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 초보자가 가장 알고 싶은 최다질문 TOP 63
심짱 지음 / 메이트북스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같은 코로나 시대에 가장 핫한 스포츠로 떠오른 것이 바로 '골프'이다.

 

코로나 전만 하더라도 필드에 가보면 평균 연령이 거의 40~50대, 그것도 대부분이 남자들인 그런 운동이 골프였다.

그런데, 요즘 필드나 스크린연습장을 보면 30대는 물론이고, 20대 더군다나 여성골퍼들도 많이 늘어 확연하게 연령의 하향과 남녀 구성비가 변해가고 있음을 느낀다.

 

나 역시 골프에 입문(?)한지도 어느듯 10년이 되어 가지만, 아직도 필드에서 90대 초반에서 중후반까지 걸쳐있는 골린이라고 보면 된다.

사실 골프를 처음 시작하면서 최소한 3개월에서 6개월 정도는 충분히 배우고 필드든 스크린이든 입문해야 됨에도 불구하고 겨우 1개월도 연습장 안 다니고 입문을 하다보니 지금도 실력이 늘지않고 구력만 늘어가는 꼴이다.

 

그래서 이 책을 읽기로 했다.

 


이제 막 입문한 골프 초보자들이 궁금해하는 골프장 갈때 준비해야 되는 물품이나 아이언이나 웨지 등의 종류, 골프 에티켓이나 매너 등은 구력이 있는 만큼 어느 정도는 알고 있으나,

골프실력 만큼은 여기서 저자가 알려주는 내용이 필요한 골린이 수준이나 마찬가지이니까..

 

이 책에는 골프용품과 같은 기초적인 이론부터 고수들의 실력을 유지하는 비결까지 다양한 내용들을 있지만, 골프 실력이 부족한 나 같은 사람들의 단골이슈들이 자세하게 설명되어 올라와 있다.

더불어 책에는 사진으로 첨부된 QR코드를 이용해 열면 유튜브 동영상으로 저자의 직장을 들을 수 있으니 아주 좋은 연습 가이드북(?)이 되지 않을까 한다.


흔히 초보자들이 겪는 문제인 드라이브에서의 슬라이스와 짧은 비거리 문제, 아이언에서의 뒷땅과 타핑, 그리고 전반적인 문제인 체중이동이 안되는 문제, 잦은 퍼팅실수와 벙커에서의 샷 문제 등 나 같은 이들이 흔히 겪는 문제들에 대하여 나름대로의 구제방법을 알려주고 있다.

 

필드에 가면 가장 흔하게 나오는 이슈인 '뒷땅'의 처방을 보자.

 

뒷땅의 원인이 여러가지가 있지만 일단 체중이동이 잘 안되는 원인이 있다. 피니쉬 때 체중이 왼발에 있지 않다면 뒷땅을 파내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캐스팅'이라고 다운스윙 시 손이 풀려서 내려오는 경우도 뒷땅을 치게 되는 원인 중 하나가 된다.

이에 대한 해법은 연습스윙 시 손의 풀림이 없이 공의 앞부분은 치는 연습을 하는 것이라고 한다. 앞땅을 연습스윙해 몸에 익히고 그 몸동작으로 공을 쳐주면 훨씬 좋아질 것이고, 그래도 잘 안되면 체중을 조금만 이동해주면 많이 좋아진다는 것이다.

 

주의해야 될 점은 뒷땅이 난다고 공을 오른발 쪽에 가까이 놓고 치면 더 안좋아지니까, 뒷땅이 나더라도 왼발 쪽에 놓고 그 공을 치기 위해 더 끌고 가거나 체중이동을 과감히 해야 되는 점이다.

 

반대로 공의 윗부분을 맞추는 '타핑'의 가장 큰 원인은 머리를 드는 헤드업이다.

헤드업에 대하여는 연습장이든 선배들이든 워낙 많이 들어서 잘 알고 있는 내용인데도 실제로 필드에 다른 이들이 치는 모습을 보면 헤드업이 종종 나오게 된다.

