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하는 아이 기다리는 엄마 : 실천편 - 통합교과 과정에 대비하는 창의적 글쓰기
홍수현 지음 / 국일미디어(국일출판사)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엄마들 책욕심이 참 많다.

나역시 아이 책욕심이 많은 편이라 수시로 인터넷 카페나 서점을 들락거리며 아이에게 필요한 책을 고르기가 거의 일상이 되어있는데, 정작 우리 아이들은 엄마의 마음만큼 잘 따라주는 편은 아니다. 올해부터 스토리텔링형 교육이 시작되면서 더 강조되고있는것이 바로 '책읽기'인데, 나는 과연 아이에게 올바른 책읽기를 시키고 있는걸까, 내가 제대로 하고 있는걸까 하고 의구심이 들때쯤 바로 이 책을 만났다.

 

기존에 <생각하는 아이, 기다리는 엄마>는 작가가 두 아이를 책으로 교육시키며 자기주도학습을 시키는 모습을 담았다면 이번 <실천편>에서는 '구체적인 실천' 방법을 설명하고있다. 사실상 엄마들은 요점만 쏙쏙 뽑아보고 싶을텐데 이 책이 많은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다. 물론 그동안 육아 서적을 많이 읽고 공부한 덕분에 중복되는 내용도 많고, 이미 인식하고 있는 부분도 많았다.

하지만, 한번 더 내용을 짚어가며 내 방법을 점검해보는 시간이 되어서 책을 읽는동안 밑줄 촥촥 쳐가며 재미있게 읽을수 있었다.

 

1장. 생각하는 아이로 키우는 책읽기

예전부터 아이에게 책읽기를 시키려면 부모가 먼저 책을 잡아야한다고 많이 생각했다. 근데 보여주기식 책읽기는 한계가 있기마련이다. 진심으로 엄마가 책읽기를 좋아하지않으면 아이도 보여주기식 책읽기를 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그래서 나온 방법은 바로 '함께 책읽기'다. 아이에게 책좀 읽어라 하며 강요할것이 아니라 우리 같이 책 읽을까? 하고 먼저 건의해보는거다. 헌데 이것을 입학전이나 한글떼기전으로 선을 긋는 분들이 있는데, 초등 저학년까지는 아직 '글자'만 읽기에도 벅차다는 사실! 글자의 모양을 인지하기에도 벅찬 아이에게 글의 의미를 파악하라고 강요하다보면 나중에는 책읽기 자체가 귀찮고 싫어질수 있다고한다. 아이의 읽기 독립은 절대 서두르지 말라는 것이 저자의 조언.

나는 아이에게 빨리 한글을 가르치고 스스로 책읽기를 시키고 싶었는데 이것은 생각하며 책읽기와 거리가 먼 행동이라한다.

책내용의 중간중간에는 'moro tip'이라는 부분이 나와서 아이들에게 권하는 책이랄지 짧은 조언을 담고 있어서 내용을 정리하게 도와준다.

 

2장. 사고력 쑥쑥, 책속에서 생각찾기

책을 읽는다는것은 줄거리를 알고 내용을 파악한다는 것에서 끝나는것이 아니라 더 넓은 생각을 끌어내는데 목적이 있다고 생각한다. 호랑이가 떡장수할머니를 잡아먹고 누구에게 갔냐는게 중요한게 아니라 그때 오누이가 어떻게 했으면 좋았을런지, 네가 떡장수 할머니라면 어떻게했을것같아? 라는 질문이 필요! 그리고 책에 없는 질문을 게임처럼 던져보는 예도 들어있어서 엄마들의 상상력과 창의력이 아이에게 영향을 줄수도 있겠구나..하는 생각도 절로 들었다.

 

초등저학년까지는 책을 읽고 줄거리만을 되새기며 시험공부하듯이 읽는 책읽기는 절대 필요없는 방법입니다. 저는 아이들에게 책 안의 내용만을 생각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그 책이 동기가 되어 다른 분야까지 시야를 넓혀 깊고 넓게 생각하기를 경험하게 하고 싶습니다. -p.61

 

과학책은 따져가며 읽으라는 말도 기억에 남았다. 아이머릿속에 왜?라는 질문이 들어있지 않으면 과학책은 읽는게 아니라 그냥 외우는것과 다름 없어져서 금세 재미가 없어질것이다.

 

적극적으로 따져가며 책읽기를 하다보면 책에서 주는 정보 그 이상을 알아내고 싶은 욕구가 생깁니다. 그 욕구는 발전해 모든 현상의 원리를 알고 싶어하는 습관이 될 것입니다. 이런 생각의 습관을 만들기 위해서 우리 아이들은 따져가며 책을 읽는 일에 익숙해져야 합니다. -p.66

 

3장.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창의적인 글쓰기

성인이 되어서도 책 줄거리 하나 제대로 적어내지 못하는 사람들을 보면 글쓰기도 여느 공부처럼 배우지 않으면 잘쓰지 못한다는 생각이 든다. 자신의 생각을 잘 표현하는 아이가 글쓰기도 잘하는것처럼 아이의 무궁무진한 생각을 글로 쓰는 일은 적극 지원해줘야겠다.

 

아이 일이라면 무엇이든 적극적인 엄마들이 하는 가장 큰 실수는 바로 아이의 생각을 막는 일이 아닌가 싶다.

특히 요즘에는 아이가 무엇을 스스로 하기를 기다리기 보다는 먼저 앞서서 해결해버려서 아이에게 엄마의 생각을 강요하고 있진 않은가 반성이 되기도한다. 책 제목처럼 아이가 스스로 생각하고 느끼고 받아들일수 있도록 엄마는 그 환경만 조성해주고 기다려주는 것이 가장 좋은 교육법이 아닌가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