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에 대한 막연한 관심이 있던 차에 이 책을 읽을수 있는 기회가 생겨서 읽어보게 되었습니다.

챗GPT 누구에게는 ‘기회‘가 되고 누구에게는 ‘놓친 기회‘가 된다.

딥러닝은 여러 계층의 신경망을 사용하는 일종의 기계학습 알고리즘인데, 기존보다 훨씬 더 복잡하고 대량의 패턴(이미지, 음성)등을 빠르게 학습하며 훨씬 좋은 예측 성능을 가지게 되었다.

유발하라리는 ‘사피엔스‘라는 책에서 호모 사피엔스가 세상을 정복한 성공 비결은 인간의 언어혁명이라고 설명한다.

컴퓨터라는 기계가 만들어질 때부터 인간은 기계와의 쉽고 편한 소통을 위한 도구들을 설계해왔다.  키보드, 마우스, 프로그래밍, 언어 등 모든 것들의 존재 이유는 소통이다.

이제 인간과 기계의 공존 시대가 오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거부하지 말기를 바란다. 돌이킬 수 없고 비가역적이다.

나를 위한 지식과 정보의 신이 등장했다

챗GPT는 ‘오픈AI‘ 라는 회사가 만든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이다.

그냥 프로그램에 접속하고 쉽게 가입해서 질문을 하면 방대한 데이터를 토대로 AI가 바로 대답을 해주는 것이다.

챗GPT를 처음 써본 사람들은 그 자연스러운 소통 능력에  매우 놀라워한다.

생성형 언어 모델(Generative Language Model)이 바로 챗GPT의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AI가 인터넷상의 수많은 문장들을 학습하다 보면 "1+1은 무엇인가?"라는 문장의 뒤에는 "답은 2입니다"라는 문장이 나오는 경우가 확률적으로 가장많이 나올 것이다. GPT3는 이 같은 방식으로 작동하는 인공지능이다.  결국 수학을 아는 것이 아니라 언어적 확률을 아는 거대 언어 모델이기 때문이다.

또, 소통이라는 것이 한두 번 주고받는 것이 아니라 서로 주고받는 것이 반복되는 대화(Conversation)의 경우에는 나의 잘못을 인정하거나 상대의 잘못을 지적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챗GPT가 사용한 RLHF는 사람의 피드백을 반영해서 가장 사람이 말하는 것 같은 결과물에 가점을 줘서  학습을 시켰다.  당연히 그 결과물은 더 사람 같아졌다. 사람의 피드백을 반영했다는 것은 결국 사람이 참여해서 학습을 시켰다는 것이다.

멀티 모달multi-modal이란 이미지,
텍스트, 동영상, 음성 등 다양한 비정형 형태의 데이터가 함께 조합되어 있는 정보 또는 이를 처리하는 모델을 말한다. 검색에서도 키워드를 입력하면 문서, 텍스트, 그림, 동영상들이 검색되어 나오는 것은 바로 멀티 모달검색 기능 기술이 보편화되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