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규 선생님의 만화 조선왕조실록 7 - 제21대 영조부터 제24대 현종까지
박영규 지음, 유영승 그림 / 웅진주니어 / 2010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지원이의 경우에도 역사서를 잘 보지 않아서 걱정이었는데 만화 조선왕조실록을 통해서 조선의 역사에 대한 관심을 키워 줄 수 있어 좋았어요.
 조선의 역사 가운데 가장 황금기라고 할 수 있는 영, 정조 시대의 이야기가 다루어져 있어요.
책을 읽기 전에 7권의 21대 영조, 22대 정조, 23대 순조, 24대 헌종의 네 왕들에 대한 통합적인 이야기와 등장 인물 소개 왕의 삶과 역사, 가계도 등 역사적 기초 개념을 심어주면서 아이들이 쉽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답니다. 
 역사서는 따분하고 재미없다는 생각을 가진 아이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역사 만화에요.
조선왕조실록을 바탕으로 하였기 때문에 실제 사건과 실존 인물이란 점에서 역사에 대한 관심과 역사 인물에 대한 관심을 통해 역사에 대한 궁금증을 키우고, 그 호기심을 풀어 주는 장까지 따로 정리해 주고 있어요.
 육조란 어떤 곳인가요?
’언론 삼사’란 무엇인가요?
조선왕조실록은 어떻게 편찬되었나요?
마지막으로 조선왕조실록 7권의 주요 사건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해 주어 역사 공부에 많은 도움이 된답니다.


역사 공부 카드 게임이 있는데 이 카드 게임을 지원이는 너무 좋아했어요.
가위바위보 대결! , POWER  대결!, 별별 놀이, 공격방어 게임은 쉽고 재미있게 할 수 있는 게임이고, 뒤집어라 엎어라 게임과 마인드맵 게임, 왕중왕 대결은 조금 수준이 있는 게임이었어요.
아이와 왕중왕 대결을 했는데 아이도 재미있게 게임을 할 수 있었어요.
책을 통해서 쌓은 역사 인물 지식을 카드 게임을 하면서 복습하면 역사 공부도 재미있게 할 수 있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WHAT 왓? 23 회색곰 왑은 왜 사람을 싫어할까? WHAT왓? 시튼동물기편 1
어니스트 톰슨 시튼 지음, 함영연 옮김, 이준섭 그림 / 왓스쿨(What School) / 2006년 9월
평점 :
절판


아이들은 많은 것들을 궁금해하고, 많은 것들에 호기심을 가지고 있지요. 그 호기심을  이 책과 함께 풀어간다면 아주 재미있게 풀어 나갈 수 있어요.
생각하는 교과서 과학동화 WHAT?
자연과학을 포함한 파브르 곤충기, 시튼 동물기 등 과학적 호기심을 동화로 엮어 재미있고 쉽게 과학적 상상력을 키워줄 수 있어요.
<회색곰 왑은 왜 사람을 싫어할까?>는 시튼 동물기가 원작인데 시튼은, 이 책의 이야기가 실화라고 했어요.
시튼 동물기는 관찰과 경험을 통해 생생하게 나타내고 있으며, 대자연의 아름다움과 경이로움을 감동적으로 그린 ’동물기’의 영원한 걸작이랍니다.

어릴 때 엄마와 형제를 다 잃고 홀로 남게 된 왑. 엄마에게 재로을 부리며 살아가는 방법을 익혀야 할 시기에 혼자가 된 왑이 이 책의 주인공이에요.
먹이를 잡으려다 철컥! 앞발이 덫에 걸렸지요. 그리고, 편안하게 잠잘 수 있는 둥지를 마련하고 아늑한 보금자리에 들어가 잠이 들었어요. 기나긴 겨울잠, 그리고 봄......

 책을 읽다가 보니 회색 곰이 좋아하는 먹이와 그리고, 곰의 습성, 곰이 사람을 싫어하는 이유를 알 수 있었어요.