 

또한, 헤드업이 아니더라도 어깨나 팔에 힘이 들어가서 올라감으로서 타핑이 나는 경우도 종종 있으므로 어깨의 힘을 빼고 망치질하듯이 못을 박는 순간에는 힘을 주는 것처럼 클럽을 위에서 아래로 치는 연습을 충분히 하고 조금씩 올리면 타핑의 공포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골프를 사실 책이나 이론으로 배워보지는 못했던 것 같고, 스크린이나 필드에서 선배들로부터 주워들은 이야기가 전부가 아닌가 한다.

 

이제부터라도 나 자신에게 문제인 각종 골프이슈들을 하나씩 없애간다는 자세로 연습에 임한다면 언제인가 싱글이라는 아마츄어의 꿈도 가능하지 않을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게임의 법칙을 설계하라
케이윳 첸.마리나 크라코프스키 지음, 유효상 옮김 / 클라우드나인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제학자들이 의류회사 고객들을 대상으로 대대적인 실험을 한 적이 있다.

 

동일한 가격의 여성 의류 중에서 44, 55, 66 사이즈는 이전과 동일한 가격으로 판매를 하고 대형사이즈인 77, 88 사이즈만 가격 인상을 했다.

예상대로 특정 사이즈이지만 가격이 오르자 구매가 눈에 띄게 줄었다.

 

이번에는 모든 사이즈의 가격을 올렸다.

어떻게 되었을까?

 

그런데, 이번에는 특정 사이즈만 올렸을 때와 비교하면 구매가 크게 줄지는 않은 결과가 나왔다.

 

이상하지 않나?

상식적으로 생각하기에는 모든 사이즈의 가격이 오르면 더 구매가 줄어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특정사이즈만 올렸을 때가 더 구매가 줄어드는 현상이 발생한다.

고객의 입장에서 보면 특정사이즈 구매자만 비용이 상승하는 것이 전체 구매자의 비용이 올라가는 것보다는 더 합리적인 선택임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의류업체가 '부당한 가격 정책'을 펼쳤다고 인식하는 것에서 기인한다.

 

비슷한 예로 두 사람 모두 승낙하는 경우에 한하여 10만원을 두 사람에게 나누어 주기로 했다.

자기에게는 2만원, 또 다른 한 명에게는 8만원을 주겠다는 조건에 의외로 그 조건으로는 승낙하지 않겠다는 사람들이 꽤 있다고 한다.

 

승낙을 하면 아무 대가 없이 2만원이 생기는데도 불구하고, 상대방이 더 많이 받는 것을 참지 못하고 같이 망하겠다는 것이다.

 

이처럼 상식 혹은 합리적인 생각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사람들의 경제심리를 연구하고 이에 대하여 쓴 책이 바로 이 책 『게임의 법칙을 설계하라』이다.

 

이 책의 원서 출간은 지금으로부터 약 11년 전인 2010년이었고, 우리나라 번역본 역시 2010년에 이미 출간된 적이 있다.

 

그 당시 제목은 『머니랩』(타임비즈 출간, 2010년 10월)으로, 이 책의 표지 하단에 영문으로 표시되어 있다.( 영문명은 『Secrets of the MoneyLab』 이네요.)

 

최근 급변하는 경제환경에서도 이러한 경제심리들이 맞을지는 모르겠지만, 기업들의 측면에서 고객들의 심리를 파악하는 실험들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고 보면 될 것이다.

 

공정성에 관한 위의 실험들 외에도 '숫자 정밀성 효과'도 여러가지 실험과 연구가 지금도 진행된다.

 

'395,425달러'와 '395,000달러' 어떤 것이 더 클까?

당연히 395,425달러가 더 큰데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뒤에 0이 몇 개 붙어 있는 숫자보다, 마지막 단위까지 붙어 있는 가격이 더 신뢰가 있다고 믿고 실제 구매도 더 하게 된다.

그래서 지금도 각종 상품의 가격에는 원단위까지 들어가 있는 경우를 생각보다 많이 볼 수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다.(최근엔 IT기술의 발달로 원단위까지 단 1원이라도 차이가 나는 것을 표시해 주고 있어 효과는 떨어지고 있지만..)

 

어떤 재화나 서비스를 판매할 때 단순한 합리적인 정책만으로는 쉽지 않다는 사실을 새삼 다시 깨닫게 하는 여러 실험들을 통해서 우리가 살아가는 경제의 모습을 다시 한 번 보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운명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 흔들리는 나를 일으켜 줄 마음 처방전
오왕근 지음 / 상상출판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게 된 계기는 저자의 이름 뒤에 붙는 '법사'라는 명칭때문이었다.


