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초등 도형 한 권으로 총정리 - 초등 고학년용
나정흠 지음 / 에듀인사이트 / 2017년 3월
평점 :
[에듀인사이트] <초등 도형
한권으로 총정리>
몇일 전에 아이가
학교에서 수학시험을 보고 왔어요. 선과 선분 배우는 부분은 엄마가
보기에 전혀 어렵지 않아서 따로 복습을 시키지 않았더니 세상에 시험성적이 너무 안좋게 나온거예요!
속상한 마음에 교재를
하나 사서 엄마표로 가르쳐줘야겠다 싶어서 <초등도형 한 권으로 총정리>를 풀어봤답니다.
이 한 권만 잘
마스터하면 중학교 들어갈까지 도형문제는 걱정없다네요!
두툼한 한권의
책안에는 깔끔하게 분리되는 정답/해설편이 따로 나와있었습니다.


문제를 무조건 많이 풀어보는 것보다
교재를 어떻게 만들었냐를 먼저
파악하는게 좋을것같아서 서문을 읽어봤는데,
수학공부의 기본은 잘 풀리지 않는
문제를 '생각하고 또 생각해 그것을 풀어내는 기쁨'이라고 표현한 부분에서 공감했답니다.
저도 그동안 아이에게
'반복연산' 많이 빨리 풀리기에 집중했는데, 도형은 그렇게 풀면 안되겠더라구요.
수학에 강해지려면
스스로 푸는 힘을 길러야죠!
1.
무작정 문제를 풀기보다는 어떻게 개념이 나왔는지를 생각해 보자.
2.
문제를 풀 때 가능한 그림을 그리면서 풀어 보자.
3.
빨리 푸는 것보다 스스로 푸는 것에 가치를 두자.
4.
맞춘 문제라도 정답과 해설을 읽어 보자.
책의 구성은 먼저
<개념활동>으로 도형의 개념을 쌓고, <개념 익히기>로 앞서 배운 내용에 유사한 난이도의 문제를 풀어본 다음
<개념 넓히기> 단계로 조금 더 높은 상급 문제를 풀어봄으로서 개념을 다져보는 순서로 되어있어요.
차례를 살펴보니
아이가 현재 학교에서 한참 배우고 있는 '선분, 반직선, 직선'편 부터 '원뿔과 구, 입체도형의 단면'까지 진도가 나와있네요.
차례 다음장에는
마스터한 날짜를 체크해가며 얼마나 학습했는지 확인 할 수 있는 페이지가 있었구요.

'선분, 반직선, 직선'
부분은 이미 학습하교 시험도 본 내용이기에 문제를 푸는데 어려움은 없을거라 생각했는데 각과 선분을 읽어보는 문제는 아직도 헷갈려 하는 부분이
있더라구요.
그래서 진도가 빨리
나가지 못했지만, 이번 기회에 확실히 짚어가자 생각해서 천천히 풀려봤답니다.



지난 수학 시험때
선을 제대로 긋지 않아서 틀린 문제도 있었기에 이번에는 자를 이용해서 꼼꼼하게 풀어봤습니다.
소잃고외양간고치는
격이라도 한 번 공부할때 확실히 해두지 않으면 안된다는걸 스스로 알게되었나봐요.
문제를 풀때는 조금
답답한 부분이 있어도 꾹 참고 아이가 다 풀기를 기다렸어요.
잘 모를때는 엄마를
부르지말고 문제의 오른편을 참고하라고 했지요.
도형에서 여러가지를
찾아내는 문제는 답을 다 적었는지 확신하지 못하는 모습이네요.

두번째 페이지에서 모두 맞췄는데 딱
하나 설명하는 문제의 답을 또 건너뛰었더라구요.
생각대로 적지말고
책에 나오는 용어대로 적는 연습이 많이 필요해보였어요.



이런 문제는
재미있어했어요!
색종이를 접어서
나타나는 모양의 직각을 찾아내는 문제는 아이가 재미있어 했답니다.
종이를 직접 접고
싶어했지만 보기로 그림이 잘 나와 있어서 그냥 눈으로 확인하라고 했네요.

또, 시계의 두
바늘이 이루는 작은 쪽의 각이 직각인 시각을 고르는 문제! 이거 재미있었어요.
이건 생각하느라
시간이 걸리겠네~했는데 답을 금방 적더라구요.
아이가 이런 문제만
나오면 좋겠대요.

직사각형은 정사각형이
될 수 없다.
정사각형은 직사각형이
될 수 있다.
직사각형은 직각이
네개인 사각형이고, 정사각형은 직각이 네개이며 네변의 길이가 같은 사각형이다.
이거 알려주기가
왜이렇게 어렵나요~
아이가 문제를 푸는
모습을 지켜보니 어떤 부분이 부족하고 어떤 부분을 좋아하는지 알 수 있는 시간이라 좋았어요.
부족한 부분은
해답/설명 책을 펼쳐놓고 같이 답을 확인했답니다.
집중력이 조금
부족해서 한번에 좋아지지는 않겠지만, 자주 풀어보고 매일 연습하다보면 수학/도형 모두 어렵지 않아할것같아요. 앞으로 더 열심히
풀려봐야겠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