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멘토 모리(죽음을 기억하라)‘ - P243
프렛(기타나 베이스, 밴조와 같은 발현악기의 핑거 보드에 설치된 음쇠. 줄에 손가락을 짚을 때 프렛에 줄이 닿게 만들어 음의 높낮이를 교정한다) - P245
블루그래스(미국 서부 산악 지역의 음악을 민속 악기만을 이용해 현대화한 음악 장르) - P246
‘금란의 들판(프랑수아 1세와 헨리 8세 사이의 레슬링 경기. 1514년에 맺어진 잉글랜드와 프랑스 사이의 조약을 굳건하게 하기 위한 친선경기였다.)‘ - P247
가장 무서운 부분은 이 투구의 차갑고 냉정한 정직함이다. 이것은 다른 사람의 머리를 내려쳐서 부술 때 자신의 두개골을 보호하기 위한 커다랗고 속이 빈 중금속 덩어리일 뿐이다. - P247
17세기 후반, 총기는 양철 인간처럼 챙겨 입는 것이 더 이상 의미가 없을 정도로 강력해졌다. 총알 세례로 갑옷 따위는 양철 채반처럼 만들 수 있었다. 하지만 19세기까지도 총을 쏘는 과정은 총기가 원시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을 때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화약의 양을 재서 총신에 붓고, 거기에 공이를 떨어뜨려 꽂을대로 다진 다음, 부시에 기름칠을 하고, 뇌관을 격발하기 전에 부싯돌을 조정하고... 이 모든 과정을 총을 한 번씩 쏠 때마다 반복해야 했다. 더 현대적인 형태의 폭력에는 적합하지 않은 방법이었다. - P248
양키 (미국 북동부에 사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 - P248
새뮤얼 콜트(미국의 발명가 및 공장 경영자. 콜트 제조회사를 설립하고 리볼버 권총을 보급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 P249
텍사스 레인저스(개척 시대 미국 텍사스의 파수꾼 역할을 한 민병대를 가리키는 말) - P249
결국 그의 리볼버는 코만치족과 전쟁을 치르고 그들을 땅에서 몰아내는 데 꼭 필요한 무기였음이 증명되었다. 텍사스에서뿐만 아니라 대륙 전역에서 이 무기는 미국의 제국 건설에 필수적인 도구가 되었다. 원주민 전사들은 2~3초에 한 발씩, 총보다 훨씬 빠르게 화살을 쏠 수 있었지만, 리볼버가 등장하자 밀려날 수밖에 없었다. - P249
콜트는 완벽한 상호 호환이 가능하도록 똑같은 부품을 기계로 생산한다는 기발한 목표를 추구했다. 이것은 곧 ‘아메리칸 시스템‘으로 알려지게 된 조립 공정별 제조법으로의 도약이었다. 1855년, 콜트는 기계로 금속을 두드리고, 연마하고, 구멍을 뚫고, 날을 세우고, 완벽한 복제품으로 성형하기 위한 약 6400평에 달하는 시설을 설립했다. 그것은 세상이 다시는 예전의 모습으로 돌아가지 않을 것이라는 가장 뚜렷한 징후 중 하나였다. - P249
당시 미국 서부에서는 "신은 인류를 만들었고, 샘 콜트는 그들을 평등하게 만들었다"라는 말이 유행했다. - P250
이 일을 거의 5년 동안 하다 보니 몇 가지 습관이 생겼다. 친한 친구들이 생겼고, 내가 일하기 좋아하는 전시실과 별로 선호하지 않는 전시실을 구별하게 됐다. - P250
베테랑 경비원의 일주일에는 예술이 가치 없게 느껴지는 순간도 있을 만큼 예술의 다양한 면모를 볼 수 있는 넘치는 시간이 있음을 인정한다 - P251
존 싱어 사전트John Singer Sargent의 매혹적이기로 유명한 초상화 <마담 X Madame X>(1800년대 후반, 다수의 스캔들로 프랑스 파리 사교계의 유명 인사였던 마담 피에르 고트로의 팜므파탈적인 면모를 묘사한 초상화) - P251
‘우리는 경비원이 아니에요... 보안 예술가들이죠‘ - P252
다음 순번이 예상대로 조금 늦게 도착하자 내 유머 감각과 인내심이 바닥을 보인다. 사고가 많지 않은 직장에서는 아주 작은 무례함에도 신경이 거슬릴 수 있다. - P252
바위에 부딪혀 장엄하게 부서지는 파도와 바람에 휩쓸린 메인주의 해변을 그린 윈슬로 호머WinslowHomer(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출신의 화가. 거친 파도와 폭풍우 등바닷가를 모티브로 한 풍경화로 잘 알려져 있다) - P252