나는 아직 점을 보러 가 본적도 한 번 없고, 불교나 다른 종교를 믿고 있는 것도 아니기에 법사라는 호칭이 조금은 낯설은 단어이다.


그런 '법사'님, 더군다나 <놀면 뭐하니?>, <강호동의 밥심> 등 유명 TV프로그램에도 나오고, 신문기사로도 여러번 다루어지고 있는 유명 법사님이 전하는 삶의 지혜가 궁금했기 때문에 책을 열어보기 시작한 것이었다.


그런데, 이 책을 읽어가면서 내가 법사님께 가서 내 마음에 들어있는 이야기를 꺼내놓고 상담을 하고 있다는 느낌이 들었었다.


내가 듣고픈 이야기, 위안받고 싶었던 이야기들을 실제 듣지도 않고 책을 통해 전해주는 느낌이라 책을 손에서 놓기가 어려웠다.


법사님이 책의 머리에 직접 써 준 문구처럼..


그대의 계절은 어디쯤 와있나요

부디 이 책과 그대의 꽃씨가 만나

따뜻한 봄날의 싹이 트길

기원합니다

- 법사 오돵근 -


숙명이 뒤에서 쏘아대는 화살이라면, 운명은 앞에서 날아오는 화살이기 때문에,

미리 준비하고 대비한다면 충분히 피해갈 수 있다는 이야기도 머리 속에 잘 간직되는 문구이다.


이 책에는 나에게 희망을 주는 좋은 문구들과 글귀들이 여기저기 흐르고 있다.

" 우리는 사람에게 상처받지만, 

결국 다시 살아갈 희망과 용기도 사람에게 찾는다. "


" 그저 살다 보면 살아진다. "

" 떠나간 사람과 지나간 일에 자책하지 말고 새로운 인연과 일을 만날 준비를 해라."


" 당신도 해낼 수 있다. "


" 지금 파도에 빠져 허우적거리고 있어도 포기하지만 않는다면

5, 10년 후에 목적지까지 어느 정도 가있을 것이다.

타인의 시선을 신경 쓰느라 필요 없는 에너지를 낭비하지 말고

내가 중심이 되어서

자신을 더 사랑하고 아껴주길 바란다. "


" 꿈을 이뤄야만 행복할 것이라고 생각하지 말고

지금 책 한 권 사서 읽을 수 있는 능력과 신체에 감사하며

지금 이 순간의 행복을 느껴보자. "


" 당신의 계절은 반드시 있으며

분명 날개를 펼쳐 멋지게 비상할 날이 있다."


우리는 미래와 꿈을 이야기하지만, 과거에 얽매어 미래를 찾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나도 그런 적이 여러번 있었고, 어쩌면 지금도 그 과거의 실타래에서 벗어나지 못해 다가올 미래를 준비하고 있지 못하는 건지도 모르겠다.


그렇지만, 언제인가는 나의 꿈이 도약할 날도 있으리라는 이야기들이 이 책의 많은 이야기와 사례에서 나오고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오늘 바로 이 순간의 행복을 즐기고, 느끼는 그런 삶이 필요하지 않을까...


내일이 있다는 것은 오늘을 행복하게 살아가는 모습에서 나오는 것이기에

오늘을 행복하게 살아가는 모습은 나의 미래에 희망을 만들어가는 것이기에

나의 오늘과 내일은 밝은 햇살이 비추어질 것이다.


책에서 느끼는 기운과 감성이 앞으로도 나의 삶에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으면 하는 바램을 안고 이 책의 느낌을 전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계사 속 중국사 도감 - 지도로 읽는다
오카모토 다카시 지음, 유성운 옮김 / 이다미디어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한 권으로 무구한 역사를 지닌 중국사를 모두 이해하려고 한 것은 역시 무리인가?

책을 모두 읽었지만, 중국의 역사를 이번 기회에 정리해 보려고 했지만, 머리속에서 뭔가 실타래가 얽혀 남아있는 느낌은 어쩔 수가 없다.

 

그래도..

