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어타운 베어타운 3부작 1
프레드릭 배크만 지음, 이은선 옮김 / 다산책방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삼월 말의 어느 날 야밤에 한 십대 청소년이 쌍발 산탄총을 들고

숲속으로 들어가 누군가의 이마에 대고 방아쇠를 당겼다.

 

이것은 어쩌다 그런 사건이 벌어졌는지에 대한 이야기이다.

 

도대체 왜? 무슨일이지? 라는 호기심을 강하게 불러일으키며 소설은 이렇게 시작된다.

헌데, 이 세 줄의 충격적인 내용과는 다르게 이야기는 삼월 초로 거슬러 올라가 평화로운 마을, 베어타운의 모습속 사람들의 이야기가 이어진다.

'여기서 살면 앞 날을 예측할 수 있다. 내일도 모레도 그리고 그 다음 날도'라는 문장처럼 베어타운은 조용한 마을 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생각보다 심각한 문제가 있다. 해마다 점점 더 많은 일자리가 사라지면서 그와 더불어 인구도 줄고, 매 계절마다 숲이 폐가를 한두 채씩 집어 삼키고 있으며 이곳을 찾는 이도 줄어들고 있다.

그러나 이런 도시에 탕~탕~탕.탕.탕 소리와 함께 희망이 찾아왔으니 바로 한 소년 케빈의 뛰어난 하키 실력이였다. 아직 십대선수일 뿐이지만, 팀의 성적이 오르면 마을의 분위기와 가치도 함께 오를꺼라는 막연한 기대에 휩싸여 마을의 희망이 되었다. 그래서 그 작은 소년에게 온 기대를 걸게 되었다. 그렇다 이곳은 하키타운 이였던 것이였다.

 

이 스포츠가 요구하는 것은 단 한 가지. 당신의 전부다.

그 시합은 전부나 다름없다. 그뿐이다.

 

소설의 스토리를 모르고 읽기 시작했기에 초반에는 시합에 온 집중하는 케빈과 그를 보조하려 애쓰는 사람들, 그리고 평범한 소녀의 일상적인 모습들에서 작은 도시의 정겨운 모습 혹은 소소한 로맨스를 기대했는데 어머 이게 왠걸? 본격적으로 들어가는 시점에서 이야기의 분위기를 확 바꿔버린다.

​하키 청소년팀이 준결승에 승리하게 된다면 베어타운도 큰 전환점을 맞이할거라는 온 기대를 하고 있던 그 날, 케빈의 성폭행 사실이 드러난 것이다. 케빈은 가해자로 지목되었고 그것이 사실로 밝혀지지만, 자연스럽게 사람들의 분노의 손가락은 가해자가 아닌 피해자 소녀에게로 향한다.

이것은 전혀 충격적이지 않았다. 그냥 그럴줄 알았다. 이런 말도안되는 수순에 나와 세상은 너무 익숙해진거다.

케빈의 부모님은 재력가이며 하키를 후원하고 있었기에 마을 사람들은 피해자의 고통은 보이지 않는다. 오히려 가해자를 걱정한다. 한 줄 실낱같은 마을의 희망이 별것도 아닌일(?)로 사라져버릴까 전전긍긍하면서 말이다. 대의를 위해서 소의는 희생해야한다는 것과 이것은 전혀 별개의 문제이다.

기타를 사랑하던 소녀의 모습은 참 명랑하고 밝았는데, 이제 그 때로 다시 돌아갈 수 없게 되었다.

그게 가장 가슴아프다.

​가해자에게 성폭행은 몇분이면 끝나는 행위다.피해자에게는 그칠 줄 모르는 고통이다.

성폭행 사건이 두드러져 보이지만 이야기는 돈이 휘두르는 권력이 중심이 되어있다. 아이들이 순수한 열정으로 사랑하는 하키를 정치적인 목적으로 이용하려는 어른들의 욕심부터 뭐든 돈으로 해결하려는 암묵적인 수순들이 원래 그런거라며 당연하게 익숙해져도 되냐고 되묻는다. 지금까지 그래왔으니까 반항해봤자 변하는거 없으니까 그냥 계속 그렇게 내버려둘꺼냐고 나를 야단치는것만 같았다.

우리는 가정교육만 제대로 받았다면 누구나 아는 내용이 있다.

잘못을 했으면 벌을 받는다는 것과 옳지않은 일은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 단순한 두가지를 지키며 살아간다는게 참 어렵다. ​

피해자뿐 아이다. 사람들은 각자 마음속에 상처와 죄책감이 남지만 그래도 이야기의 끝에는 희망의 끈을 놓지 않는다. 나는 그것이 끝이라고 생각했지만, 아이들에게는 그 뒤의 이야기가 아직 많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