미국의 인상파 화가 메리 카사트Mary Cassar (작품의 대다수가 여성들의 사회적이거나 개인적인 일상생활을 담고 있으며 어머니와 자식들, 특히 모녀 관계에 많은 관심을 가졌다) - P252
그녀(카사트)의 작품들은 전형적인 인상파 작품들만큼 ‘흐릿하지‘ 않고 옛 거장들의 그림보다는 더 즉흥적이다. 한마디로 정의하기 힘든 스타일인 것이다. 그녀에 대해 한동안 생각하지 않았던 건 명확하게 생각할 만한 부분을 찾지 못해서였다. - P253
보안상의 이유로 모사하려는 원작보다 25퍼센트 이상 작은 캔버스를 사용해야 한다는 규칙 - P253
카사트의 그림은 사랑스러운 것이 아니라 햇살에 흠뻑 젖은것처럼 아름답다. 대담하고, 편안하고, 다채롭고, 옳고, 뭐랄까, ‘순수 예술‘보다 더 탄탄하다. - P255
그녀(카사트)는 기민하고 영감이 충만한 미적 지능으로 수천 가지의 선택을 해냈다. 그런 그녀의 작품을 생명력 없이 흉내낼 수는 있지만 재현하기는 불가능하다. 정리하자면 나는 그녀의 그림이 얼마나 훌륭한지 믿을 수도, 견딜 수도 없어서, 아주 오랜만에 그저 깊이 흠모하며 바라보기만 했다. - P255
위대한 그림은 경외감, 사랑 그리고 고통 같은 잠들어 있던 감정들을 불러일으키고, 그것은 메자닌의 골동품들에 대한 호기심과는 다르다. - P256
이상하게도 나는 내 격렬한 애도의 끝을 애도하고 있는 것 같다. 이제는 내 삶의 중심에 구멍을 냈던 상실감보다 그 구멍을 메운 잡다한 걱정거리들을 더 많이 생각한다. 아마도 그게 옳고 자연스러운 것이겠지만 받아들이기는 쉽지 않다. - P256
작은 병실 안에서 그야말로 중대하고 신비로우면서도 평범한 일이 일어나기를 기다리는 시간의 대부분은 그냥 앉아서 어리둥절하며 침묵 속에서 견뎌내는 기나긴 기다림의 연속이다. 그것도 전과 마찬가지다. - P259
올리버가 태어나기 전까지만 해도 신생아는 품에 안기에도연약한 존재이고, 잘못하면 부러져버릴까 두려울 것이라 생각했다. 하지만 실제로는 두텁고, 강력하고, 강건한 느낌을 주는 생명력으로 가득 찬 부대 자루, 수십억 개에 달하는 세포 더미였다. 톰이 그토록 찬양하던 경이롭고 엉망진창인 세포생물학이 떠오르고 더 나아가 생명 자체를 생각하게 한다. - P261
자연은 단순함보다 대담하고 강한 것을 선호한다. 그런 것들은 아름답긴 하지만 항상 예술적이거나 명료하지는 않다. 경험상 내 삶도 그렇다. 이제 단순한 삶은 끝났다. 그러나 아기 덕분에 이제 내 삶도 더 아름답고 강건해지는 여정을 시작했는지도 모르겠다. - P261
임금을 거의 받지 못한 3개월의 육아 휴가 동안 내 일터는 엘리베이터도 없는 아파트 3층이었다.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서 한 번에 담당하는 구역보다 작은 공간이었다. 고요하고 말끔한 전시실 대신 고물상 같은 방들이 내 일터가 되었다. 하지만 7만평이 넘는 메트에서보다 20평짜리 이곳에서 할 일이 훨씬 많다. 솔직하게 말하자면 적응하기가 무척 힘들다. - P261
지금까지는 사소한 것에 거의 신경 쓰지 않는 삶을 살아왔다. 그 삶에서는 내게 전혀 부담을 주지 않는 세상을 그냥 둘러보기만 하면 됐다. 그러니 부모 노릇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수없이 많은 사소한 일을 해결하는 것이라는 사실을 깨달았을 때 내가 받았을 충격을 상상해보라. 산더미 같은 빨래, 계속되는 병원 출입, 끝없이 반복해서 기저귀 가방을 쌌다 풀었다 해야 하는 일상. 나는 농부들이 느꼈을 법한 기분으로 대부분의 시간을 보냈다. 노동이 너무 고문해서 그 결실을 음미할 여유조차 없는 느낌 말이다. - P261
민어(대만, 싱가포르 등에서 사용하는 중국어) - P262
자연의 모든 아름다움이 바로 여기에 있다. 태양이 빛나고, 바람이 불고, 공원의 오래된 느릅나무는 지구상의 어떤 생명보다도 숭고한 모습으로 우뚝 서 있다. 거기에 더해 내 아들이 있다. 그의 커다랗고 촉촉한 두 눈을 들여다보니 아기도 눈웃음을 치며 나를 바라본다. 이 순간의 충만한 생명력에 경탄한다. 이건 아름다울 뿐 아니라 ‘좋음‘ 그 자체이기도 하다. 그 좋음이 모든 고투를 흡수해버린다. - P263
몇 달 만에 처음으로 한 시간이 정확히 한 시간으로 느껴질 때 그 시간이 얼마나 긴 시간인지 깨닫는다. - P265
