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세 번의 시공간 여행
콜린 스튜어트 지음, 이충호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17년 11월
평점 :
절판


요즘 하늘을 올려다보는 일이 거의 없지만, 가끔 밤하늘에 뜬 별을 보고 있노라면 우주안에 작은 별에 살고 있다는걸 새삼 깨닫게 되곤 한다. 다양한 과학 발달로 사람들이 새롭게 알게된 것이 많지만 그렇게 큰 그림을 그려보면 작은 점에 불과한 우리들은 아직도 모르고 있는게 무궁무진하게 많을것이란 예감도 든다.

'열세 번의 시공간 여행' 이 책에서는 1800년대부터 최근 2015년까지 근 200년 왕립연구소의 크리스마스 강연 역사 중에서 시공간과 천문학을 주제를 골라 최고의 우주과학 강연 열 세편을 엮어 만든 책이다.

 

이 책은 인류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기념비적인 천문학 강연 기록이면서, 인간이 우주를 향해 나아가기로 결심한 이후, 그 끊임없는 도전의 역사를 담은 과학의 통사이기도 합니다. 또한 19세기 이후 현재까지, 용감하게 우주를 향해 나아간 감동적인 인류의 기록입니다.(책소개중에서)

 

강연에는 태양, 달, 행성부터 우주여행, 우주탐사, 시간과 공간을 지나는 여행, 우주에서 살아남는 법 등이 목차로 나와있는데, 과연 과학분야의 무지인 내가 얼마나 이해하며 읽을수 있을지 살짝 걱정이 되었지만, 책에 실린 강연은 몇시간의 분량의 긴 강연을 강연 그대로 길고 광범위한 원래의 형태 그대로 소개하는 것이 아니고, 그 중에 일부 흥미로운 주제들의 내용에 저자의 추가 설명을 덧붙여 쉽게 읽히도록 적혀 있었다.

흥미로운 점은 저자의 추가 설명에 저자가 의문을 갖는 부분도 담겨 있다는 것이였다.

예를들어 1881년 로버트 스타웰 볼이 100년후 아폴로 우주선이 달에 착륙하리란 사실을 예상하지 못하고 '어떤 탐험가도 우리의 위성에는 가보지 못할 것' 이라 말했던 장면에서 이를 그대로 옮기고 끝내는 것이 아니라 1881년 이전 소설속에서 사람이 달을 여행하는 소설도 나왔는데, 왜 볼이 미래에 그런 일이 일어날 가능성을 예측하지 못하였는지 이상하다는 코멘트를 달아놓는다.

 

목차를 미리 읽고 가장 기대했던 강연은 1969년 조지포터의 '타임머신' 부분이였다. 타임머신이라는 것이 실제로 만들어질수 있는 가설이라도 세울수 있는지 궁금했기 때문이였다. 헌데 강연 내용을 들여다보니, 시간의 흐름은 방향이 있다는 건 알 수 있지만, 시간을 거슬러 옮겨 간다는 것은 어렵다는 것으로 끝난다.

헌데 사실 조지 포터는 원래 강연 하려했던 분야는 '시간'이 아니라 '빛과 생명'을 주제로 강연하려 했는데 BBC의 인기 시간여행 시리즈 닥터 후의 대중의 인기에 힘입어 강연 내용을 바꾼것 같다고 추측한다.

 

다른 행성의 조건에서는 사람이 살 수 없다는 설명을 하며 제임스 호프우드 진스가 남긴 말이 책을 덮고 나서도 머릿속에 맴돌았다.

"유령 세계가 끝없이 이어지는 가운데 우리만이 유일하게 살아 있는 구성원 입니다."

우리의 상상 이상으로 무궁무진한 미스테리를 품고 있는 우주에 대한 재미난 이야기와 새롭게 궁금해지는 점이 너무 많아지는 책이였다. 만약 강연 내용을 그대로 옮겼더라면 시대의 흐름에 달라진 부분을 짚어내지 못하거나 한쪽으로 편향된 내용이 읽을 수도 있었을텐데 저자의 의견이 함께있는 책을 읽기를 잘한것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