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신화 속 신들의 이야기 - 단숨에 술술 읽는
드니 랭동.가브리엘 라부아 지음, 손윤지 옮김 / BH(balance harmony)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이 글은 출판사로 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경험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

그리스 로마 신화는 왜 읽을때 마다 이렇게 재미있는지 모르겠다. 아마도 워낙 내용이 방대하다보니 들을때마다 새로워서 그런건지도 모르겠지만 좀 더 쉽게 그리스 신화를 즐길 방법이 없을까 하고 고른 것이 바로 이 '단숨에 술술 읽는 그리스 신화 속 신들의 이야기' 였다. 표지부터 자유분방함이 느껴지는 이 책은 원전은 너무 두껍고 내용은 복잡해서 단번에 이해하기 어렵다는 사람들을 위해 쉽고 재미있는 그림으로 부담없이 읽을 수 있도록 만들어진 책이라 한다.

정치가였던 제우스와 바다의 신 포세이돈, 지하세계의 지배자 하데스의 이야기는 언제 읽어도 재미났다.

특히 페르세포네가 1년중 4개월은 하데스와 함께 지하세계에서 보내고 나머지 기간은 올림포스에서 데메테르와 함께 보낸다는 내용에서 비롯된 겨울이라는 계절이 탄생한 비하 부분과 동물들에게 다양한 능력을 충동적인 기분으로 멋대로 나눠주고 인간에게는 줄 것이 없어 당황하던 에피메테우스를 보고 인간들을 가엽게 여긴 프로메테우스가 신성한 불을 훔쳐 선물했다는 일화는 아이도 읽더니 재미있어 했다. 아마도 다른 내용은 모르고 판도라의 상자라는 단어만 알고 있던터라 그것의 탄생일화가 연결되어 지는 것이 신기했나보다.

신화 이야기야 언제 어디서 누구에게 들어도 재미있지만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은 뭐니뭐니해도 수록된 그림에 있었다.

마치 누군가의 낙서처럼 가볍게 그려진듯 하지만 그래도 내용을 들여다보면 확실히 내용을 빨리 이해하기 쉽다. 어찌보면 신들이 약간은 우스꽝스럽게 그려지기도 한 것 같아도 요즘 감성에 맞게 위트있는 장면들이 많아 일단 재미있게 느껴졌다.

물론 책의 두께라든지 내용면에서 생략된 부분이 많고 뒷설명을 다 해주지 않아 아쉬운 부분이 없지않아 있지만 그런 단점을 그림들이 모두 커버해주고 있었다. 그리스 신화를 먼저 읽고 이 책을 읽는다면 더 재미나게 읽을 수 있을것 같은데 단지 희망사항이 있다면 중요사건 요약편이 아닌 모든 내용을 이 일러스트로 담긴 책을 읽어보고 싶다는 것^^

신들의 이야기가 재미있는 것은 불사신으로 알려진 신들의 생활을 엿보다 보면 인간들의 삶고 별반 다름없기 때문이다. 크로노스는 염세적이고 의심이 많고 잔인한 성격의 소유라 그의 자식 중 하나가 언젠가 그의 자리를 빼앗지 않을까 전전긍긍해한다. 뛰어난 지혜와 발달된 도덕의식으로 동족들 사이에서 두각을 드러낸 프로메테우스는 인권수호를 하는 지식인의 모습과 겹쳐지고 온갖 관계와 육체적 결합을 즐겼던 제우스의 여성편력도 일부 몰지각한 인간들의 모습이 엿보인다. 아무리 뛰어난 능력을 지닌 신들이라고 해도 인간사와 비교하면 크게 다를 것도 없다는 것이 자꾸 그리스 신화를 찾게되는 이유인것 같다. 오래전 읽었던 그리스 신화에 다시 재미를 붙여보고 싶다면 이 책이 딱 어울릴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