 곰은 동물이면서 생명을 가진 생명체인데 언제부턴가 우리는 우리가 곰의 주인인양 행세하면서 살았다는 생각이 들어요. 동물도 자연 속에서 사람과 더불어 살아갈 권리가 있다는 걸 왜 우리들은 잊고 사는 걸까요?
동물도 사람과 똑같이 느낄 수 있는 감정이 있다는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빨리 어른이 되고 싶어 - 최인호 동화집 처음어린이 9
최인호 지음, 이상규 그림 / 처음주니어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주인공은 도단이다. 텔레비젼의 만화영화에나 있음직한 듯한 이름인데 동화 속의 주인공인데다가 이 책을 쓰신 최인호 작가님의 아들 이름이란다. 작가는 하루가 다르게 자라나는 아들을 지켜보면서 자신이 자라날 때 느꼈던 동심의 세계와 아들의 동심의 세계와는 많은 차이가 있음을 느꼈기 때문이라고 책머리에서 말하고 있다.
 자연 속에서 꿈을 키우던 세대와 기계적인 것들에 익숙한 세대는 무언가 벽이 존재하는 듯하다. 하지만, 그 벽도 부모와 자식, 어른과 아이라는 벽보다 두터운 벽은 아닌가 보다.

헌 이 줄게, 새 이 다오.
헌 이 줄게, 새 이 다오.
 
내가 자랄 때 엄마가 지붕에 이를 던지던 기억도 난다. 요즘 아이들은 치과에서 이를 뺀다지만,  나는 큰 아이의 이를 내가 실을 감아서 다 빼주었다. 하나는 아이가 급식소에서 밥을 먹다가 빠졌는데 그것도 집에 가져와서 뽑은 이를 모두 한 곳에 모아두었더니 아이가 너무 좋아했다. 도단이의 이빼기를 보니 꼭 현대문명이 좋다는 생각보다는 아이들에게 할머니나 엄마를 기억할 수 있는 또 다른 추억을 만들어 주는 것도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도단이가 엄마, 아빠를 사랑하는 것처럼 우리 아이들도 나를 좋아할 것이다. 도단이는 아빠가 자기랑 잘 놀아주기를 바란다. 엄마가 사랑이나 사탕보다 만점을 받아야 나비가 될 수 있다는 말에 도단이는 어떤 기분이 들까. 나도 아이에게 좋은 점수를 요구하지는 않았나 반성이 되었다.

 
아이가 원하는 것을 하도록 해주기 보단 엄마가 아이에게 강요하고 있지는 않나 싶다. 요즘은 외로운 아이들이 많다. 물질적으로는 풍요롭지만 정신적으로는 외로운 아이들을 볼 때 안타깝다.
큰 아이도 가끔 어른이 되었음 좋겠다고 한다. 어른이 되면 공부를 안해도 되고, 학교도 안 가도 되고, 사고 싶은 것도 마음대로 살 수 있을 것 같단다. 
그래서 가끔은 이 책의 주인공 도단이처럼 동생과 아빠 놀이를 하면서 재미있어한다.
어른이 된다는 것의 의미를 아이는 자라면서 조금씩 알게 될 것이다.
빨리 어른이 되고 싶어하는 아이들에게 이 책을 들려 주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독서왕 수학왕 - 휠체어를 탄 쌍둥이 현제의 꿈 이야기
고정욱 지음, 정연 그림 / 파랑새 / 2010년 1월
평점 :
절판


이 책을 읽기 전에  저는 고정욱이란 작가의 작품을 여러 편 만났지요. 그러다 그 분은 어려서 소아마비를 앓아 휠체어를 타지 않으면 움직일 수 없는 1급 지체 장애를 가졌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어요. 그래서인지 이 책을  손이 아닌 가슴으로 쓰지 않으셨나 싶네요.

