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품 출시 전에 불법 복제를 해서 막대한 이득을 챙기는 무리들이 나오는데 이들을 지혜롭게 소탕하는 장면이 인상적이었다. 또한 차기 후속작 게임 출시가 연거푸 미뤄지자 게이머들로부터 원성을 살 뻔한 위기를 맞이하는데 게임 대회 이벤트를 개최해서 슬기롭게 극복해 나가는 모습도 흥미로웠다.

그런데 한번 뒤처지면 벼랑 끝까지 밀려나는 건 한순간이더라.
"그런데 어째서 맞고만 있는 겁니까? 혹시 접대 게임이라도 하는 건 아니죠?" "그럴 리가요. 저는 상대가 누구든 봐주는 게임은 절대 안 합니다."
선장이 똑바로 방향을 잡아주지 않으면 아무리 노력을 해도 배가 거꾸로 가는 법입니다."
상대가 먼저 선을 넘었으면, 우리도 같이 선을 넘어가 주는 것이 예의다.
범죄자가 같은 범죄를 또 저질렀다는 것은 지금의 법으로 내리는 처벌이 약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가 말했잖습니까. 뭐든 계속해서하다 보면 익숙해진다고요."
이경문은 자기가 중얼거리면서도 궁색하다고 생각한 건지 말을 도중에 뭉개버린다.
"개발팀의 규모를 키우고 밤낮으로 노력한다 해도 개발사는 절대 유저의 콘텐츠 소비 속도를 못 따라갑니다."
"무과금 유저는 우리의 잠재적 고객이기도 합니다. 그러니 앞으로 어떤 팀이든 무과금 유저를 하찮게 여기거나, 비방하는 듯한 발언이 나오면 책임을 묻겠어요."
"두 분의 입장이 다르다는 건 압니다. 하지만 지금 같은 상황에선 힘을 합쳐야 할 것 아닙니까? 그러니 서로에게 무언가를 바라지만 말고, 자신이 먼저 뭘 해줄 수 있는지부터 생각해 보세요."
"맞습니다. 대표님도 도와주시죠. 원래 장군이 앞서서 돌격해야 우리 같은 병졸도 따라나서는 것 아니겠습니까."
"재능이라기보다 시선의 차이 같습니다. 우리는 개발자로서 게임을 바라보지만, 대표님은 게이머로서 게임을 분석하시거든요."
사람이 너무 당황하면 아무런 생각도 들지 않는다는 말이 있다.
"대표님, 유저들은 성능 때문에 페가수스를 원하는 게 아니에요." "그럼요?" "자신도 영상의 주인공처럼 되고 싶다는 욕망. 그것이 지갑을 열게 하는 거라고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