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지켜야 할 한국사 - 서경덕과 전문가들이 들려주는 살아있는 역사 이야기
서경덕과 분야별 전문가 지음 / 허들링북스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경덕과 전문가들이 들려주는 살아있는 역사 이야기


누군가 "독도는 왜 한국 땅인가요?"라고 묻는다면 주저 없이

이 답을 먼저 제시해야 한다.

"독도에는 한국 사람들이 살고 있기 때문입니다."


일본이 독도를 실효적으로 지배했다고 내세우는 근거들은

1904년 한일의정서 강제 체결 이후 러일전쟁의 혼란 속에서

대한제국의 주권이 제약받던 시기에 이루어진 것들이다.


일본이 독도 영유권 주장을 계속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독도를 분쟁 지역화하여 동해에서 자신들의 경제적,

군사적 입지를 강화하고자 하는 계산된 전략이라는 것이다.


역사는 구성원을 하나로 묶는 끈이자 미래를 향한 용기의

원천이 된다. 일제강점기, 국권을 상실했던 우리 민족에게

3·1 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는 민족의 자긍심을 회복하고

빼앗긴 주권을 되찾기 위한 간절한 염원의 상징이었다.


전쟁은 인간의 마음에서 비롯되므로 평화의 방벽 또한 

인간의 마음속에 세워야 한다.


1938년 4월부터 1945년 8월까지 지속된 체제는 제국 일본

영역의 모든 사람과 물자, 자금, 심지어 정신까지 통제하고

동원했다. 일본이 법을 통해 자행한 이러한 동원이 바로

강제동원의 실체였다. 국가 권력에 맞서 개인은 무력했다.

전시 체제 아래에서 개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국가에 의해

강제된 이 동원 정책은 수많은 사람들에게 깊은 상처와 

고통을 안겨주었다.


한국 현행법에서 규정하는 강제동원 피해자 가운데 노무자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중복 인원을 제외하면 약 200만 명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당시 조선 인구의 10%에 해당하는 엄청난

규모였다. 즉, 열 명 중 한 명꼴로 동원된 셈이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무관심'과 '무지'는 상처 입은

할머니들의 명예를 짓밟고, 역사의 진실을 흐리게 만드는

심각한 걸림돌이다.


"16세 어린 나이에 중국 오지에 끌려가 일본군'위안부'로

고통 받은 내가 이렇게 시퍼렇게 살아있는데 그런 일이

없다니 말이 됩니까?"


독일 베를린 한가운데에 유대인 학살을 기억하는 홀로코스트

기념비가 세워져 있듯, 언젠가 일본 도쿄 중심부에도 전쟁의

고통과 평화의 소중함을 되새기는 평화의 소녀상이 세워질

날을 기대해 본다.


한반도의 동쪽 경계를 따라 끝없이 펼쳐지는 푸른 바다,

동해는 단순한 지리적 공간을 넘어 우리 민족의 유구한 역사와

숨결을 함께해온 특별한 곳이다.


동북공정은 2002년 2월 시작되어 2007년 1월 마무리된

중국의 역사 연구 프로젝트다. 20여 년이 흘러 많은 이의

기억 속에서 희미해졌을지 모르겠지만, 최근까지 이어진 김치와

파오차이, 한복과 한푸를 둘러싼 '원조 논쟁'은 한국과 중국이

여전히 역사와 전통의 '민족적 소유권'을 두고 예민하게 대립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지금 우리는 전 세계가 한국 문화에 뜨겁게 반응하는 경이로운

시대를 살고 있다. K-팝의 심장을 뛰게 하는 가사, K-드라마의

감동적인 대사, K-영화의 깊은 울림까지, 이 모든 한류의 중심에는

바로 우리의 자랑스러운 '한국어'와 그를 담아내는 '한글'이

자리하고 있다.



<채성모의 손에 잡히는 독서>를 통해서 도서를 

'협찬' 받았습니다.


@huddlingbooks

@chae_seongmo


#우리가지켜야할한국사

#서경덕 #허들링북스

#채성모의손에잡히는독서

#한국사 #독도 #임시정부 #한글

#강제동원 #일본군위안부 #동해

#동북공정 #김치 #한복 #한류

#책 #도서 #독서 #철부지아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