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읽은 부분에서는 챗GPT의 폭넓은 활용범위에 대해 볼 수 있었고, 추가로 확장 프로그램을 통해 ChatGPT를 좀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도 배울 수 있었다.
또한 급부상하는 AI산업과 관련된 법이 세계최초로 우리나라에서 제정될 거라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이 법의 골자는 AI가 인간의 기본권을 침해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AI의 무분별한 악용을 막기 위한 조치라고 하니 법의 취지는 일단 괜찮다고 본다. 다만 AI산업과 공존하는 선을 잘 지켜서 서로가 서로의 영역을 침범하지 않으면서 발전해 나갔으면 하는 개인적인 바램이 있다. 간혹 지나친 규제가 산업의 발전을 저해하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이다.

챗GPT가 코드를 짜주는 능력을 가진 것은 맞다. 고전 게임 ‘벽돌깨기‘ 파이선 코드를 만들어달라는 요구를 할 경우 몇 분이면 거의 완벽한 코딩언어를 산출해 낼 정도이다. ‘챗GPT가 구글 신입사원L3과 맞먹는 수준으로 코딩을 해낼 수 있다‘는 구글 내부문서가 나돌기도 했다.
챗GPT 기반 코드 생성AI ‘코덱스Codex‘가 노코드(코딩없이 애플리케이션 개발)도구로 이미 상용화됐다. 이러한 능력은 결국 기존에 짜 놓은 코드들을 학습한 결과이다.
너무 빠르고 쉽게 코드를 생성해준다. 통상 컴퓨터 알고리즘에서 배우는 재귀 알고리즘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 건가 하는 의심이 들지만, 진정한 이해와 생각과 창조는 인간이 하는 것이고, 인공지능은 인간이 하는 대로 따라 하는 것이라고 보는 것이 맞다. 어찌 되었건 코딩 능력도 꽤 출중한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결국 이렇게 방대한 양의 데이터 학습이 인간과 같이 정말 넓은 분야의 질문에 답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된 것이다.
물론 잘 못하는 분야는 명확하다. 2021년까지의 데이터로 학습하였기 때문에 최근의 정보는 없다. 게다가 민감한 문제나 지역적인 정보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다.
보통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챗GPT화면 옆에 번역기 (구글이나 파파고)를 놓고, 한글로 먼저 번역기에 입력하여 영어로 번역한 내용을 챗GPT에 넣는 방법을 활용한다.
프롬프트지니에서는 챗GPT 화면 창에 ‘번역해서 질문‘ 이라는 버튼을 생성해 주고, 한글로 입력한 후 이 버튼을 누르면 번역된 내용으로 입력하게 되는 기능을 제공한다.
AIPRM 확장 프로그램은 콘셉트에 맞게 답변을 내도록 미리 설정해 놓은 GPT 활용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냥 질문했을 때와 AIPRM을 써서 질문했을 때 다르게 답변이 나온다.
기본적으로 챗GPT의 질문은 연속적으로 세세하게 질문하는 것보다 전문적인 답변을 이끌어 내는 것이 능력이다.
ChatGPT for search engines장점은 채팅창이 하단에 같이 있어서검색하면서 추가로 대화를 이어나갈수 있다는 것이다.
2023년 1월에 인공지능AI에 관한 기본법 성격을 띠는 ‘인공지능법‘이 국회 상임위원회 법안소위 문턱을 넘었다. 세계 최초로 우리나라에서 인공지능법이 제정될 예정이다. 인공지능기술과 산업이 인간에 대한 안전 · 신뢰성을 높여야 한다는 것이 기본 원칙이고, 이를 통해서 사회·경제·문화와 일상생활 등의 변화에 국민이 안정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골자이다.
산업의 진흥을 위해서 AI 기술에 대해 ‘우선 허용·사후 규제‘ 원칙을 세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