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읽은 부분 중에 게임 개발자와 게임 이용자간 채팅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게임 개발자가 이용자에게 왜 이렇게 게임을 열심히 하냐고 묻자 이용자가 ˝게임 하는데 이유가 어디 있나요. 그냥 하는거지˝ 라고 답을 한다. (참고로 이 말을 한 게임 이용자는 랭킹 1위를 찍고 있는 이용자였다.)

게임이든 다른 일이든 뭐든 간에 때론 너무 복잡하게 생각하기보다는 단순하게 그냥 하는게 좋은건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마치 나이키의 광고 문구처럼 말이다. Just do it.

상대가 몸값을 불리려고 시간을 끈다면, 몸값을 불릴 필요가 없을 정도의 돈을 먼저 쥐여주면 그만이었다.

"제 경험상, 털어서 먼지 안 나는 사람이 없더라고요."
누구든 사업을 하면 크든 작든 탈법은 있게 마련이다.
예를 들면 회삿돈을 개인적으로 썼다거나, 아니면 세금을 줄이기 위해 신고를 고의로 빠뜨린다거나.

"앗, 제 직급은 팀장입니까?"
"V&V소프트에서 임원급을 제외하면 직급은 팀장과 팀원밖에 없습니다. 창의성이 필요한 게임 개발사에 수직적인 조직 구조는 독이 될 수밖에 없거든요."
"허허...국내에선 보기 드문 방식이군요."
수평적인 조직 구조는 창의성을 중시하는 해외의 유명 게임사, 그리고 IT 기업들이 택하는 방식이었다.

"휴...... 솔직히 너무 부담스럽습니다.
10억짜리 프로젝트를 굴리던 놈에게 갑자기 1,000억짜리 프로젝트를 하라뇨?"
"못 할 이유가 어디 있습니까? 누군 날 때부터 1,000억 짜릴 한 건 아니잖습니까."⠀⠀⠀

생각은 누구나 할수 있지만 그걸 실현해 내는 것은 또 다른 영역이거든요.

미디어 믹스란 원래 상품 광고를 위해 여러 매체를  조합하는 것을 뜻한다. 쉽게 설명하자면 게임 출시와 동시에 웹툰이나 소설, 만화, 굿즈 같은 것들로 홍보 효과를 노리는 방식이다.

오타쿠의 부정적인 이미지 때문에 멸시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나는 전혀 그렇지 않았다. 오타쿠는 게임 업계의 주 고객층이다.
고객을 싫어하는 장사꾼이 세상에 어디있단 말인가.

게임 하는데 이유가 어디 있냐고요. 그냥 하는 거지.

오픈 베타 테스트는 누구든 테스트 서버에 접속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뜻한다.

"내 말이 그거다. 세상일이라는 건 아무도 모르는 거야."

"그렇습니다. 불쾌한 경험으로 떠난 유저는 쉽게 돌아오지 않으니까요."

"제가 게임에서 가장 혐오하는 것이뭔 줄 아십니까?"
"그, 글쎄요."
"돈으로 게임의 승리를 사는 Pay to Win 방식입니다. 그래서 우리 회사는 현금 거래를 철저히 막고 있기도 하고요."

같은 역사는 반복될 수 없다.
이미 이 세상에는 ‘나‘라는 변수가 발생했고 그로 인해 크든 작든 변화가 이뤄지는 것은 필연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