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역사문화사전 - 알아두면 잘난 척하기 딱 좋은 잘난 척 인문학
민병덕 지음 / 노마드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 궁금한 것은 모두 포털사이트에서 클릭 몇 번으로 얻을 수 있다곤 하지만 나는 여전히 책에서 얻는 지식의 즐거움이 더 크고 더 오래 기억에 남는 것 같다. '알아두면 잘 난척 하기 딱 좋은' 책 시리즈는 지루함 없이 다양한 이야기를 얻을 수 있는 알찬 백과 사전과 같아서 항상 새로운 시리즈가 나오면 찾아보게된다. 그동안 다양한 주제가 있었지만 특히 이 시리즈의 이야기는 '우리역사문화사전' 편이라 초등 고학년에 올라가는 아이와 함께 보면 좋겠다는 기대가 크기도 했지만 이 책이 더욱 특별하게 와닿은 점은 리가 지금까지 살면서 배운 것과는 조금 다른, '우리가 잘 모르는 부분을 다루기 때문'이였기도 하다. 사와 문화에 대한 내용은 대부분 학창시절 충분히 배웠다고 생각하지만 이 책에서는 조금 색다른 내용을 만날 수 있다는게 이 책의 매력이다. 

내용은 시간의 흐름에 두지 않고 의식주. 종교, 과학, 제도, 경제생활, 정치등의 큰 분류에 두고 있어 어느쪽을 펼치고 읽어도 된다. 내가 처음 차례를 쭉 훑을때 가장 먼저 눈에 띈 제목은 '기상 오보는 바로 처벌' 이였다. 조선시대의 일식이란 태양을 상징하는 임금이 빛을 잃었음을 의미하기 때문에 날씨보다는 일식을 관찰케 했는데 이것을 제대로 맞추지 못하면 바로 처벌당했다는 것이다. 과학기술에 관심을 두었던 세종이 이것은 명나라의 천문 관측을 그대로 따른 결과임을 알고 있었기에 처벌하지 않았지만 날씨를 관측하는 관리자는 막강한 권력이 주어지는 만큼 책임 추궁도 컸다는 내용은 책을 읽기 앞서 흥미로운 점이였다. 보통 책에서는 세종대왕 시대의 과학 발명품들과 업적에 대해서만 줄줄 씌여있는 책이 많은데 말이다. 

책의 맨 처음으로 돌아가니 '고려장' 이야기가 나오는데 이 부분도 흥미롭다. 

임금이나 귀족이 세상을 떠났을때 각종 보물과 주인을 모시던 노비나 부하들을 함께 순장한 고구려의 풍습이 고려로 이어져 늙고 병든 사람을 버리는 고려장이 되었다는 것이 우리가 알고있던 설이다. 하지만 노인을 버렸다는 직접적인 기록이 없고 단지 일본인들이 그들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퍼트린 소문이였다고 하니 지식의 일부분만 아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 일인가 생각하게 된다. 책속에서 우리나라 역사이야기중 일본이 등장할때마다 대부분 억울하고 속상한 일들뿐이다. 물론 창씨개명을 항거하는 방법으로 일본의 왕을 지칭하는 덴노와 비슷한 발음을 성씨로 택한 일화를 듣고 빵 터지기도 했다. 어떤 책에서 이런 이야기를 들을수 있을까? 

우리나라 다방과 부동산의 과거 모습이나 고층빌딩이 만들어지게 된 계기, 햄버거는 발생지가 동양이였다는 사실, 과자의 시초, 설날에 떡국을 먹는 이유 등등 역사서에서는 잘 보기 힘든 내용들 부터 과학적 근거는 부족하지만 지금도 알게 모르게 '썰'로 내려오는 내용들 까지 다양한 우리나라 문화 역사에 대한 내용을 만날 수 있어서 즐거웠다. 

오늘날 모습은 그 의미와 방식은 변화했지만, 그 시작을 알고나면 이 책의 이야기는 단순히 재미를 위한게 아니라는게 느껴진다. 아이가 스마트폰 게임을 하며 보았던 역참이라는 단어를 책에서 보았다고 즐거워했던 것처럼 변형된 과정을 하나씩 알게되니 과거와 현재는 어떤 끈으로 연결되어져 있다는것도 느껴진다. 

지금은 사용하지 않아 모르는 내용들도 알아두면 어디가서 책 제목처럼 '잘난척' 좀 뽑낼수 있을것 같은 이 책은 '우리나라의 문화'를 더 들여다 보고 싶다면 꼭 읽어봐야할 책이 아닌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