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썼던 일기를 읽다가 무심코 발견한 이 책에 대한 기록을 온라인상에 남겨놓고자 간단히 리뷰남겨본다. 2, 3년전의 어렴풋한 기억에 근거해서 살을 붙여본다. 지극히 주관적인 느낌으로 내게 필요하다고 느껴져서 적어놓았던 핵심만 간단히 적어본다.● 성공(목표달성)할 수 있는 system(구조) 만들기● 한가지 목표에 집중(예술가 vs 프랜차이즈)● 왜 틀렸는가? + 의사결정과정이 어떠했는가?● 의사결정과정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계속 질문하라● 내가 왜 이 일을 하고 있는가? (정신)● 정신/사람/시간이 6가지를 적어놓았었다. 첫번째와 세번째, 네번째 문구는 목표달성을 위한 바람직한 시스템을 만드는 것과 더불어 시스템을 만드는 과정중에 일어날 수 있는 오류들을 어떻게 더 나은 방향으로 수정해 나갈 수 있는지에 대해 지속적으로 피드백하라는 의미로 느껴졌다. 시스템과 관련해서 이 책에서는 전쟁(제 2차 세계대전)과 관련된 사례들이 다수 나왔던것으로 기억하는데, 개인적으로는 꼭 무기로 하는 전쟁이 아니더라도 사회라는 전쟁터에서 굳건하게 살아남기위한 노하우를 축적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졌던 문구들이었다. 두번째 문구는 책에 나온 이야기에서 예술가가 될것인지 프랜차이즈같은 사람이 될것인지를 선택하고 그 방향으로 쭉 나아가라는 의미로 어렴풋이 기억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예술가는 창조하는 사람, 요즘 말로 크리에이터 같은 개념이고, 프랜차이즈는 창조하는 것 보다는 기존에 있는 지식이나 시스템을 가지고 끊임없이 확장해나가는 것을 의미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두가지는 성격이 완전히 상반되기 때문에 둘다 하는 것은 할 수도 없을 뿐더러 만약에 하더라도 이도저도 안될 가능성이 높다고 했던 저자의 말이 어렴풋이 기억난다. 사람들이 자신의 진로를 선택하고 커리어를 쌓아 갈때 중요한 판단 기준 가운데 하나로 생각해보면 좋을 듯 하다. 이와 더불어 다섯번째 문구는 자기자신의 궁극적인 목표가 무엇인지 항상 기억하고 있어야 한다는 것으로 두번째 문구와도 연계될 수 있다. 개인이나 조직이 세운 목표를 실행하는 과정가운데 매너리즘에 빠진다든가 행동의 이유를 모르고 방황할때 그러한 방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정신적인 측면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여섯번째란에 적어놓은 키워드들은 내가 이 책을 읽으면서 중요하다고 생각한 키워드들인 것으로 판단하고 적어 놓았던 것인데 조직생활에서 각종 다양한 의사결정을 할때 고려하면 좋을 것들이라고 생각한다.간단한 리뷰이긴 하지만 쓰면서 머릿속 한 구석에 어렴풋이 기억이 남아 있어서 스스로에게 좀 놀라기도 했다. 하지만 앞으로는 책을 읽고 너무 오랜시간이 지나기 전에 곧장 리뷰를 쓰는 습관을 들여서 좀 더 생생한 리뷰를 쓸수 있도록 해봐야겠다고 다짐해보며 리뷰를 마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