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파업, 30대 여자들이 결혼하지 않는 이유
위선호.윤단우 지음 / 모요사 / 2010년 3월
평점 :
품절


주변에 괜찮은 30대 미혼녀들은 많으나 소개시켜줄 만한 남자들은 없다고 막연히 생각하고 있었다!

그 답을 이 책을 보고 알았다!

 

진화론적 입장에서 보자면 여자는 둥지 안에서 자식을 출산하고 양육해야 해야 했기 때문에 본인보다 쫌더 나은 남자 즉, 경제적 능력이라든지, 집안환경, 키 등등을 따질 수 밖에 없었다.

그런데 예전과는 달리 요즘 여자들은 집에서 살림하는 전업주부로 키워진 것이 아니라 '아들'로 키워졌기 때문에 여자여서 차별받았던 부분들이 없어져서 자아실현을 위한 경제활동을 하게 되었다.

그럼으로써 여자는 학벌이라든가 경제능력 또한 높아진 게 현실인데 그에 반해 더 나은 조건을 가져야 할 남자들은 비슷한 또래의 남자는 이미 결혼을 했거나 아니면 자신보다 나이 어린 여자와 결혼을 하고 경제적 능력이 덜한 남자들은 중국, 베트남, 필리핀 등에서 신부를 데리고 와 결혼을 하니 수급 불균형이 생겼던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구조는 생각지 않고 결혼하지 않은 '노처녀'들을 국가적으론 출산률 저하의 주범으로 몰며 정책적으로도 불이익을 주고 주변 사람들은 '눈 좀 낮추라'는 말로 비난한다.

 

'결혼'이란 개인의 선택의 문제이다!

이젠 사회적인 인식의 전환이 필요 할 때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래요 2011-11-06 06: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공감합니다. 개인의 선택이어야만 하지요^^

diline 2012-03-20 17: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에 반해 더 나은 조건을 가져야 할 남자들은.."
진화론.. 사회는 진화론과는 상관없이 발전했는데 남자를 만나는 기준은 진화론에 영향을 받는군요.. 님이 생각하는 진화론에 맞춘다면 여성에 대한 차별 또한 진화론으로 설명됩니다. 인간 사회를 진화론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것이죠. 진화론은 생물학적 진화 과정으로써만 설명해야지, 진화와 관련없이 발전한 복잡한 현대 사회에 대입하게 되면 어떤 차별도 합리화되버립니다.
그리고 진화론은 종의 이기성이라든지 약육강식을 얘기하는 것이 아니라 거대 자연이 가진 환경이 선택한 종.. 그러니까 종이 잘나고 못나서가 아니라 환경에 의해 종이 선택되었다는 이론이죠. 배우자를 선택하는 기준하고는 전혀 관련없습니다.
사회에선 불평등을 호소하면서 결혼에 있어서는 왜 남자들이 여자들보다 더 나은 조건이어야 되죠? 님의 논리대로라면 더 나은 조건을 가진 남자들은 못난 여자를 차별할 권리도 있는 것이죠. 그게 맞는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