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알아서 잘하라고 하지 않고 명확하게 일 맡기는 기술 - 리더의 말이 달라지면 회사는 성장하기 시작한다
고구레 다이치 지음, 명다인 옮김 / 갈매나무 / 2025년 6월
평점 :
리더의 말이 달라지면 회사는 성장하기 시작한다.
실무자일 때 성공한 경험이 리더의 자리에서는 통용되지 않는 경우가
허다하다. 실무자로서 성과를 내는 데 필요했던 능력이나 기술이
리더의 자리에서는 걸림돌이 될 때가 있다.
본질은 '시대성'이 아니다. 서로를 명확하게 이해하는 태도가 중요하다.
서로를 제대로 이해한다면 조직의 과제 대부분은 안정적으로 해결될
것이다.
언어화란 명확화다.
단순히 언어로 표현했다고 해서 '언어화했다'라고 말할 수 없다.
즉 언어화가 되었는가는 그 말이 얼마나 명확한지에 달렸다.
리더가 언어화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자신의 머릿속 사고를 명확히
하고 팀원에게 업무를 정확하게 요청하고 지시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하자면, 명확하게 전달하는 목적은 팀원에게 정확한 행동을
끌어내는 데 있다.
특히 리더가 팀원과 업무 대화를 할 때는 비언어에 기대서는 안된다.
이는 소통이 아니라 '대충 무슨 말인지 알겠지'라고 은연중에 상대에게
강요할 뿐이다.
비즈니스에서 언어화가 필요한 요소는 크게 세가지다.
바로 비전, 행동, 소통이다.
- 경영자는 비전을 언어화한다.
- 리더는 팀원의 행동을 언어화한다.
- 팀원은 일상의 소통을 언어화한다.
목표를 달성하려면 먼저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아야 하며,
그 '해야 하는 일'을 시키기 위해 동기부여한다는 순서가 맞다.
리더가 우선 해야 할 일은 팀원이 '할당받은 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오늘 무엇을 해야 하는지' 명확하게 언어화해서 전달하는 것이다.
리더의 역활은 책임을 지는 것이 아니다. 책임을 지기 전에 팀원의
행동을 명확하게 지시하는 일이 훨씬 중요하다.
정성적 목표는 'OO할 수 있는 상태'로 표현을 바꿔서 정의하면
명확해진다.
예) 회의에서 팀원이 자신의 아이디어를 발언할 수 있는 상태
목표를 언어화해서 행동으로 바꾼다.
- 정성적 목표를 '할 수 있는 상태'로 바꿔서 표현한다.
스스로 생각하고 움직이지 못하는 이유는 생각하는 힘이 없어서가
아니라 무엇을 해야 할 지 모르기 때문이다.
리더는 팀원에게 '알고 있어야 하는 거'보다 '해야 하는 것'을 전달할
때 더 높은 성과를 낼 수 있다.
○ '지시'의 언어화
- 모호한 지시를 명확하게 바꾼다
- 불필요한 일을 없앤다
- 궤도를 수정한다
- 기대치를 명확하게 설정한다
팀원이 자기 생각을 말하지 않는 이유는 아무 생각도 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오히려 여러 가지를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갈매나무>를 통해서 도서를 '협찬' 받았습니다.
@galmaenamu.pub
#알아서잘하라고하지않고명확하게일맡기는기술
#고구레다이치 #갈매나무
#리더 #말 #언어화 #명확화 #행동
#비전 #소통 #목표 #기대치 #성과
#관리 #지시 #질문 #전달 #리더십
#책 #도서 #독서 #철부지아빠