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 때리는 걸까요? ㅣ 우리 모두 함께 좋은 습관 3
이지수 지음, 김영곤 그림 / 아주좋은날 / 2021년 4월
평점 :
왜 때리는 걸까요?
[ 이 글은 출판사로 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경험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
아이의 유치원 생활이 궁금해 매일 어떤 일이 있었느냐 물어보면 아이는 늘 같은 친구 이름을 이야기 하면서 그 아이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답한다. 왜 그럴까, 다시 질문해보면 늘 손을 휘드르고 다니면서 장난감이며 책을 쓰러트리는 행동을 좋아한다는 것이다.
나는 순간 그 아이의 잘못된 행동보다 그것을 보고 우리 아이의 반응은 어떠했나 더 궁금해졌다.
혹시 마음에 들지 않은 행동을 한 친구를 보고 나쁜 말이나 행동을 한건 아닌지가 더 걱정스러웠기 떄문이다.
'왜 때리는 걸까요?' 책 속 민종이는 오늘 속상한 일이 있었다.
인호에게 새로운 휴대폰이 생겼는데 한번 구경 좀 해보겠다고 낚아챘던 것이 휴대폰이 교실 바닥에 쿵하고 떨어지면서 두 사람은 싸움이 났기 때문이다.
마음 속 불씨가 화르륵 번지더니 머리끝까지 옮겨붙었어요. 민종이가 인호의 몸을 세게 밀치자, 이번엔 인호의 주먹이 민종이 이마로 날아왔어요.
누가봐도 민종이의 잘못이 분명했지만 민종이는 고작 핸드폰 때문에 자신을 때린 인호에게 화가 났고 이번엔 하교 후 태권도장에서 은서에게 괜한 분풀이를 해버린다.
인호 대신 누구라도 때려 주면 속이 후련할 것 같았는데,
후회와 미안함으로 민종이의 마음은 엉망이 됐어요.
화가 나서 주먹이 오갔지만 아이도 분명히 자신의 잘못을 알고 있었을것이다.
다만 자신의 마음을 알아주는 사람이 없어서 서러웠을뿐.
마음보다 몸이 먼저 행동하는 아이들, 대체 왜그러는걸까?
남자 아이들만 키우는 집이라 제목을 보고 이 책을 꼭 읽어주고 싶었다.
'친구를 때리면 안된다.'
이런 말은 귀에 못이 박히게 해줘도, 친구가 나를 괴롭히는 상황에서는 아이들이 자제하며 화가 나지 않기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책 맨 뒤에는 때리지말고 내 감정을 먼저 말로 이야기 하는 방법을 소개해주고 있었다.
여섯가지 질문 중에 3개 이상 지켰다면 최고의 친구로 인정 해준단다.
매일 보는 친구인데 다투고 나면 그 기분이 어떤지 말해보면서 친구의 기분도, 나의 기분도 상하지 않게 대화하는 방법을 이야기 해볼수 있는 유익한 시간도 가지며 책읽기는 마쳤다.
단번에 나쁜 행동이 좋아질순 없지만 좋은 책을 함께하며 좋은 습관을 갖도록 지도해야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