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1학년, 경제교육을 시작할 나이 - 평생 든든한 경제습관을 길러주는 독일식 돈 교육법
바바라 케틀 뢰머 지음, 이상희 옮김, 제윤경 감수 / 카시오페아 / 2014년 4월
평점 :
절판


아이를 키우면서 관심사가 모두 그쪽으로 가다보니, 언제부턴가 자연스레 육아서를 자주 찾아보게 되었어요.

잘 몰라서 헤맸던 부분을 배우기도하고 인간 그 자체에 대한 성장과정도 생각해볼 수 있어서 나름 흥미롭게 읽곤했지요.

초등1학년 경제교육을 시작할 나이, 이 책은 기존 양육서에 부족했던 돈에 관한 교육부분을 보완해서 다루고 있답니다.

어린 아이들에게 벌써 무슨 돈 얘기냐며 불편해 하는 분들도 계실테지만, 사실 우리가 생활하는 모든것에는 경제적인 부분을 빼고 말할수 없고, 요즘 사회적인 문제가 제대로 경제교육을 받지 못해서 벌어진 사건들도 많아 빠질수 없는 교육임에는 틀림없는것같아요.


돈에 대한 이야기는 몇 살부터 해야 의미가 있을까요?

아이가 만 4~5세정도 되어서 이 간단한 연관성을 이해한다면 그때부터 나이에 맞는 설명을 해주면 됩니다. 예를들어 "엄마아빠는 일해서 돈을 벌고 그걸로 먹을 것과 옷을 산단다." 나이가 좀 있는 아이와는 물건의 가치에 대해 논의할 수 있어요. -p.28

그래서 아이를 위해 경제동화도 사서 읽혀보고 저축과 저금도 시켜보면서 본격적으로 경제교육을 시켜보려고 시도는 해봤는데, 돈을 잘버는법, 돈을 잘쓰는법 어른들도 힘들어하는 그 중도를 잘 지키는 법을 과연 아이에게 어떻게 가르쳐야할까..? 아이에게 돈에 대해 어디까지 가르쳐야할까? 많이 고민되고 헷갈리더라구요.

책에서는 우선 아이의 교육이전에 부모 자신의 견해를 먼저 돌아보게 한답니다.

모든 교육이 그렇듯 내가 어떤 마인드를 가지고 살고있는지가 교육의 방향을 결정짓게 되는거겠지요.

책 속 테스트결과 저는 '돈 소유주의자'라는 결과를 얻었네요. 저금하고 투자하는 것에 만족한 나머지 내 삶을 위해 돈을 쓸줄 모른다고요. 한달에 한번 '의미없는 즐거움'을 위한 예산을 잡고 나와 아이에게 인색해지지 않도록 사용해보라는 조언을 받았어요.


당신은 당신의 금전관을 아에게 물려주고 싶습니까?

그렇지 않다면, 당신은 자신의 견해와 태도에 어떠한 변화를 주어야 할까요?


책속에는 확실한 돈 교육의 4가지 기본구성이 소개되어있었어요.

1. 용돈을 받고 그것으로 살아가는 법을 배우는 것

2. 소비의 함정과 위험요소를 알고 이를 다루는 것

3. 돈과 일의 상관관계를 이해하고 체험하는 것

4. 돈과 금융상품에 대한 실질적인 지식을 습득하는 것


아이들에게 용돈을 준다는 것이 네가 사고 싶은것을 네 마음대로 쓰도록 허락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돈으로 저축할수도 있고 소비할수도 있으며 보관하다 잃어버리거나 낭비를 하거나 그로인해 후회하거나 등등의 '경험'을 주는 것으로 여기는것이 좋다네요.

아이에게 얼만큼의 용돈을 줘야하고 그것을 어디까지 간섭 해야하는가에 대한 고민도 '경험'을 준다는 것으로 생각을 바꾸면 쉽게 결정할수 있을것같아요.


또, 아이를 소비를 위한 결정에 참여시킬수는 있지만 결정권은 부모님이 가져야한다는 말에도 공감했답니다.

물건을 살때 아이의 요구를 무조건 수용하거나 무조건 묵살하는 것보단 서로 대화를 통해 현명한 소비를 이끌어내는게 중요하겠지요.

하지만, 아이가 친구들에게 인기가 있을만한 캐릭터나 메이커의 제품을 요구해도 그것이 정당하고 현명한 소비가 아니라면 부모이 거절해도 괜찮다는 거죠. 물론 부모님의 충동 소비의 모습을 보여주지 않는 것이 교육의 일부분이기도 하구요.


아이는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어른이 전부 살 수 있는 것은 아니며 금전적 상황에 따라 제한이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해야만 합니다. 또 부모님이 돈으로 집안 살림을 꾸리고 그 외에는 휴가를 가는 등의 일에 대비해야하며 언제나 더 현명한 소비를 위해 늘 고민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해요. -p.187


돈으로 모든 부분을 채우며 살순 없지만, 잘 모으고 잘 쓸수있는 방법을 가르쳐야한다는 것도 잘 배울수있는 책이였습니다. 저도 평소 무조건 아끼고 저축하는 것만이 최고의 경제교육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책을 읽으면서 앞으로 우리 아이에게 어떻게 경제 교육을 시켜야할지 정리해볼수 있어서 너무 좋았네요.

처음 읽으면서 중요하다고 밑줄친 부분을 오늘 밤 한번 더 읽어봐야겠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