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아이의 생각을 키우는 초등 철학수업
미셸 토치.마리 질베르 지음, 박지민 옮김 / 레몬한스푼 / 2022년 11월
평점 :
자녀와 함께하는 성찰 하루하루 커지는 행복
생각하고 질문하는 즐거움이 자녀를 한 뼘 더 성장시킨다 ! 《내 아이의 생각을 키우는 철학 수업》
《내 아이의 생각을 키우는 초등 철학수업》은 부모와 자녀가 함께 이야기 듣기와 질문하기를 통해 대화와 토론의 장으로 들어가도록 이끌어 주기 위한 책이라고 합니다. 아이는 부모와 함께 정보를 검색하거나 책을 찾아보거나 훌륭한 인물들의 조언을 접하는 과정에서 스스로 생각하는 힘을 키워갈 수 있지요.
철학이라고 하면 왠지 딱딱할 것만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되지요. '철학'이라는 단어를 국어사전에서 찾아보면, 첫번째 뜻을 보자면 인간과 세계에 관한 근본 원리와 삶의 본질 따위를 연구하는 학문. 흔히 인식, 존재, 가치의 세 기준에 따라 하위 분야를 나눌수 있다고 되어 있다. 그리고 두번째 뜻으로는 자신의 경험에서 얻은 인생관, 세계관, 신조따위를 이르는 말이다. 책에서 이야기 하는 철학은 두번째 뜻이 더 강한듯 하다. 아직 경험해 보지 않은 것들에 대한 것들을 대화로 나누면서 자신의 인생관이나 가치관이 자리잡게 되기 때문에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PART 1. 자녀와 함께하는 철학수업은 어떻게 진행할까?
PART2. 자녀와 함께하는 철학수업 무엇을 토론할까?
크게 두가지의 주제로 이책에서는 이야기 하고 있다. 철학수업을 진행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어떤 것에 대해서 이야기 할것인지에 대해서 여러가지 상황을 예로 들고 있다. 요즘 사춘기가 되어가는지 아들과의 대화가 쉽지 않음을 느끼고 있다. 무언가를 얘기하면 그대로 받아들인다기보다 자신의 생각이 너무 강해졌음을 느낀다. 그러다보면 대화가 아니라 다툼이 되기 일쑤이다. 서로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음을 알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나치게 뾰족하게 구는 것을 느낄때면 더이상 대화를 하지 않게 된다. 그런 아이와 어떤식으로 생각하고 대화를 나누어야할지 고민하던 차에 내 아이의 생각을 키우는 철학수업을 만나게 되었다.
아이의 성찰시간 뿐만 아니라 부모 또한 성찰의 시간이 필요하다.
경험을 활용하여 자신의 생각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자녀와의 원활한 소통을 해야한다. 부모와 자식간에도 서로 존중하면서 깨달음을 얻어야 함을 기억해야 할것이다. 가까운 사이여도, 아이와의 대화에서도 서로 존중하는 대화가 필요함을 다시금 느낀다.
인간으로서 누릴 수 있는 완전한 경험 중의 하나는 사랑이다. 아이는 좋아하는 사람, 싫어하는 사람, 좋아하는 것과 싫어하는 것을 아무렇지 않게 이야기한다. 좋고 싫음의 표현이 명확한데 비해서 사과를 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주저하는 모습을 보이곤 한다. 남을 탓하기보다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면서 감정표현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도 철학수업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철학을 너무 어렵게 생각하기보다 가까이에 있다고 생각해보면 어떨까? 학교 교실에 앉아서 학문을 배우는 것만이 진정한 공부는 아닐것이다. 아이의 질문에 진지하게 생각해서 대답하고 아이가 모르는 것에 대해서 같이 알아보는 시간을 갖는 것 또한 철학수업이 아닐까. 학교에서 뭐 배웠어? 라는 질문보다 잘놀다왔어? 라는 질문으로 아이와 대화를 이어갈 수 있도록 해보아야겠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고 주관적으로 쓴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