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를 즐겁게 - 우리말의 어원과 유래를 찾아서
박호순 지음 / 비엠케이(BMK)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말의 어원과 유래를 찾아서 - 국어를 즐겁게

[ 이 글은 출판사로 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경험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

늘상 쓰는 말이기에 국어는 따로 공부에 열을 올리지 않아도 왠만한 점수가 나오는 과목 취급을 받았지만 요즘 아이들의 교과서를 살펴보면 그런 말이 쏙 들어간다. 아이를 학교에 보내보니 저학년부터 꽤 많은 지문 분량과 이해력을 요구하는 질문으로 미리 국어 공부를 하지 않으면 큰일나겠다는 생각이 절로 들었기 때문이다.

그저 책을 열심히 읽히는 것, 문제집을 많이 풀어보는 것만으로는 뭔가 부족한 느낌이 들어서 '국어를 즐겁게' 이 책을 읽어보고 싶었다. 그런데 작가는 초반에 이 책을 읽음으로 별안간 국어 성적이 향상되는 것은 기대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미리 못박아버렸다. (웃음) 다만 아이들이 우리말에 관심과 흥미를 갖고 책을 읽을때 도움이 되는 것을 기대하고 있단다. 그래서 가벼운 마음으로 읽어보기로 했는데 이 책, 의외로(?) 상당히 재미있다.

책에서는 언어, 민속, 역사, 식물과 지명, 교훈으로 차례를 나누어 재미있는 우리 말을 알려주고 있다.

시작은 '얼굴'에 대한 내용이였는데 이마를 머리로 봐야하는 이유와 '얼'빠진 녀석할때 '얼'에 대한 설명부터 사람을 마주할때 얼굴이 가장먼저 눈에 들어오듯이 자신의 얼굴을 잘 관리해야 하는 이유까지 설명해준다.

사람과 사랑에 대한 설명도 재미나다. 공자의 말을 빌리기도하고 유교적이나 철학적 의미, 그리스 신화까지 다양한 이야기로 사랑에 대한 설명을 해주는데 잘모르겠지만 혹시 작가가 민속학자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기 때문인가 싶었다.

사람과 그의 말은 깊은 관계를 맺는다. 사람은 그의 입에서 나오는 말을 통해서 주어진 상황을 변화시키고, 유동적인 현실을 일정한 모습으로 창조하기도 하며, 그 과정을 통해서 자신도 일정한 모습으로 변화한다. 또한 변화된 일정한 모습은 습관을 형성하고, 사람은 이 습관을 통해서 자신의 삶에 지속성을 갖게 된다. p.31

가끔 아이가 하는 모바일 게임을 보면 중국의 게임을 어설프게 번역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단어가 들어가 있기도 하는데 그런 단어들을 이 책에서 발견하고 의미를 알게되어 재미있었다.

또 요즘 아이들이 사용하는 말들도 책에서 발견 할수도 있었는데 '완전'이라는 말은 모든 것이 갖추어져 부족함이나 결함이 없는 것을 의미하는데 '완전 맛있다. 완전예쁘다' 처럼 아이들이 흔히 쓰는 말이 그 의미는 누구나 쉽게 와 닿는건 이해하지만, 더 잘어우리는 우리말이 많으니 제대로 사용해주길 권하고 있다.

가장 기억에 남는 페이지는 '눈썹 세는 날'에 대한 설명이였다. 그 말은 들어본적 있었어도 이것이 친정 부모에 대한 효도와 관려있는 풍속이였다니 몰랐던 부분을 알게되어 재미있었고, 귀신과 붉은 색에 대한 설명도 어디서 들어본적 없는 해석이라 색다르게 다가왔다. 솔직히 국어 공부 책이라니 조금 따분할거라 예상했지만 생각외로 책 내용은 쉽고 흥미로운 내용이 많았다.

예전에 한 영화평론가가 한줄 감상평을 적을때 꽤 많은 고민과 생각을 한글 단어를 선택하는데 사용하고 있다는 것에 조금 놀란적이 있었다. 왜 쉽게 쓰지 않냐는 질문에 축약해서 써야 하는 한 줄 평은 조어력이 뛰어난 한자어를 쓰게 된다는 설명이였지만, 나는 같은 의미를 가진 문장이라도 어떤 한자 어떤 단어를 사용하냐에 따라 그 느낌이 달라진다는 것으로 들렸다.

말을 잘하고 잘 사용한다는 것은 그만큼 사용 할 줄 아는 단어가 많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영어단어를 외우는 것처럼 달달 외워댈것이 아니라 언어에 관심을 갖고 뜻을 제대로 알아두는 것부터 시작해야겠다. 아이도 꼭 완독을 시켜보고싶은 책이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