다시 한 번 중국사에 대한 이해를 해보려고 한 시도만큼은 좋았던 경험이 아닌가 한다.

 

 책은 거대한 중국 역사 전체를 지도와 인근 나라들과의 관계를 통하여 풀어보는 책이다.



이 책을 읽을 때 중국의 역사를 년도별 도표로 된 것이 있다면 이해가 빠를 것 같아 네이버를 검색하여 하나 받아서 같이 보았다.








[ 中國歷史年代簡表 ]                         (출처 : cafe.naver.com/noblood/16414 )

夏 (하)

約前21~前16世紀

商 (상)

約前16~前11世紀

周 (주)

西周 (서주)

約前11~前771

東周 (동주)

約前770~前256

春秋 (춘추)

約前475~前221

戰國 (전국)

約前475~前207

秦 (진)

前221~前207

漢 (한)

西漢 (서한)

前206~公元24

東漢 (동한)

25~220

三國 (삼국)

魏 (위)

220~265

蜀 (촉)

221~263

吳 (오)

222~280

晉 (진)

西晉 (서진)

265~310

東晉 (동진)

317~420

南北朝

(남북조)

南朝

(남조)

宋 (송)

420~479

齊 (제)

479~502

梁 (양)

502~557

陳 (진)

557~589

北朝

(북조)

北魏 (북위)

386~534

東魏 (동위)

534~550

北齊 (북제)

550~557

西魏 (서위)

530~556

北周 (북주)

557~581

隋 (수)

581~618

唐 (당)

618~907

五代

(오대)

後梁 (후량)

907~923

後唐 (후당)

923~936

後晉 (후진)

936~947

後漢 (후한)

947~950

後周 (후주)

951~960

宋 (송)

北宋 (북송)

960~1127

南宋 (남송)

1127~1279

遼 (요)

916~1125

金 (금)

1115~1234

元 (원)

1271~1368

明 (명)

1368~1644

? (청)

1644~1911

中華民國 (중화민국)

1911~1949

中華人民共和國

1949成立

 

최초에 누가 만든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이 도표를 곁들인 덕분에 이 책의 흐름을 이해하는데 조금은 더 도움이 되지 않았나 한다.

 

중국이라는 나라가 오래된 역사만큼 영토 또한 넓은 관계로 다양한 민족들이 한데 모여 하나의 나라를 이루어 살고 있고, 그들 각각의 역사 또한 현재 중국의 역사 속에 모두 들어가 있는 관계로 우리나라와 비교해서 아주 복잡한 흐름이 나오게 된다.

 

그 흐름에서 아주 오래전 역사가 이른바 먹을 것, 즉 식량획득과 민족간 대립의 역사였다면 이후에는 경제권과 민족적 이질성으로 인한 역사로 변하였고, 경제적 문제는 남북의 차이에서 이제는 중국 내 동서의 차이로 나타나고, 민족적 차이에 의한 이질적 모습은 지금도 신장위그르, 티베트 등에서 아직도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문제로 대두되어 있다.

 

넓은 영토와 다양한 민족으로 이루어진 중국인 관계로 진나라로 통일이 되기도 했지만, 한나라를 거쳐 삼국시대, 남북조 시대와 같은 분열의 시기가 다시 오고, 이어서 현재까지도 통일과 분열을 지속하는 역사를 보내게 된다.

 

우리나라가 삼국시대 이후 통일신라, 고려, 조선으로 이어지는 한 개 왕조의 나라라면, 중국은 한 개 왕조와 분열로 인한 여러개의 분열된 나라가 역사에서 반복되는 과정을 거친 나라라고 보면 될 것 같다. 그래서 하나의 역사라기보다는 여러 나라의 역사가 모여 있는 느낌이 강한 그런 역사가 아닌가 한다.

 


이 책에는 이런 중국의 방대한 역사가 지도와 더불어 시대적으로 열거되어 단 한 권으로 정리되어 있다. 중국의 역사를 정리해 본다는 차원에서 한 번 읽어 본다면 머리가 조금은 가벼워지지 않을까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순하게 내려오는 우리나라 역사를 보다가, 흩어지고 뭉치는 것이 반복되는 중국의 역사는 결코 쉽게 않다는 것을 새삼 또 느끼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한 투자의 법칙 - 소득을 무한대로 올리는 상위 1% 부자들의 투자 비법
토비 마티스 지음, 김정한 옮김 / 이터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만히 있어도 수입이 자동으로 들어오는 구조!