 KBS-TV 인간극장을 통해 감동과 희망을 전해 준 쌍둥이 장애아의 꿈을 다룬 실화를 바탕으로 쓴 동화라고 해요. 주인공 우석이와 환석이는 실제 인물이고, 비록 장애를 가졌지만 수학왕이 된 우석이, 독서왕이 된 환석이의 이야기를 통해서 솔직히 아이들의 밝은 모습과  두 아들을 행복하게 키우고 계신 어머니께 박수를 보내드리고 싶어요.
 "하나라도 잘 하는 게 있어서 그걸로 자신감을 갖게 되는 게 얼마나 큰 행복인데..."
라고 엄마는 말하죠.
 "우리 아이들이 진정 우석이와 환석이보다 행복한 아이들일까?"
하는 생각을 해봤어요.
지원이도 아직 자신감이 많이 부족해서 걱정이 들었는데 지원이가 좋아하는 한 가지라도 찾아서 잘 할 수 있었음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장애인은 더불어 사는 사람, 장애인이 스스로 원치 않아도 장애인이 된 것처럼....
장애인은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사람? 뭐든 할 수 있는 사람?
 장애를 가진 어린이들에게 장애인이라서 못한다는 편견을 버리게 해 주고, 장애를 가졌더라도 노력하면 뭐든 잘 할 수 있다는 희망을 주는 책이에요.
이 책의 두 주인공 쌍둥이면서 실제 주인공 환석이와 우석이는 학교 생활도 열심히 하고, 단지 장애인이라는 이유로 자신을 미워하는 친구와도 사이좋게 지낼 수 있게 된답니다.
 장애란 무엇일까요?
몸이 불편한 사람만 장애자가  아니란 생각이 들어요.
이 책을 읽고 나면 아이들도 장애를 가진 친구를 어떻게 배려하고 도와주어야 하는지, 장애를 가진 친구를 대하고 보는 눈이 조금은 달라질 거란 생각이 드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WHAT 왓? 맛있게 먹은 음식은 어떻게 똥이 될까?
이상배 지음, 백명식 그림 / 왓스쿨(What School) / 2009년 11월
평점 :
절판


아이들은 많은 것들을 궁금해하고, 많은 것들에 호기심을 가지고 있지요. 그 호기심을  이 책과 함께 풀어간다면 아주 재미있게 풀어 나갈 수 있어요.
생각하는 교과서 과학동화 WHAT?
자연과학을 포함한 파브르 곤충기, 시튼 동물기 등 과학적 호기심을 동화로 엮어 재미있고 쉽게 과학적 상상력을 키워줄 수 있어요.
  이상배 동화작가가 쓴 책이라 과학 이야기 속에 동화가 나오고, 구어체의 간결한 문장이 주로 사용되어 있어요. 
우리 몸에 대한 호기심에서 우리 몸의 감각에 대한 이야기가 나와요.
감각에서는 오감을 통해 각 감각이 하는 일을 알려 주지요.


WHAT?
오감이란 무엇일까요?
질문의 제시를 통해 답을 생각해보게 함으로써 사고력을 키워줘요.
 

우리 몸은 신비해요.

입과 이는 음식을 먹고 씹어요.
맛있고 잘게잘게.

밥통(위)은 뚱뚱보가 돼요.
괜찮아, 곧 홀쭉해질 거야.  (P74)


맛있게 먹은 음식이 똥이 되기의 과정에 대한 이야기도 재미있게 들려주네요.
음식물을 소화하는 과정에서 까치가 먹은 홍시는 까치가 눈 똥이 씨앗을 주고 싹을 튀웠기 때문이래요. 과학 속에서 만나는 동화 같은 이야기에  아이들은  세상의 신비로움을 느끼게 된답니다.

 어려운 과학 용어는 쉽고 풀어 설명을 해주고, 과학을 동화처럼 읽을 수 있는 책이라 초등 저학년이 읽기에도 부담이 없는 책이에요.
아이들의 머릿속에 WHAT?이라는 호기심 하나 심어 주시면 어떨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