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라움만으로는 충분치 않다는 것이다. 우리에게는 통찰력이 필요하다. 놀라움을 느끼려면 예측할 수 없어야한다.  놀라움이란 예측 가능의 반대말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람을 놀라게 할뿐 아니라 만족까지 하게 하려면, 놀라움은 반드시 예측이 가능해야 한다. 잠깐, 이 무슨 말도 안 되는 소리냐고? 조금만 생각해보면 금세 이해가 갈 것이다. PHRAUG는 후後 예측이 가능하지만 HENSION은 그렇지 못하다.

상식은 스티커 메시지와 앙숙이다. 평범하고 상식적인 메시지를 들으면 사람들은 한 귀로 듣고 한 귀로 흘리게 마련이다. 그게 뭐 어쨌단 말인가?

따라서 스티커 메시지를 만드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① 당신이 소통해야 할중심 메시지를 파악한다. 즉, 핵심을 찾아라. ② 메시지의 반직관적 요소를 찾아낸다. 예를 들어, 당신의 핵심 메시지는 어떠한 의외성을 함축하고 있는가?
어째서 그런 점이 지금껏 드러나지 않았는가? ③ 청중의 추측 기제를 충격적이고 반직관적인 방식으로 깨뜨림으로써메시지를 전달한다. 그런 다음 그들이 새로운 추측 기제를 구축할 수 있도록도와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회 구조가 아무리 불공평해도 기술 발전은 공동체 전체의 이득이 될수밖에 없다. 어떤 재화는 공동으로 소유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백만장자가 자신이 다닐  때만 거리에 불을 밝히고, 다른 사람들이 다닐 때는 거리를  어둡게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다. - P5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제는 단순성(with핵심) 오늘은 의외성

 ‘음주운전을 못하게 하는 친구가 진짜 친구다‘

허를 찌르는 메시지는 고착성이 가장 강한 스티커 메시지다. 예상치 못한 충격을 받으면 우리는 주의를 집중하고 그자리에 멈춰 서서 골똘히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러한 관심과 생각은 우리의 기억 속에 사건을 각인시킨다. 놀라움은 관심을 자극하고 때로는 무심히 사라져 버리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관심을 붙잡아둘 수 있다. 놀라움은 우리에게 다른 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도록,
미래에는 어떻게 그런 충격을 피할지 대책을 마련할 수 있도록 숨어 있는 원인을 밝혀내라고 부추긴다.

놀라움은 우리가 어째서 놀라게 되었는지 그 해답을 추구하도록 만든다. 놀라움의 강도가 크면 클수록 우리는 커다란 해답을 요구한다.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싶은가? 그렇다면 크게 놀라게 하라. 그러나 놀라움만을 추구하다가는 자칫 커다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속임수의 영역으로 넘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저자가 영국인이라 그런지 책을 읽으면서 영국이라는 나라에 대해서 이런저런 것들을 배우고 알아가는 맛이 있다. 얼마 전에 읽었던 부분에서는 영국요리가 왜 별로인가에 대해서 알 수 있었고, 오늘은 영국인들의 특징에 대해 대략적으로라도 알 수 있었다.


영국을 주의 깊게 지켜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인정할 만한 몇 가지 일반적인 생각이 있다.
하나는 영국인에게 예술적 재능이 없다는 것이다. 영국인은 독일인이나 이탈리아인만큼 음악적이지 않고,  프랑스와 달리 영국에서 회화와 조각이 융성한 적은 한 번도 없다. 또 하나는 유럽인들 중에서 영국인은 별로 지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영국인은 추상적 사고에 대한 반감이 있고, 철학이나 체계적인 세계관의 필요성도 느끼지 못한다. ㅡㅡㅡㅡㅡㅡ 그러나 영국인은 깊은 생각 없이 행동하는 힘이 있다. - P459

영국인이 가장 싫어하는 이름은 <노지 파커>이다. ㅡㅡㅡ노지 파커는 지나치게 참견하는 사람이라는 뜻 - P46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딱딱한 책인듯 하다가도 읽다가 간혹 기발한 문장들이 나온다.

디즈니랜드가 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비결 중 하나는 그들이 자신의 업무를 단순히 청소가 아닌 연기로 인식했다는 점이다. ‘직원은 배우‘라는 사고방식은 디즈니랜드가 지난 50년 동안 지켜온 발생적 비유다.

핵심을 찾고 간결하게 표현하라. 그 엄청난 위력을 확인하게 될 것이다.

의외성(Unexpectedness) 듣는 이의 추측 기제를 망가뜨려라

애인과 헤어지는 방법에는 수십 가지가 있지만, 이 비행기에서 나가는 방법은 단 여섯 가지뿐입니다.

의사소통에 있어 첫 번째 난제는 사람들의 관심을 사로잡는 것이다. 어떤 이들은 사람들의 관심을 이끌어내기 위해 권위를 사용하기도 한다. 부모들이 자녀들을 대할 때가 좋은 예다. "보비, 여길봐! 보비, 엄마 보라니까!" 그러나 대개의 경우 관심을 요구하거나 명령할 수없다. 자연스럽게 이끌어내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다.

사람들의 관심을 끄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바로 ‘패턴을 파괴하는 것‘이다.
인간이란 일관된 패턴에 기가 막힐 정도로 재빨리 적응하는 생물이다. 지속적이고 단조로운 자극은 아무런 관심도 끌어내지 못한다.

우리의 두뇌는 변화에 민감하도록 만들어졌다. 이 같은 성향을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는 똑똑한 제품 디자이너들은 사용자의 관심을 끌기 위해 언제나 변화를 추구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