이런 수입구조는 누구나 꿈꾸는 투자자들의 미래가 아닐까?

 

코로나19라는 세계적인 이슈가 발생하여 경제환경이 암울해진 지금 현재에도 누군가는 평상시보다 더 많은 수입을 얻어가고 있다.

특히, 이미 많은 자산을 가지고 있는 부자들은 더욱 많은 자산증식이 일어났고, 빈곤한 자영업자나 가난한 월급쟁이들은 더 어려운 환경으로 빠져버린 게 최근의 모습이다.

 

서민이라는 굴레에서 벗어나 경제적 자유를 누리는 부자가 되는 방법, 사실 누구나 알지만 현실에서는 잘 못하고 있는 방법을 이 책에서 사례를 통하여 잘 제시하고 있다.

 

소득을 무한대로 늘리는 방법은 결국 복리의 기적을 활용하는 방법이다.

 

저자는 이런 방법으로 3가지 포트폴리오를 제시한다.

 

우선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자산이 5만 달러(우리돈 약6천만원)보다 적다면 지속적으로 배당을 하고 있는 '배당주'를 사면 된다.

 

만약, 1천만원의 투자금이 있다면 9백만원은 배당주로, 10%인 1백만원은 즉시 활용이 가능한 예탁금이나 채권ETF 등에 투자를 한다.

100만원은 가격이 아주 좋은 배당주를 살 수 있는 만약의 기회에 활용하기 위해 남겨두는 것이다.

 

9백만원의 배당주에서는 배당금으로 년간 약3~5%정도를 지급할 것이고, 추가로 그 주식을 주식대여나 콜옵션으로 활용하게 되면 적지만 추가적인 수익을 올릴수 있다.

 

주식대여나 콜옵션을 활용하지 않더라도 5%의 배당을 받게 된다면, 다음 해에는 9백만원이 아닌 945만원에 해당하는 배당주를 보유할 수 있게 되고, 그 해의 배당금은 1년전 배당금 45만원보다 많은 47.5만원의 배당금이 나오게 되어 총자산은 1,092.5만으로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자산을 복리로 늘리는 것이 배당주 투자인 것이다.

 

두 번째로 이런 방식으로 해서 만들어간 자산이 5만 달러를 넘기게 되면 이제는 배당주 45%, 부동산 45%, 현금 10%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한다.

 

이 때 부동산은 가격이 오를 것으로 예상되는 부동산이 아닌 임대수익율이 좋은 부동산을 구입하는 방법이다. 물론, 직접 부동산을 구입하지 않아도 리츠를 구매하는 것도 동일한 효과를 가져온다.

 

임대료든 리츠 분배금이든 모두 배당금과 같은 복리의 효과를 동일하게 보여줄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10만 달러가 넘어가면 배당주 30%, 부동산 30%, ETF 30%, 현금 10%에 투자한다.

 

ETF의 경우 금액에 상관없이 리스크한 한 개의 종목이 아닌 수십, 수백개의 주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리스크를 줄이면서 주식시장의 상승치를 얻을 수 있는 좋은 투자방법이기 때문에 추가로 구성하는 것이다.

 

이렇게만 구성되면 가만히 있어도 수입이 지속적으로 창출되고 또한 그 창출된 투자금이 다시 투자에 활용되어 무한하게 늘어나는 자산을 맛보게 되는 것이다.

 

이 책에서 제시하는 이 방법은 사실 처음 듣는 것은 아닐 것이다.

다만, 매일 변하는 투자환경에서 장기적인 투자를 하지 못하고, 하루하루마다 일희일비하는 우리의 투자모습에서 못벗어나는 것이 더 문제일 것이다.

 

하지만, 이제는 좀 더 현명하고 장기적인 투자의 시대가 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이 책에서 제시하는 어쩌면 쉬워보이는 투자방법 따라 해 보아야 되지 않을까?

우선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배당을 하는 주식, 더군다나 공매도용 주식대여 수수료까지 받을 수 있는 주식을 찾아보는 것이 첫 번째 해야 될 일이 아닐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