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을 깨우는 철학 - 같은 질문 다른 대답
샤론 케이 지음, 임현정 옮김 / 책과함께어린이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각을 깨우는 철학

[ 이 글은 출판사로 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경험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

한번씩 '요즘 내 생각을 너무 아이에게 강요하고 있는게 아닐까' 하는 의문이 들 때가 있다. 내가 살던 시대와 지금 아이의 시대는 다른 환경이며 세상에는 다양한 생각과 의견이 필요하다는 걸 알면서도 자꾸 내 지식과 경험 안에 아이를 가두려 하는 것같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책의 제목은 나의 마음을 사로잡기에 충분했다. 나는 그러하지 못했지만 아이는 '생각을 깨우는' 무언가가 있었음 한 것이다.

깨어있지 않은 사고는 소크라테스를 죽게 했다. 소크라테스가 죽은 지 2400년이나 지났지만 여전히 그를 알고 싶어하고 배우고 있는 사람들은 남들이 모두 현재에 안주하고 당연하다고 여기는 것에 끝없는 질문으로 진리를 찾고자 했기때문이다.

실재에 대한 학문인 형이상학, 지식에 대한 학문인 인식록, 도덕적 가치 윤리학, 비판적 사고 논리학등 철학은 다양한 지식을 바탕으로 세워진다. 하지만 그런 어려운 것들을 대신해 저자는 개를 사람으로 여기며 잘못에 대한 사과를 요구한 아들의 말을 빌려 철학을 설명하고 있다.

책의 내용에는 위 학문에 해당하는 네가지의 질문으로 철학을 이야기 한다.

실재에 대한 질문은 우리가 살아가는 세계만이 진짜일까? 하는 문제다. 존재하는 것이 있다면 어디까지가 존재하는 것인가.

인도 철학자의 아디 샹카라의 말을 빌리면 브라만이 있으면 존재한다고 한다. 마음에 브라만이 있어야 우리는 진짜로 존재하는 것처럼 말이다. 러시아 철학자 아인 랜드는 세상이 존재하는 것은 자명하기에 증명 할 필요가 없다고 했다. 플라톤은 우리가 사는 물리적 세계는 이데아의 그림자에 불과하다고 한다.

어떤 것이든 자신이 가진 가치관과 신념에 따라 설명 할 수 있다. 게임 속 컵케이크와 실제의 컵케이크가 다르다는 것은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그 주장 내용에 따라 내 철학적 신념도 달라지는 것이다.

나는 이 '생각해봅시다' 페이지가 참 흥미로웠다.

그래서 이 주제를 가지고 아이와 한번씩 긴 대화를 이어갔는데, 예를들어 '무'라는 개념을 어떻게 이해할것인가 하는 토론에서 공룡이 살던 시대에 우리는 어디에 있었는지 아니면 '무'였다면 어떻게 존재하게 되었는지 서로 주장하면서 시간을 보내기도 했다.

대화하다보니 철학이 재미있다고 느껴진 부분은 지식이 수반되어 진다면 더 깊은 대화가 오고갈 수 있겠지만 그렇지 않다해도 스스로 말하고자 하는 것에 대한 생각이 깊어진다는 것이였다.

우주는 어떻게 생겨나게 되었는가?

과학자의 말에 의하면 태초에 빅뱅이 있었고..라고 시작하겠지만 종교적인, 지식적인, 추상적인 접근이라면 내용은 크게 달라진다.

우리나라 제주도 전통설화에 따르면 우주가 창조되기 전 무의 세계에서는 하늘과 땅이 하나였다가 어느 날 생겨난 틈으로 세상이 열린다는 부분을 읽고 아이와 하나의 설화를 만들어 보았다.

아이는 신이 뿌린 여러개의 씨앗중에 열매로 깨어 난 것에 생명이 생겼다고 하고 나는 중2병이 걸린 우주인이 지구에 내려와 놀다 간 흔적이 인간을 만들어 냈다 말했다.

내가 '나'일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 하는 질문도 우리에게는 흥미로웠다. 전래동화중에 손톱을 먹고 내가 된 쥐와 진짜 나를 구별하는 내용을 동시에 떠올리며 서로를 구별하는 암호를 미리 만들어보기도 했다. 정말 간단한 문제인것 같으면서도 내가 나를 설명하는 것은 꽤 어려웠다.

책이 재미있는 점은 같은 질문에 정 반대의 주장을 하는 철학자가 등장한다는 점이다.

소크라테스는 이성이 감정보다 중요하다 했고 니체는 이성과 감정은 균형을 이뤄야 한다고 했다.

요정을 믿는 아이의 순수함을 지켜줘야 하는것인가, 거짓말은 나쁘기 때문에 현실을 깨워줘야 하는가.

철학이 어렵기는 아이나 나나 마찬가지였지만 철학에는 정답이 없기에 어떤 질문이든 자신이 생각하는 대로 이야기 할 수 있어서 그게 좋았다. 중립을 선택해도 그것이 맞다고 여긴다면 그게 내 철학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끝없는 질문과 토론으로 의견을 나누는 행위 그 자체였다.

아이와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하면서 내가 그간 가장 간단하고 당연해서 아이에게 했던 지시들을 떠올려봤다.

이제는 스스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나이가 된만큼 아이의 의견을 존중해줘야겠다고 생각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