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막을 건너야 서른이 온다 - 청춘의 오해와 착각을 깨는 질문과 답
윤성식 지음 / 예담 / 2013년 6월
평점 :

얼마전 우리 회사는 신입사원을 공모했었다.
이력서를 받아보고 놀랬던 것은 이제 갓 졸업한 친구들의 것이였는데, 전공과 전혀 다른 자격증들만 줄줄이 딴 사람, 차라리 적지 않았으면 좋았을 정도로 민망한 학점을 적은 사람, 우리 회사가 뭐하는 회사인지도 모르고 지원한 사람들까지 정말 천차만별로 다양한 사람들이 있었다는 점이였다.
.. 이 사람들 지금 자신들의 인생이 어디로 흘러가고 있는지 알고는 있는걸까?
그래, 20대. 한참 좋을 나이다. 뭐든 주어지면 할 수 있을것 같은 나이다.
헌데, 그 시기를 조금만 지나쳐보면 안다. 그때를 잘못보내면 30대에도 여전히 그러할 확률이 높다는 것을.
사막을 건너야 서른이 온다의 저자 윤성식 교수는 현재 고려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지만, 공인회계사 준비반 지도교수, 행정고시 지도 교수, 기숙사 사감등을 담당하면서 수많은 젊은이들과 깊고 진솔한 대화를 나누게 되었고, 청춘들이 고민하는 취업이나 진로, 연애등에 대한 조언을 해주는 내용을 토대로 책으로 엮었다.
'괜찮아 넌 할수있어.'라는 말보다는 '괜찮아 지려면 꼭 해야 할 게 있어.'라는 실천과제에 더욱 초점을 맞추었다고 하니 이 얼마나 실용적인가~! 사실, 공감을 바라는 말들도 있다. 이게 잘하는 일일까? 흔들릴때 힘을 붇돋아주면 안심이 된다. 하지만 무조건적인 응원도 비난도 아닌 현실적인 조언을 해주는 이가 옆에있다면 그것이 인생의 중요한 터닝포인트가 될수도 있지 않을까.
누군가에게 용기를 주고 싶다면 두 가지를 명심해야 한다. 첫째, 그 사람을 과대평가하고 있지 않은지 생각해야한다. 그 사람을 있는 그대로 보아야 한다는 말이다. 둘째, 그 사람이 처한 환경을 살펴야 한다. 주변 환경에 비추어 불가능한 길을 가려고 하는 사람에게 용기를 북돋아주는 행위는 도움이 아니라 독이 된다. -p.021
책을 읽다가 중요하게 밑줄긋게 부분은 바로 대학전공과 관련된 부분이였다. 물론 전공이 꼭 직업과 내 인생을 좌우하지는 않지만 일단 회사에 이력서를 제출했을때 전공내용과 회사 지원분야가 다르면 아무리 지원자가 관심이 있는 업무라해도 쉽게 기회를 주기는 어렵다. 하지만 고등학교 3학년 나이에 자신의 비전과 전략을 계산하며 전공을 선택할만큼 성숙함을 기대하기란 어려움으로 여기서 부모의 역활이 필요하다.
부모는 자녀와 많은 시간을 함께하며 스스로 비전과 전략을 생각하고 전공을 결정할 수 있도록 안내해야 한다.
부모는 관찰과 대화를 통해 간접적으로 자녀의 비전을 추론해 낼 수 있어야 한다. 쉽진않겠지만 틈나는 대로 무엇을 좋아하는지, 무엇을 할때 아이가 가장 행복한지를 끊임없이 살피면서 단서를 찾아야한다. -p.086
부모로서 역활이 하나 더 늘었다;;; 그러나 여기서 더 중요한것은 우리는 죽는 날 까지 비전과 전략을 붙들고 살아야한다는 점이다. 아마 인간이라면 누구나 자신의 꿈과 이상을 현실화 시키려는데 노력하는 것처럼 끝없는 자기 발전과 개선이 필요한가보다.
그렇다면 전략과 비전은 어떻게 다른가.
비전은 행복, 가치, 의미에 대한 내용이므로 철학적 성찰의 영역이라한다. 그리고 전략은 삶의태도, 전공, 직업, 사랑과 결혼에 대한 내용이므로 철학적 성찰에 기초한 과학적 선택의 영역이라 볼 수 있다.
비전이 빠진 직업은 인생의 행복을 위한 전략이 되지 못하고 단지 먹고 살기 에 급급한 호구지책이 되어버리고 만다. 그래서 자시의 직업을 부끄러워하고 평생 남을 부러워하며 살아가는 경우도 많다. 가치와 의미가 결열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밑그림을 실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직업을 선택한 사람은 설령 초라한 직장을 얻었다 하더라도 최선을 다하며 살아간다. -p.113
한가지 흥미로운 것은 전략을 세울때 '배우자의 선택'이 포함되어있다는 점이였다.
생각해보면, 자신의 인생 밑그림에 배우자를 고려하지 않은 사람은 가정을 이룬후에 갈등이 많다.
물론 인간이 혼자살 권리도 있다. 하지만, 인간은 사랑을 통해서 성장하고 결혼을 통해서 인생을 배울 수 있다. -p116
나는 결혼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결혼을 사랑하나만 가지고 선택하기엔 인생은 너무 길고 깊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사랑은 서로 바라보는것이 아니라 같은곳을 바라보는것'이라 하지 않는가 ^^)
사막을 건너야 서른이 된다면, 나는 벌써 사막을 지났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 사막뒤엔 폭풍을 건너야 마흔이 오는지도^^;;)
지금은 어엿한 사회의 일원으로, 내 역활과 업무가 확고하다 생각하지만, 그렇다고 완전한 것이라 생각하지 않는다.
시대가 그러지 아니한가. 100세 시대라면 제 2의 인생도 준비해야하고.. 갈길이 바쁘다.
그래도 그 사막을 지나오면서 많은 고민과 갈등이 있었을때 누군가 내 옆에서, 더 높은곳에서, 더 멀리 바라봐주는 사람이 있었다면, 영혼없는 위로보다 현실적인 조언을 해주는 이가 있었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지만, 인생은 역시 혼자다. 내가 선택하고 내가 끝까지 걸어나가야 한다.
그러니, 괜히 기분 전환한답시고 친구들 불러다가 맨날 똑같은 푸념이나 늘어놓지 말고, 이 책을 읽어보자.
내 자신에 대해- 미래에 대해 고민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면서 사막을 잘 건너는 방법을 연구해보았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