 '계승'의 관점으로 해석하면 5,000년 역사가 단절되지 않고 끊임없이 이어져 지금까지 이어져왔다는 사실을 느낄 수 있습니다. p.249 ~ p.250
여러 나라가 새로 생기고 사라지는 과정을 반복하며 멸망과 건국에 대한 연도를 모두 정확히 알 수는 없다. 한 나라가 멸망했다고 해서 그 나라의 흔적이 사라지는 것이 아니다. 멸망한 나라의 이름을 다른 나라가 사용하기도 하고, 계승하고자 하는 나라의 멸망 연도를 새 나라의 건국 연도에 맞춰 연속성을 강조하기도 한다. 《거꾸로 읽는 한국사》는 멸망과 건국의 관점으로 보는 열한 통의 편지를 통해 우리에게 한국사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선을 안겨주었다.
출판사에서 진행한 서평단 모집을 통해 도서를 제공받고 주관적으로 쓴 글입니다.
#책블로그 #북블로그 #북스타그램 #책스타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