집에서 올리버를 돌볼 때도 한가한 시간이 있긴 했지만, 그 시간과 이 빈 시간은 다르다. 전자는 소비하고, 쓰고, 낭비하고, 텔레비전을 보느라 사라지는 시간이어서 그냥 시간만 죽이는 게 아니라 몸도 해치울 수 있다. 후자는 옛날식으로 보내는 시간이라 여름날 포치에 앉아 바람이 부는 걸 바라보는 것 같은 시간이다. - P265
시간이 흐르면서 내 경비원 근육이 약해졌다는 사실이 명확해진다. 서 있는 건 끊임없이 연마하지 않으면 녹스는 기술이다. ‘서 있는 것‘이 실은 서 있고, 기대어 서 있고, 서성거리고, 스트레칭을 하고, 다 쓴 잉크 카트리지처럼 다리를 터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는 사실을 기억해낸다. - P265
늦은 오후로 접어들 무렵이 되자 에너지는 탈탈 털리고 여기저기가 쑤셔왔지만, 아이를 돌볼때 오는 미친 듯한 기진맥진의 상태가 아니라 기분 좋은 단순한 피로감이다. - P266
‘그러니까 바로 이게 내 삶이군.‘ 나는 생각한다. 앞으로 록 콘서트 무대 코앞의 객석만큼 떠들썩한 세계와 수도원처럼 고요한 세계 두 곳을 오가게 될 것이다. - P266
우리는 날이 가고, 달이 가고, 해가 바뀌는 사이 그들의 복잡한 삶이 어떻게 펼쳐질지는 볼 수가 없다. 어쩌면 예술 작품은 삶의 예술적이지 않은 측면을 묘사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일상의 단조로움, 불안함, 그리고 차례로 밀어닥치는 빌어먹을 일들에 파묻혀 큰 그림을 볼 능력을 잃어버리는 측면 말이다. 적어도 오늘만큼은 내 전시관에 걸린 완성된 그림들이 아직도 진행 중인 세상과 동떨어진 저 너머에 존재하는 것처럼 느껴진다. - P266
아장아장 걷기 시작한 올리버는 치열하고, 집착적이며, 불굴의 의지를 가진 에이해브 선장(소설《모비 딕》에 등장하는 캐릭터. 흰고래 모비 딕에게 집착하는 광적인 인물로 묘사된다)이다. 루이스는 밝은 성격에 재미있고 남의 눈치를 별로 보지 않는다. 이제야 알고 보니 아이의 성격은 주사위 던지기처럼 우연히 얻어걸리는 것이고 우리가 인간의 본성이라 생각했던 것은 올리버만의 본성이었다. - P267
지루하고, 지루하고, 지루하기 그지없는 장난감 기차놀이 - P267
아이들을 재우는 것은 일련의 교착상태를 극복해나가는 과정이다. - P267
올리를 씻기기 위해 싸우고, 침대에 눕히기 위해 싸우고, 눈을 감도록 하기 위해 싸운 끝에 겨우 쟁취한 승리마저 절대 최종적인 승리가 아니라는 것을 우리는 안다. - P267
나의 새로운 삶에서는 성장이라고 부르는 과정을 거치기 위해 젖 먹던 힘까지 다 긁어모아 고군분투해야 할 것이다. - P268
감정이란 얼마나 변화무쌍한 것인지를 배우고 있다. 어린아이가 맑음과 폭풍우 사이를 얼마나 예상치 못하게 빠른 속도로 왔다갔다 할 수 있는지, 어른도 얼마나 그와 비슷한지를 깨우친다. 그래서 가령 고대 로마 전시관에 전시된 귀족들의 두상을 보면서 그 근엄한 가면에 드러나지 않는, 어쩌면 그들이 말도 안되게 웃기는 사람들이었을지도 모른다는 상상을 해보곤 한다. - P268
메트에서 일하기 시작한 후 첫 몇 달을 돌이켜보면 내가 한때 날이면 날마다 말없이 뭔가를 지켜보기만 하는 상태를 그토록 오래 유지할 수 있었다는 사실 자체가 놀랍다. 아마 그것은 커다란 슬픔이 가진 힘을 잘 보여주는 사례일 것이다. - P269
날마다 수많은 밀고 당기기를 해야 하는 요즘 같아서는 그렇게 뭔가에 집중해서 사는 삶을 상상하기가 힘들다. 이제는 더 이상 처음 미술관에서 일을 시작했을 때처럼 단순한 목표만 바라보지 않는다. 대신 살아나가야 할 삶이 있다. - P269
브뤼헤 출신의 얀 반에이크 Jan van Eyck (유화 기법을 사용한 최초의 예술가. 15세기 플랑드르회화에서 가장 중요한 화가로 꼽힌다)와 시카고 출신의 케리 제임스 마셜Kerry James Marshall (미국의 예술가이자 회화과 교수로 본인의 정체성이기도 한 흑인을 주요 소재로 삼는다. 2017년 타임지 선정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에 들기도 했다.) - P2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